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시설변화 방향에 따른 기존 학교 리노베이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김성중,이호진,Kim, Sung-Joong,Lee, Ho-Chin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02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 No.2

        This study purpose is extract on the architectural principles and architectural planning direction for existing school facility renov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occur to renovation from change factor and change direction of the school facility under prerequisite, school facility change direction is with a pedagogy side and it classified with the social side which it bites and it presented. School facility renovation extracted a plan principles with the base which will reach. Was extracted renovation plan Principle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of necessary condition of school facility, It follows in renovation principle presented the renovation plan direction 61 branch.

      • KCI등재후보

        유지기 림프부종환자에서 MLD가 부종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성중,노효련,Kim, Sung-Joong,Ro, Hyo-Lyun 대한물리치료학회 2009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1 No.4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nual lymph drainage (MLD) on edema and the quality of life (QOL) of lymphedema patients in the maintenance phase. Method: Forty five lymphedema patients, who had completed intensive decongestive thera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s: Experimental (MLD) group (n=23) and control (self-MLD) group (n=22). MLD by a specialist was applied with a comfortable pressure for 40~60 minut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elf-MLD was carried out by the control group 5 times a week for 2 weeks. The % edema and a SF-36 questionnaire were used to measure the decrease in edema and the QOL.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eriod,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Result: The % ede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MLD (p<0.05). The physical, vitality, and mental health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TMLD by a specialist in the maintenance phase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 edema and enhancing the QOL of lymphedema patient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many types of treatment methods in the lymphedema treatment.

      • KCI등재

        낭만주의 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김성중(Sung-Joong Kim)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3 영미문학교육 Vol.17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tackle the problem of what to teach in a undergraduate Romanticism course in South Korea where English is a foreign language. My argument is that we should not teach the course contents set by the English departments of the countries where English is the first language. For example, Wordsworth's "Tintern Abbey" is being taught in the most of Romanticism classes in South Korea just because it is considered one of the best poems as his canon by the Western scholars. However, it can be too difficult for average Korean students who us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s a matter of fact, a great number of students taking a Romanticism class wish they could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by reading English literary works. To meet their demand, difficult poems, even when they are must-read poem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should be removed from course contents. Besides, to attract students to Romanticism courses, a cultural approach including music and painting is recommended, and short and easy-to-understand poems should be dealt with. For example, when students listen to and compare Mozart's and Beethoven's music, they will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Neo-Classicism and Romanticism. I also suggest that some women poets, who have been neglected for many years, should be included in the course. I believe it is my duty as a Romanticism professor to tell students the historical truth that Romanticism is not just about male poets but about women poets who were more popular at the time.

      • KCI등재

        청소년들을 위한 교회 안에서의 친교와 교제 연구

        김성중(Sung-Joong, K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1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0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가 OECD 국가 중에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굳이 통계를 살펴보지 않아도 익히 예상되는 바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입시위주의 문화 가운데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청소년기에 겪는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힘들어하고 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비결, 어려움을 극복하는 길은 바로 나와 비슷한 주제의 스트레스를 받고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동료들을 만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청소년에게는 동료들과 함께 하는 친교와 교제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친교와 교제의 장(field)은 어디가 되어야 할까? “학업”이라는 주제로 경쟁적인 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학교와 학원에서는 마음을 터놓고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나누는 친교와 교제가 이루어지기가 힘들다. 따라서 교회 공동체가 친교와 교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한다. 교회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걱정과 고민을 편안하게 나누고, 자신의 가정생활, 학교생활, 학원생활 가운데서 경험한 이야기를 솔직히 나누고,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경험한 이야기를 나누고, 즐겁게 레크리에이션에 함께 참여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친교와 교제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친교와 교제는 청소년부 안에서 다양한 공동체 모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교회 안에서의 친교와 교제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친교와 교제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찾아보았다. 그리고 친교와 교제는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친교와 교제의 장으로서의 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을 위한 교회 안에서의 친교와 교제의 실제를 제시하기 위해 친교와 교제의 목표, 내용, 방법을 제시해보았다. 본 논문은 코로나19 시대 가운데 현장 모임의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교회안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의 친교와 교제가 약화된 현시점에서 친교와 교제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강조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Even without looking at statistics, it is well to be expected that Korean teenagers have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among OECD countries. Korean teenagers are under a lot of stress in a culture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s, and they are struggling with various problems they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The secret to relieving stress and the way to overcome difficulties is to meet a colleague who is experiencing stress and difficulties similar to one. In this respect, fellowship with peers are very important for teenagers. Where should the field of fellowship be? In schools and private institutes where a competitive culture is formed under the theme of “study,”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fellowship where people can openly share their lives with one another. Therefore, the church community should be a place where fellowship can take place. Teenagers can comfortably share their worries and anxieties in the church community, candidly share their experiences in their family life, school life, and private academy life, share their experiences of God’s guidance in their lives, and participate in recreational activities happily. Fellowship at the level of the youth should be conducted. Such fellowship can be achieved through various community gatherings within the youth department in the church. With this goal,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first looked up the biblical basis for fellowship in the church for youth. Since fellowship take place within the community, the rationale for the community as a place of fellowship was examined. Finally, in order to present the practice of fellowship in the church for youth,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fellowship. This paper is important in that it emphasized the need for fellowship at a time when teenagers’ fellowship in the church has weakened while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of field gatherings in the era of COVID-19.

      • KCI등재

        “EDUCATION FOR LIBERATION” BASED ON THE PARADIGM “MISSION FOR LIBERATION”

        KIM Sung-Joong(김성중)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3

        본 논문은 종교교육학과 선교학의 이론에 기초해서 작성된 것이다. 자세히 말하면, 필자는 “해방을 위한 선교”의 기초이론으로서 신학과 선교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해방신학을 살펴보았고, “해방을 위한 교육”을 뒷받침해 주는 이론으로서 종교교육학에서 다루는 “전통과 변혁,” “종교적 상상력” 그리고 “프락시스”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균형감을 가지고 “해방을 위한 선교”를 이해하는 것이고 “해방을 위한 교육”이라는 중요한 교육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필자는 종교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세계와 상황 속에서 존재하는 문제들을 인식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의로운 활동에 참여하고, 진정한 평화를 만드는 사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북돋우고 힘을 불어넣어 주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종교교육은 이 세상을 억압과 폭력 그리고 부정의가 없는 하나님의 나라로 만드는 데 일조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바램을 가지고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해방을 위한 선교”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나서 해방을 위한 교육의 몇 가지 성서적인 근거들을 찾고 해방을 위한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해방을 위한 교육의 방법으로서 종교적 상상력과 프락시스를 제안하고, 종교교육자의 역할을 밝히는 것을 통해 “해방을 위한 교육”이라는 하나의 종교교육의 모델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종교교육학과 선교학 사이의 학제 간 연구의 모델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종교교육학자들과 선교학자들에게 선교지에서 행해야 하는 종교교육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가난한 나라 선교지에 있는 교사들과 선교사들이 건전하면서 균형감 있는 해방교육의 관점을 가지고 효과적인 종교교육을 시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theories of religious education and missiology. To be specific, I examined liberation theology in theological theories and missiology as a basis of “mission for liberation.” I looked at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religious imagination,” and “praxis” in religious education as a basis of “education for liberation.” Thus,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eply understand “mission for liberation” with a balance. The second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n educational model “education for liberation.” I believes that religious education has an important role in encouraging student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ir world and to do righteous and peaceful actions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s. The religious education should strive to change the world into the kingdom of God, where there is no oppression, violence, and injustice. In this paper, I looked into “mission for liberation.” After that, I showed an educational model “education for liberation” by finding the biblical grounds of education for liberation, setting the goal of education for liberation, suggesting “religious imagination” and “praxis” as the methods of education for liberation, and revealing the roles of religious educators. This paper shows the model of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religious education and missiology, and gives new insights about religious education in poor countries to religious education scholars and missiology scholars. Furthermore, this paper helps teachers and missionaries in the poor countries effectively teach their students with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liberation based on the mission for liberation.

      • KCI등재

        [특집. 국어 학습사전의 현황과 전망] : 한자학습사전의 현황과 과제

        김성중 ( Sung Joo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6 No.-

        본고는 한자와 한자어 학습에 필요한 한자학습사전의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뒤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표제자를 선정할 때는 학습대상자의 학습 목적과 함께 사전의 전체적인 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가차원에서 자형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에 다소 어려움은 있지만, 적어도 동일 사전 내에서는 동일한 字形, 字體를 사용해야 한다. 표제자의 의미항목 선정과 조직은 용례로 제시되는 한자어에 근거해야 하며, 해당 한자어들은 학습용 어휘 등의 말뭉치에서 선별되어야 한다. 한자어의 의미 풀이는 국어사전의 풀이를 보다 쉽고 간명하게 하되 형태소의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 한자학습사전은 언어적인 정보만이 아닌 종합사전의 형태를 취하게 될 것인데, 字源등의 부가 정보의 기술에 있어 구성의 통일성 보다는 학습의 효율성, 정보의 정확성을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learner``s dictionaries necessary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and describes our proposal about the future task. When selecting headwords, we need to consider the whole composition of a dictionary, along with student learning goals. We have not had a definite Chinese character type at national level yet. In spite of the difficulty, however, at the very least, we ought to maintain the use of a common character type and font in a common dictionary. We also suggest that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an item’s meaning should be based on Sino-Korean words given as examples in a dictionary, and the Sino-Korean word should be selected from a corpus related to vocabulary that is being learned. The definition of Sino-Korean word needs not only to be simpler and more concise than the Korean dictionary version, but also to reflect the meaning of the grapheme. A learner``s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does not merely provide linguistic information, but also assumes the form from a comprehensive dictionary. Therefore, when i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we should take account of the efficiency of learning or the accuracy of information, rather than the unity of the composition.

      • KCI등재

        신학교 진로교육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김성중(Sung Jo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9 No.-

        요즘은 많은 학문의 영역에서 “멘토링”을 논하고 있다. 상담학에서도 “멘토링”적 상담을 이야기하며, 교육학에서도 “멘토링” 교수법을 강조하며, 행정학에서도 “멘토링”의 리더십을 언급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가 되고 있다는 것은 멘토링에 대한 시대적인 요청이 있다는 뜻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교수와 학생, 선배와 후배, 목회자와 평신도 간의 수직적인 구조의 인간관계가 아닌, 사랑과 배려 안에서 수평적인 구조의 인간관계를 추구하고자 하는 열망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현상에 발맞추어 신학교는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도입할 필요가 있다. 멘토링을 통한 교육이야말로 삶을 통해, 인격적인 관계를 통해 가르침의 내용이 전달되는 진정한 기독교교육학적인 방법이다. 현재 한국교회의 신뢰는 땅바닥에 떨어지고, 선교에 대한 열정은 식어지며, 교회는 감소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신학교가 신학생들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멘토링 프로그램은 진로교육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사명을 따라 졸업 후 구체적인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신학생들을 도와주어야 한다. 특히 교회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할 일꾼들을 키워야 한다. 사회 안에서 하나님의 가치로 일하는 신학교 졸업생들이 많아질 때 도시선교, 직장선교, 문화선교에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심을 가지고 멘토링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살펴보았고, 한국의 종합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멘토링 프로그램 몇 가지를 소개했고, 그다음 신학교에서 시행할 수 있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Nowadays diverse academic areas discuss “mentoring.” For example, in counseling, many scholars mention the “mentoring-focused counseling;” in education, many scholars emphasize the “mentoring-centered educational method;” in administration, many scholars refer to the “mentoring-styled leadership.” This phenomenon shows the request of an era about “mentoring.” Furthermore, the democratic society does not want vertical relationships, but horizontal relationships between a professor and a student, a senior and a junior, and a pastor and a lay person. Keeping up with this stream of times, a seminary should develop diverse mentoring programs and implement them in order to give seminary students useful opportunities to find their identities and map out their career paths. The educational method of mentoring is one of the important Christian educational methods because the educational contents deliver to mentees by sharing their lives, thoughts, and feelings with their mentors in a cooperative and trusting relationship. With this interest,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theories about the mentoring, introduced some mentoring programs that the Korean Universities have implemented, and presented some mentoring programs that the Korean seminaries can implement.

      • KCI등재

        쉐리던의 『피자로』에 나타난 아이러니

        김성중(Sung-Joong Kim)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15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19 No.2

        Sheridan`s Pizarro is a translated version from Kotzebue`s Die Spanier in Peru in German, s and this fact may have caused it to fail to draw as much critical attention as his major works such as The School for Scandal or The Rivals did. However, its political impact on the audience, the majority of whom were illiterate and had no access to books, would have been more powerful than any other works of his. Pizarro was praised as invoking English patriotism against upcoming French invasion, and for this reason the king George the third and his family came to watch the play. Although it apparently supported his kingship, Sheridan was criticizing his government`s oppression against political radicals and its colonies. As an Irish born, he was very sensitive against British colonial policy of India or Ireland. By using irony, he led some of the audience to believe that the play was criticizing French invasion, but in reality its target was on British government. His intent becomes clear when we see how he changed Kotzebue`s original text. He omitted and added numerous dialogues to express his radical views against William Pitt`s oppressive policy. For example, the part of Rolla`s dialogue against Spanish people was originated from Sheridan`s speech in Warren Hasting`s trial over his oppressive policy against Indian people. In short, Sheridan used an ironic tactic to avoid any possible censorship against his rebellious views; his attempt worked well and the play was very successful on the stage.

      • KCI등재

        메타버스 이해를 통한 교회교육의 원리와 그에 따른 적용점 연구

        김성중(Sung Jo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7 No.-

        우리는 지금 메타버스 시대 속에 살고 있다. 학계, 정치계, 경제계, 언론계뿐만 아니라 교계에서도 메타버스 열풍이 불고 있고, 메타버스를 모르면 시대에 뒤처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까지 한다. 메타버스를 통해서 현실 세계를 뛰어넘는 가상 세계를 경험하고 있고,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가상 세계를 실감나게 구현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계속 출시되고 있고,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 교육도 가능하고 모임도 가능하고,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교회도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예배, 수련회, 모임, 레크리에이션 등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메타버스”에 대해 이해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메타버스의 정의가 무엇인지, 메타버스의 영역과 내용은 무엇인지, 어디까지를 메타버스라고 규정할 수 있는지 등등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각기 다르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메타버스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메타버스는 학계에 깊이 있는 고찰과 탐구를 하기 전에 상업적인 측면에서 대중화한 용어이기 때문에 메타버스에 대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심사를 가지고 본 논문은 메타버스의 정의 및 핵심 내용(영역)을 살펴보고, 메타버스의 대표적인 플랫폼인 로블록스, 제페토, 게더타운, 이프랜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메타버스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메타버스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메타버스를 교회교육 안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메타버스 시대 교회교육의 원리를 추출하고, 그 원리에 따른 적용점을 찾아내었다. We are now living in the Metaverse era. Metaverse fever is blowing not only in academia, politics, business, and media, but also in religious circles, and if you do not know Metaverse, you even feel like you are behind the times. Through Metaverse, we are experiencing a virtual world beyond the real world,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is breaking down.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realistically implements the virtual world, the Metaverse platform continues to be released, and it is equipped with the function to educate, gather,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events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In this situation of the times, churches are also attempting worship, retreats, gatherings, and recreation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Metaverse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Metaverse is different, such as what is the definition of Metaverse, what is the area and content of Metaverse, and what part can be defined as Metaverse. With these interests, this paper examined the definition and core content(area) of Metaverse, and examined Roblox, Zepeto, Gather.town, and Ifland, which are representative platforms of Metaverse. And in order to objectively examine the metavers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metaverse were analyzed. Next,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Metaverse in church education, the principles of church education in the Metaverse era were extracted, and the application point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wer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