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리영상과 딥러닝을 활용한 가로수준의 범죄불안감 측정 및 시각화

        김소망,최재연,강영옥 한국지도학회 2024 한국지도학회지 Vol.24 No.1

        거주민의 도시 건조환경(Urban Built Environment)에 대한 인식은 도시연구,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에 중요한 요소이다. 범죄불안감이란 특정 장소와 특정 범죄에 대해서 느끼는 범죄 발생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의 심리량을 의미하는데, 이는 개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이다. 범죄불안감은 실제 범죄율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사람들이 범죄불안감을 느끼는 지역을 찾는 것은 범죄예방에 효과적이며 중요한 과정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도시 건조환경에 대한 불안감 측정은 소수의 사람과 제한된 범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나 현장조사에 의존하여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거리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시민들이 느끼는 범죄 불안감을 측정하고 시각화하는 것이며 연구대상지역은 서울시 영등포구이다. 거리영상을 활용하여 범죄불안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거리 영상에 대한 사람들의 범죄불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평가점수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맵 API를 활용하여 거리영상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영상 중 20,886장의 거리영상을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불안감을 느끼는 거리가 어느 쪽인지를 응답하도록 하는 171,942개의 훈련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쌍별비교 데이터 셋으로 Global-Patch-RSS-CNN모델을 훈련 후, 훈련된 모델을 연구대상 지역 전체에 적용하여 범죄불안감 예측점수를 도출하고 시각화였다. 본 연구는 거리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범죄불안감을 측정하는 첫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 그리고 범죄불안감이 높게 평가되는 지역의 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도시 계획 및 범죄 예방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Residents’ perception of the urban built environ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urban studies,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Perceived fear of crime is a psychological measure of fear about the likelihood of a crime occurring in a particular place and for a particular crime, which is a subjective assessment by the individual. Fear of Crime is increasing faster than the actual crime rate, so identifying areas where people feel fear of crime is an effective and important process for crime preven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been limited by relying on surveys or fieldwork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a limited sco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visualize the fear of crime felt by citizens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the study area is Yeongdeungpo-gu, Seoul. In order to measure fear of crime using street view images, it is necessary to measure people’s fear of crime on street images and build a model to predict the evaluation score using a deep learning model. For this study, we collected street view images using Kakao Map API. Using 20,886 street view images from the collected images, we built a training data set of 171,942 images that ask users to respond to which street they feel relatively unsafe. After training the Global-Patch-RSS-CNN model with the constructed pairwise comparison data set, the trained model was applied to the entire study area to derive and visualize the prediction score of fear of cr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the first case of measuring urban fear of crime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it can contribute to effective urban planning and crime prevention strategies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reas with high fear of crime.

      • KCI등재후보

        기록정보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방법론과 실제 -성공회대 민주자료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소망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0

        The present study will be focused on exploring the qualit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Sungkonghoe University’s Demos-Archives. Additionally, the study verified how this would affect the user satisfac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use the service again. Also, an integrated study was conducted by supplement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nalyzing the interviews on user satisfaction. Furthermore, few suggestions were offered in ameliorating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hat would prompt users to utilize the services again and the future direction it might adopt. Accordingly, a research model was implemented which in turn will enable us to a conduct professional statistical research whereas conducting interviews simultaneously, ergo the major elements of the model based on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re the following four, quality of the archival Information, quality of the access service, quality of the archival Information online system, and quality of the off-line infr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quality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s well as its offline facilities did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users and their willingness in using the service again. Even though the results from the quality element from the access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user satisfaction, the element of returning users showed responsiveness and perceptual openness were quite significant. It might be necessary more systematic research is continued on the diverse types of private archive services, by evaluating and checking the user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ivate archives and in implementing needed improvement measures respectively. 본 연구는 성공회대 민주자료관의 기록정보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이것이 이용 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으며, 면담연구를 통해 연구결과를 보완하는 통합연구를 수행하여 이용자들이 만족을 느끼고, 또 기록관에 재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과 앞으로 성공회대 민주자료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기록정보서비스를 기록정보 품질, 접근 서비스 품질, 온라인 시스템 품질, 오프라인 시설 품질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여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전문적 통계연구와 면담연구를 동시에 진행·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록정보 품질과 오프라인 시설 품질이 각각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접근 서비스 품질 중 응답성은 이용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재이용 의도의 경우 응답성과 공감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다양한 유형의 민간기록관 각자의 현장 수요에 맞는 이용자데이터 중심의 평가·점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또한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산 및 수입산 냉동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의 수분함량과 Drip양 비교

        김소망(So-Mang Kim),경제(Kyeong-Je Kim),조아로(A-Ro Jo),박준기(Jun-Ki Park),조천호(Cheon-Ho Jo),권기성(Kisung Kwon),중범(Jung-Beom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인위적으로 증량된 냉동 송이버섯 및 능이버섯의 유통을 차단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냉동 송이버섯 및 능이버섯에 인위적으로 증량된 첨가물과 수분 및 drip양을 실험하였다. 국내산 및 수입산 냉동 송이버섯 및 능이버섯에 대해 첨가물별 정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나 냉동 송이버섯 및 능이버섯의 인위적 증량을 위해 첨가물이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냉동 송이버섯의 수분함량은 국내산이 88.54%로 가장 낮았으며, 연길 90.65%, 티베트 92.75%, 운남 94.88%로 시료 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능이버섯의 수분함량은 중국산 92.37%, 국내산 91.63%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국산 냉동 송이버섯을 산지별로 확보하여 해동 후 drip%를 측정한 결과 티베트 및 운남산 냉동 송이버섯이 각각 23.13%, 20.07%, 연길산 냉동 송이버섯이 14.51%, 국내산 냉동 송이버섯이 11.65%로 국내산보다 중국산 냉동 송이버섯에서 다량의 drip이 발생하였다. 냉동 능이버섯의 경우 국내산 20.79%, 중국산 22.69%로 두 집단 간 drip양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국내산 냉동 송이버섯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분함량과 drip양을 나타낸 운남 및 티베트산 냉동 송이버섯의 경우 세척 과정 중 장시간 물 침지를 실시하여 인위적 증량을 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송이버섯을 각각 0.5에서 24시간까지 물 침지한 후 냉동시켜 해동하였을 때 발생한 drip양을 비교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8.84%, 2시간 침지한 경우 21.42%로 물 침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drip양이 증가하였다. 생능이버섯을 0.5에서 24시간 동안 각각 물 침지하여 drip양을 측정한 결과 침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침지 시간에 따른 drip양 변화를 기반으로 인위적 가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중국산 냉동 송이버섯의 경우 수입 시 발생할 수 있는 검역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물로 세척한 후 냉동하여 수입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물 침지를 실시하지 않은 냉동 송이버섯의 drip양을 인위적 증량 판별 기준점으로 선정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내용량이 표시량보다 20% 이상 부족할 경우 행정처분을 가하는 식품위생법과 2시간 이상 물 침지를 실시하여야 drip양이 20%를 초과하는 본 실험결과 및 송이버섯 세척에 2시간 이상 소요되지 않는 세척공정을 고려하여 drip양 20%를 냉동 송이버섯의 인위적 증량 기준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dditives and water content used for artificial weight increase in frozen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No additives were detected in mushrooms based on the additives identification test. Moisture content of domestic frozen T. matsutake was lowest at 88.54%, whereas those of Yanji, Tibet, and Yunnan were found to be 90.65%, 92.75%, and 94.88%, respectively. The drip% of frozen T. matsutake in Tibet, Yunnan, and Yanji were 23.13%, 20.07%, and 14.51%, respectively, whereas drip% of domestic frozen T. matsutake was 11.65%. The drip% of frozen S. aspratus was 20.79% of Korean and 22.69% of Chinese produc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t is suspected that long-term water immersion is carried out during the washing process for frozen T. matsutake from Tibet and Yunnan, whi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 and drip% than domestic frozen T. matsutake. Artificial water immersion of raw T. matsutake was performed from 0.5 to 24 hours respectively, followed by freezing and thawing to compare the drip amount. As a result of artificial water immersion of T. matsutake, higher than 20% drip percentage was observed 2 hours after water immersion. Considering that water immersion processes do not take longer than 2 hours to wash mushrooms and food hygiene applies administrative measures when the net weight is 20% or less than the stated quantity, we suggest higher than 20% drip percentage to judge the artificial weight increase in frozen T. matsutake.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