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 질문저해요인 척도 타당화 연구

        김수란(Kim, Sur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행동이 저해되는 이유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93명의 대학생과 2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질적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질적자료를 바탕으로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여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자료를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의 질문저해요인은 학습자 내적요인으로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관계적 특성,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자 외적요인으로 '교수자 성향 특성, 교수자 반응 특성, 수업 체제 특성'의 7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 질문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earners' questioning hesitation factors during college lectures. In order to reach this objective, this study collected qualitative data of ninety-three college students and two professors. Based on this data, this study developed a self-reporting scale for two hundred and forty college students to do a preliminary survey.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the preliminary survey,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factors of learners' hesitation were composed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internal factors were cognitive quality, affective quality, socio-relational quality, and epistemological belief. The external factors were the professors' tendency, reaction, and the lecture structure.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ors based on the main survey data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can therefore suggest a useful way to set an environment to promote learners' questions.

      • KCI등재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체제 및 평가지표 개발

        김수란(Kim Suran),이선경(Lee, S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대학 실정에 맞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체제 구축과 그에 부합하는 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대학 내 모든 정규 교육과정에 활용 가능한 통합된 인증체제와 평가지표를 2개년도에 거쳐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체제 구성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1차년도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토대로 평가영역 및 준거를 도출하여 평가지표 초안을 구성하였다. 교육과정이 실제로 역량에 기반하여 개발, 운영 및 성과 관리될 수 있도록 목표에 따라 총 3단계(기초인증, 본인증, 성과인증)로 인증을 구분하였으며, 단계별 평가지표는 대표적인 교육평가모형인 CIPP모형을 기반으로 총 4개 평가영역, 10개 평가항목(요소), 20개 지표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2차년도 연구에 해당하는 본 연구를 통해 A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 12개 정규 교육과정에 실제 평가를 적용하여 봄으로써 개선사항을 파악하였으며 수정 델파이 기법(modified Delphi Technique)을 활용하여 전문가 의견을 반영, 각 항목을 수정하고 최종 평가지표로서 타당화하였다. 특히 1차년도 대비 2차년도 연구상 발생한 수정⋅변화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이론적으로 타당하면서도 현장 적용성 높은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 평가지표의 개발 및 보급 필요성과 대학의 역량기반교육과정과 관련한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curriculum accreditation system and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competency of university. The integrated accreditation system and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all regular curriculums in universiti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over two years. The specific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his study wa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and the appropriate evaluation area, criteria, and indicators were drafted. The accreditation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goal so that the curriculum can be developed, operated and managed based on the competence. The evaluation indicators consisted of 4 areas, 10 items, and 20 indicators based on the CIPP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which corresponds to the second year s study, identified improvements by applying actually to 12 regular curriculum of 4-year universities in A region, and used modified Delphi Techniques to reflect expert opinions, revise each item and make it a final evaluation indicators. In particular,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easibility of change in the second year compared to the first year, and the evaluation indicator which is theoretically valid and highly applicable to the field, was deriv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reditation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follow-up study related to competency-based university curriculum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용 다면적 학습역량 진단 검사(MLCT) 개발 및 타당화

        김수란(Kim suran),김미영(Kim m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역량을 다면적으로 파악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돕기 위한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습역량의 상위요인을 구성한 후,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학습역량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91개의 예비 진단문항을 개발해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53명의 대학생들에게 예비조사를 거쳐 기초문항분석을 실시한 후, 79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해 구성요인의 타당도와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다면적 학습역량 진단도구(MLCT)는 동기 차원에 내재동기, 외재동기, 자기효능감, 목표설정, 의지통제를 측정하는 22문항, 인지 차원에는 수업집중전략, 인지학습전략, 창의적 문제해결을 측정하는 17문항, 행동 차원에는 성실성, 학습습관, 학습자원활용을 측정하는 15문항, 정서 차원에는 우울, 학습불안, 학업스트레스를 측정하는 18문항, 환경 차원에는 교수자의 지지, 또래관계, 학습환경을 측정하는 11문항의 총 83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가 개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다면적 학습역량 진단도구는 학생 스스로 입학부터 졸업까지 지속적이며 단계적으로 자신의 학습역량을 확인해 자기주도적인 학습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더 나아가 대학에서 학생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맞춤형 학습지원체계 마련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diagnostic test to understanding of learning competency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For this, the study constructed the factors of learning competenc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n conducted a Delphi survey on experts to derive the sub-factors. Based on the selected learning competency factors, preliminary diagnostic items were develop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s.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surveys and analyzing basic items to 53 students, the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consturcts were verified by conducting CFA with data obtained through the main survey with 792 students. Results As a result, the MLCT measured 22 items for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goal setting, and volitional control in the motivation level, 17 items for measuring class concentration strategy, cognitive learning strateg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 the cognitive level, 15 items for measuring diligence, learning habits, and use of learning resources in the behavioral level, and 18 items for measuring depression, learning anxiety, and academic stress in the emotional level. Lastly, 11 items for measuring support of instructor, peer relationship, and learning environment in the environment level. Conclusions Through the MLCT validated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can gradually check their learning competency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self-directed learning. Furthermore, the university can use it to plan customized learning support so that students can have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 KCI등재

        연구 및 교재 분석을 통한 교육심리 교과목의 내용 영역 탐색

        김수란(Suran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직 교과목 중 「교육심리」수업을 계획하고 실시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교육심리학의 주요 내용 영역을 탐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 10년(2008년~2018년) 동안 교육심리학회지에 게재된 444편의 연구와 같은 기간 동안 국내에서 출간된 58권의 교재 내용 영역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개인차, 발달, 동기), 학습, 학급관리, 평가와 관련된 내용은 교육심리 연구와 교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영역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교육심리 수업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둘째, 발달 영역 중 진로발달과 발달적 차이, 개인차 영역 중 창의성, 다양한 학습자 영역 중 다문화 학생 및 감수성, 학습 영역 중 자기조절학습(사회인지주의), 학급관리 중 긍정심리와 관련된 내용은 현재 교육심리 교재에서는 다소 비중이 낮았다. 하지만 최근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므로 앞으로 수업에서 더욱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업이론이나 교사 영역, 다양한 학습자 중 장애와 관련한 내용은 최근 연구와 교재에서 다루는 비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심리 수업에서 다소 비중을 줄이는 것을 검토해봐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른 교직 교과목과 차별화되는 교육심리학의 고유한 내용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ortant area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psychology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the contents of 444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58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last 10 years(2008-2018)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learners(e.g., individual differences, development, motivation), learning, class management, and evaluation were found to be common in educational psychology studies and textbooks. Therefore, these areas should be continuously dealt with in an educational psychology class. Second, the content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creativity, multi-cultural students and sensitivity, self-regulated learning(social cognitivism), and positive psychology were not focused on in current educational psychology textbooks. However,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in these areas, so they should be dealt with more heavily in future classes. Lastl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nstruction theory, the teacher’s field of specialization, and disability among various learners were not emphasized in recent studies and text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ducing the weightage assigned to these topics in educational psychology class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unique content area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educational psychology differentiated from other teacher training courses.

      • KCI등재

        중학생 대상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수란(Kim, Sur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학생들이 호소하는 학업문제를 해소해 원만한 학업발달을 돕기 위한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문헌연구 및 학교상담 수요자(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조사를 통해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내용구성을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교육목표에 부합하고, 체계적이고 예방적인 소규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 학업상담이 효과적인지 검증하기 위해 17명의 실험집단에게 집단상담을 약 3개월 동안 15회기(1회기는 학부모 대상 상담)를 진행한 후 같은 기간 어떠한 집단상담에도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학습동기 및 전략(ALSA) 검사, 심리적안녕감(K-WBSA)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상담에 참여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습동기 및 전략과 심리적안녕감에 있어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밖에도 집단상담 경험보고서를 통해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실시해 참여 학생들의 반응을 유목화하여 상담 이후에 나타난 의식 및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것으로 본 학교 학업상담의 효과를 질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토대로 학교 학업상담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지나친 학업부담으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의 심리적안녕감이 위협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학업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건강한 학업발달에 기여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to small group counseling sessions. In order to achieve our objectives, firstly,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our literature research and a needs analysis of the user of school counseling program (students, parents, teachers). As a result, a program was developed and was made available at the school in Korea used fo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to target all students systematically as a preventative counseling model. Secondly, group counseling was carried out over the course of 3 months (15 sessions, 1 of the sessions was for parents) by applying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verify its effect. To test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unseling, this study used ALSA and K-WBSA,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rough ANCOVA.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rning motivation/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have been confirmed, depending upon their attendance of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In addition, the reflections of students upon joining this counseling program were categorized through a report on their experiences. Those who attended the academic counseling program showed higher levels of maturity and better attitudes towards academic life. This serves as important evidence of the empirical quality of our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academic counseling programs such as the one used in this study are used more actively in schools.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에서 진로 카오스 이론의 적용 방안 탐색

        김수란(Suran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진로 카오스 이론(Chaos Theory of Career: 이하 CTC)을 국내 대학의 진로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CTC 관련 연구들과 단행본을 토대로 CTC의 특성과 주요 개념들을 종합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CTC 진로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들을 분석해 CTC 기반 프로그램을 국내 대학의 진로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우리나라 대학의 진로교과목에서 다루었던 4단계 진로교육 모형(자기 이해,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계획, 진로준비)의 틀 안에서 다양한 CTC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CTC 기반 진로교육은 기존의 매칭 모델 기반교육에 비해 보다 맥락적인 관검에서 자기 이해를할 수 있도록 돕고, 급격한 직업세계의 변화속에셔 진로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이 밖에도 계획한 일과 우연한 일이 분리 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할 수 있다는 것과 현재와 같은 불확실한 상황을 오히려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촉진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haos Theory of Career(CTC) and to explore specific ways to apply it to career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and major concepts of the CTC were introduced based on CTC-related studies and book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studies tha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CTC career education and explored ways to apply CTC-based programs to domestic universities. As a result, a plan to utilize various CTC-based program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our- step career education model (self- 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the job world, career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operated in career education of most Korean universities was suggested. This CTC-based education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mselves from a more contextual point of view than the existing matching model-based education, and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in the rapid change of the job world.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the possibility that planned things and unplanned happenstance can coexist rather than separate, and to positively view the uncertain situation as it is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