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단순 연산 정확도 및 유창성에 관한 연구

        김애화,정현승,김병룡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3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basic fact accuracy and basic fact fluency in 222 elementary students(60 primary grade students, 162 intermediate grade students) in grade 1 to 6. Primary grade students and intermediate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eries of basic fact tests(addition fact, subtract fact, multiplication fact). MANOVA,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Major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basic fact accur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and subtraction fact by grades, but not in multiplication fact. Second, basic fact flu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fact by grades. Third, subtraction fluency and multiplication fluenc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the primary grade students and intermediate grade students, respectively. Based on such result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222명 학생(저학년 60명 그리고 고학년 162명)을 대상으로 학년에 따른 단순 연산 유창성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학생에게는 단순 덧셈과 뺄셈 문항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3~6학년) 학생에게는 단순 덧셈, 뺄셈, 곱셈 문항의 평가를 실시한 후, 단순 연산 정확도, 단순 연산 유창성, 단순 연산이 연산 성취도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및 일원변량 분석(ANOVA)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 연산 정확도 결과를 살펴보면, 덧셈과 뺄셈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곱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단순 연산 유창성 결과를 살펴보면, 덧셈, 뺄셈, 곱셈 모두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연산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저학년의 경우 뺄셈 유창성(RTs)이 가장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년의 경우 곱셈 유창성(RTs)이 가장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확인적 요인 분석을 활용한 연령별 읽기 구조에 대한 연구

        김애화,김의정,강은영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읽기 발달이 시작되는 만 5세 아동부터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읽기 발달 단계에 따른 읽기 구조가 연령이 증가하면서 얼마나 일관성 있게 또는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령별 읽기 구조 분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읽기 구조(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가 별개의 요인)가 가장 적합한 모델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취학 전 아동인 만 5 세와 만 6세의 경우에는 2요인 읽기 구조(단어인지와 읽기유창성은 같은 요인, 읽기이해는 별개 요인)가 가장 적합한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3요인 읽기 구조가 가장 적합한 모델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취학 전 아동의 경우와 초등학교 학생의 읽기 구조가 다소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1학년 시점에서 읽기유창성이 읽기 구조를 구성하는 별개의 요인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方藥合編』 下統 處方의 방제분석에 대한 考察

        김애화,조정훈,정창옥,한종현,임규상,윤용갑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8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6 No.2

        Objectivs : This report describes the studies as follows through the research of 163prescribtions in low-chapter from Bangyakhappyun. Methods : Analysis the 163prescribtions of basic prescribtions, therapeutic area, symptoms and pathology. Result : Many prescriptions are contained in the diseases areas such as defecate diseases, women diseases, internal diseases, exogenous febrile diseases. And prescriptions in the low-chapter are used in the areas such as eye, aggregation, mouth and tongue, teeth, hand, back, neck, emergency. Eighty-five basic prescriptions are analyzed from the low-chapter and the ratio of nineteen prescriptions containing Ijintang, Pyeongwisan, Oryungsan, Samultang, Sunggitang, Jichultang are over 60%. The efficacy classifications containing basic prescriptions frequently used are researched in the following order: heat-clearing and fire-purging formulae, digestant formulae, phlegm-dispelling formulae, qi-regulating formulae and blood-activating formulae. And tonifying and replenishing formulae are rarely used. Most of the prescriptions in the low-chapter are used for the excess syndrome and few of them are used for the deficiency syndrome. And six excesses, food damage, phlegm are the major causes of excess syndrome. Conclusions : As s result of study on analysis all prescriptions in low-chapter from Bangyakhappyun. We can understand more about basic prescriptions, symptoms of prescriptions and pathology.

      • KCI등재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을 위한 과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 순환학습 모형과 읽기 전략을 적용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애화,신동희,김설희,김미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문화 및 가정환경적 특성을 지닌 학생을 위한 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 프로그램이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의 과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탈북, 저소득층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학생들은 총 16모듈(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각 영역별로 4개의 모듈) 학습에 참여하였다.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을 위한 과학 프로그램은 순환학습 모형과 읽기 전략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영역별로 문항을 선정하여 총 100문항으로 구성된 과학 개념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과학, 화학, 물리, 생물 등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전-사후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cience program, developed for students with diverse needs, on the science concepts. Seven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 North Korean refugee, an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y backgrounds participated in sixteen module classes (i.e., 4 modules for each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clas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ience program using the learning cycle model combined with reading strategies was effective in substantially increasing the students' knowledge of science concepts from pretest to posttest.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조기 수학 검사 개발 연구

        김애화,유현실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early math test based on predictive variables of math achievement and to conduct a standardization study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an extensive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and a preliminary study, a early literacy test was developed. Standardization testing was conducted with 288 children aged five to seven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early math test consisted of number identification, number meaning (place value), magnitude comparison, missing number, addition combination, subtraction combination, working memory, and short-term memory. The results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tandard error measurement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Similarly, the results of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demonstrated satisfactory validit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value of the test in serving as an early screening test for children at risk for math difficulti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nd the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문헌에서 수학 성취도의 예측변인으로 제안된 변인을 반영하여 조기 수학 검사를 개발하고, 개발된 조기 수학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이론적 근거 및 예비 검사를 통해 조기 수학 검사를 개발하여, 만 5~7세 아동 289명을 대상으로 표준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기 수학 검사는 수식별, 수의미, 수량변별, 빈칸에 알맞은 수 넣기, 간단덧셈, 간단뺄셈, 작동기억, 단기기억 등 8개 소검사로 구성하였다. 본 조기 수학 검사의 신뢰도를 문항내적합치도와 측정의 표준오차를 통해 확인한 결과, 문항내적합치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의 표준오차는 낮게 나타났다. 본 조기 조기 검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를 통해 확인한 결과,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5세 아동의 경우 수량변별과 수의미가, 6~7세 아동의 경우 수량변별과 간단뺄셈이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기 수학 검사는 표준화된 검사로서 수학 위험군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에 대한 고찰

        김애화,김의정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Korean concept of learning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view of Korean article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identify Korean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past 50 years. Next, a review of the predominant research findings with respect to each subtype of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e theoretical basis for each subtyp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oncept of learning disabilities: (a) demonstrating low achievement in achievement, (b) showing > 70 IQ, (c) if satisfy requirements of (a) and (b), can be diagnosis as LD when achievement is lower than IQ, is equivalent to IQ, or higher than I low achievement, (d) if satisfy requirements of (a), (b), and (c), can be diagnosis as LD when students are from social and economic disadvantaged background, (e) demonstrating low achievement in psychological processes, and (f) using a cut-off score at or below the 16th percentile in both achievement and psychology processes. Results were summarized and the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발표된 국내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난 50년간 소개된 학습장애 개념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 다음, 국내․외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각 학습장애 개념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절대적 학업 성취도 기준을 적용하여 현저하게 낮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는 학생이어야 한다. 둘째, 지능은 70 이상 이어야 한다. 셋째, 위의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지능에 비해 낮은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지능과 같은 수준의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지능에 비해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모두 학습장애로 볼 수 있다. 넷째, 위의 세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사회 및 경제적 문제가 있다고 해서 학습장애 진단에서 배제 하지 않아야 한다. 다섯째, 현저하게 낮은 심리처리능력을 보이는 학생이어야 하며, 이러한 심리처리 및 인지적 결함은 학습장애의 원인으로 보아야 한다. 여섯째, ‘현저하게 낮다’의 기준은 학업 성취도와 심리처리 검사 결과 16백분위(-1SD) 이하로 둬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요약 및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용 행동 평정 척도의 개발, 타당성 및신뢰도 검증 연구

        김애화,김의정,유현실,강은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ehavior rating scale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elementar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behavior rating scale.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behavior rating scale was developed through extensive review on social skills literature and existing behavior rating scale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teachers' importance rating of each item. Sample consisted of 372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373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undertaken to assess its factor structure. Results showed tha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five-factor structure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satisfactory. However, the factor of 'rule-breaking behavior' showed somewhat low reliability and the further research on examining competing models was warrant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행동 평정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행동 평정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행동 평정 척도 개발을 위해 선행 문헌 및 검사도구 분석, 일반 및 특수 교사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일반 및 특수 교사의 문항 중요도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행동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담임교사가 초등학교 학생 372명과 373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문제 행동의 5 요인 구조가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 요인 중 ‘규칙 어기기’ 요인의 신뢰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 문제 행동에 관한 다양한 선행 모델을 근거로 한 가설 모델을 수립한 후, 이를 검증하는 연구가 추후에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쓰기 성취도 및 인지처리 특성에서의 이질성에 대한 연구

        김애화,김재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 성취도 및 인지처리 특성에서 이질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6학년 초등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쓰기 성취도 및 인지처리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음은 주요 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쓰기 성취도 특성에 대한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 결과, 5개 잠재계층 집단이 도출되었다. 둘째, 쓰기 관련 인지처리 특성에 대한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 결과, 4개 잠재계층 집단이 도출되었다. 셋째, 쓰기 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class 1(‘현저한 쓰기 문제를 지닌 집단’)은 인지처리 평가에서 나타난 class 1(‘현저한 인지처리 문제를 지닌 집단’)과 함께 나타날 비율이 가장 높았다. 쓰기 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class 2(‘쓰기 문제를 지닌 집단’)는 인지처리 평가에서 나타난 class 2(‘약간의 인지처리 문제를 지닌 집단’)와 함께 나타날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class 1(‘현저한 인지처리 문제를 지닌 집단’)과 함께 나타날 비율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쓰기 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class 3(‘약간 낮은 작문 성취도를 지닌 평균 쓰기 성취 집단’)은 인지처리 평가에서 나타난 class 2(‘약간의 인지처리 문제를 지닌 집단’)와 함께 나타날 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및 논의,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writ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processing. To conduct this study, the writ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processing of 38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ve subtypes of Korean writers were found based on writing achievement. Second, four subtypes of Korean writers were found based on cognitive-linguistic processing. Third, Class 1 (“Very poor writers”) in writing achievement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Class 1 (“Significantly low cognitive processing”) in cognitive processing. Class 2 (“Poor writers”) in writing achievement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Class 2 (“Low cognitive processing”) followed by Class 1 (“Significantly low cognitive processing”) in cognitive processing. Class 3 (“Average group with slightly low writing composition”)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Class 2 (“Low cognitive processing”) in cognitive processing. A summary and discussion of the study result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