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삼음교(三陰交)(SP<sub>6</sub>)·족삼리(足三里)(ST<sub>36</sub>) 백복령약침(白茯笭藥鍼)이 만성 스트레스 모델 흰쥐에 미치는 영향
김선욱,김재홍,조명래,신정철,Kim, Seon Wook,Kim, Jae Hong,Cho, Myoung Rae,Shin, Jeong Cheol 대한침구의학회 2015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9 No.5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ing the effect of Poria cocos pharmacopuncture (PCP) at $SP_6$(Sameumgyo) and $ST_{36}$(Joksamni) on chronic stress model(CSM) rats. Methods : The experimental rats were assigned to five groups: normal, CSM(control), PCP1X, PCP2.5X and PCP5X. The experimental rats in CSM(control), PCP1X, PCP2.5X and PCP5X were put through a timetable to cause CSM. PCP($20{\mu}l$) was administered at $SP_6$, $ST_{36}$ to groups PCP1X, PCP2.5X and PCP5X once every three days for a total of six times. The weight of the rats was measured by an electronic scale after PCP injection, once every three days for a total of six times.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rats for analysi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kit. Results : The experimental groups(PCP1X, 2.5X, 5X) showed significant body weigh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garding AST and ALT changes in serum, the experimental groups(PCP2.5X, 5X)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Serotonin changes in serum, the experimental group(PCP5X)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Norepinephrine changes in serum, the experimental groups(PCP2.5X)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se data suggest that PCP at $SP_6$, $ST_{36}$ has therapeutic effects on CSM rats.
축산물 중 Fenpropimorph와 대사체 Fenpropimorph-acid 동시분석법 개발
김선욱 ( Seon Wook Kim ),임다정 ( Da Jung Lim ),김영은 ( Young Eun Kim ),윤지현 ( Ji Hyun Yoon ),김희경 ( Hee Gyung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Fenpropimorph가 사용된 곡류들은 가축의 사료로서 사용되어 축산물에서 잔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 잔류농약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소고기(등심), 돼지고기(삼겹살) 닭고기(닭다리살), 우유, 계란과 부산물인 소지방 및 돼지지방등이었다. QuEChERS 방법에 준하여 시료를 전처리한 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법은 7가지 축산물 시료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위해 회수율 시험 및 상대표준편차(RSD), 매질효과를 통한 ion suppression 또는 enhancement 정도를 시험하였다. 분석법 정량한계 (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 는 0.005 mg/kg 이었으며 축산물 중 fenpropimorph 회수율은 MLOQ, 2MLOQ, 10MLOQ 수준에서 평균 69.1~92.5%,76.6~90.2%, 82.6~100.6%이었다. Fenpropimorph-acid의 회수율은 MLOQ, 2MLOQ, 10MLOQ 에서 평균 69.3~111.1%, 76.3-100.7%, 70.1~111.2%이었다. 회수율의 상대표준편차 (RSD)는 20% 미만이었으며 분석성분의 매질효과는 -4.410~11.82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축산물 중 fenpropimorph와 대사체 fenpropimorph-acid 동시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김선욱 ( Seon Wook Kim ),신정철 ( Jeong Cheol Shin ),김재홍 ( Jae Hong Kim ),조명래 ( Myoung Rae Cho ),이정훈 ( Jung Hun Lee ) 경락경혈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2 No.2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report one case of the diabetic ophthalmoplegia by acupuncture at Jok-Gwoleum Gan Gyeong.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for about 5 weeks. W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by observing the patient``s symptoms. Results : After acupuncture the patient``s symptoms such as strabismus, headache, ptosis, Rt eye pain and discomfort and both shoulder pain were considerably reduced.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pport that acupuncture at Jok-Gwoleum-Gan-Gyeong can have a meaningful effect in improving symptoms of diabetic ophthalmoplegia.
김선욱(Seon-Wook Kim) 한국철학회 2020 철학 Vol.- No.143
이 논문의 목적은 프라이버시 개념에 내재한 규범성을 드러내 보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아렌트의 프라이버시 개념을 분석하고, 친밀성의 프라이버시 주장과 인권의 충돌에 대해 살펴본 뒤, 개인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공간 프라이버시, 자기결정의 프라이버시, 그리고 정보 프라이버시로 나누어 각각의 경우의 규범성을 점검한다. 아렌트는 가장 사적인 영역인 프라이버시가 가장 정치적인 중요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개인 프라이버시의 영역에서 정보 프라이버시는 한국이나 미국에서 헌법적 권리로 존중되지 않고 공익의 관점에서만 다루어진다. 현대에는 개인과 관련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국민의 복리를 도모하는 것을 정부의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로 삼고 있으므로, 개인정보는 개인과 국가 사이의 민주주의적 균형의 문제를 함축한다. 프라이버시는 인간의 공적 삶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이며 그 영역의 보호는 공공성을 추구하는 시민의 노력에 달려있다. 프라이버시의 규범은 공공성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norms that are implied in privacy. To pursue this goal, we proceed from analysing Arendt’s view of privacy, through checking the norms in the privacy of intimacy, the kinds of privacy such as the space privacy, the self-determination privacy and the information privacy, and to examining norms of privacy that contemporary citizens may value. Arendt shows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privacy. Since a lot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 the hands of the government, the matter becomes now of the democratic balance between citizens and the government. Privacy is the foundation on which the public life is to be built, and it can be secured by the endeavor of citizens who pursue the public good.
김선욱(Kim Seon-Wook)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0 No.-
이 논문은 유대인으로서의 아렌트의 사상적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한 연구논문이다. 아렌트는 민족으로서나 종교로서 유대주의 혹은 유대교와 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다. 또한 반셈주의에 대한 유대인의 잘못된 접근들에 대해서도 신랄하게 비판한다. 또한 헤르츨의 시온주의를 비판하면서 라자르의 시온주의에서 강조한 자각적 파리아 개념에서 유대인의 역사적 역할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다. 아렌트는 정치적으로 유대인들이 생존과 자립을 위해 어떤 방향의 길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관심을 갖고 유대인 관련 주제들에 접근했지만, 결국 이 작업을 바탕으로 아렌트는 개인들이 자각적 의식을 갖고 올바른 정치판단을 기반으로 한 정치적 대화를 일구어 내는 정치사상으로 나아갔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Hannah Arendt’s theoretical encounter with Jew-related political issues. Arendt did not give nor take strong influence with regard to Judaism. She harshly criticized Jewish people’s wrong approaches to antisemitism. While being critical to Hertzl’s Zionism, she learned about the historical role of the Jewish people from Lassare’s concept of the conscious pariah. Arendt’s critical encounter with Jew-related issues eventually drove her to establish a political thought on the basis of political judgment along with political awareness.
김선욱(Seon Wook Kim) 철학연구회 2009 哲學硏究 Vol.0 No.87
Hannah Arendt uses the concept of the public happiness in her On Revolution, but she does not use it in other texts. It depicts the feeing of happiness experienced in the practice of the political freedom, and many Koreans experienced it during the Candle Demonstration happened in 2008 in Seoul, Korea. It was also experienced in several political occasion in recent history of Korea, such as the Whole Nation Joint Assembly of 1989, the Kwangju People`s Uprising of 1980, and the Memorial Candle Demonstration for Hyo-soon and Mi-sun of 2002. Arendt explains this experience in terms of an individual political action, which is quite a liberal way of explanation. However, it appears that her concept of the sheer togetherness of men may be the better conceptual tool by which the public happiness can be explained: this is rather a republican way of explanation. Thus, the public happiness is better understandable if we adopt a republican view, and I believe, Arendt`s political thought is also the same.
김선욱(Seon-Wook Kim)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4
한나 아렌트는 19세기 이후의 서구 전체주의 빛 나치스에 의한 유대인 대학살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전체주의에 대한 “이해(comprehension)”를 추구하였다. 이를 목적으로 그는 내러티브를 서술의 방식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이론정립 혹은 논증 구축의 성격을 갖지 않은 다른 차원의 서술 방식이었다. 그래서 『전체주의의 기원』 간행 이후 내러티브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논쟁이 유발되기도 했다. 이 논문은 아렌트가 사용한 내러티브적 서술이 갖는 특징을 하버마스의 소통적 합리성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을 통해 우리는 내러티브의 주체가 이야기하는 주체로서 상호이해를 지향하기 보다는 일방성을 특징으로 한다고 할 수 있고, 형식적으로 상대를 내 입장으로 들어와 생각하게 만드는 초대의 성격을 가지며, 이를 통해 나의 관점 속으로 타인들이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관점의 공유를 통한 의시소통을 목표로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내러티브에는 삶이 반영되어 있기에 정체성과 연대성이 강화되는 구조를 가지며, 근대성과 관련해 볼 때 내러티브는 근대를 유지하면서도 단절을 이룬다. 즉 근대와 더불어 계몽적 의식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근대와 어느 정도 일치하지만, 이성과 감성 모두를 활용하는 전인격적 인 만남의 도구로 내러티브가 제시된다는 점과 내러티브가 단편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내러티브는 근대성과 단절된다. 또한 내러티브는 하버마스가 말하는 공통의 생활세계를 그 형식에 있어서는 받아들일 수 있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받아들일 수 없다. 나치스의 유대인 학살 등의 모습에서 경험하였듯 이제 이 세상에는 공통의 인간성이라는 것, 공통의 인식적 배경이 붕괴되었기 때문에 아렌트는 내러티브를 통해, 의사소통적 합리성에 따른 합의나 상호이해가 불가능한 일들을 말로 옮기고 그 옮긴 내용을 직면하도록 한다. 결국 내러티브는 일상적 언어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근대적 합리성 혹은 의사소통적 합리성에서 간취하지 못하는 부분을 간취하여 소통을 이루려는 특성을 갖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Hannah Arendt looked for a "comprehension" of the totalitarianism of the 19th century Europe. For this purpose she used narrative as her style of writing, which does not aim at a theory-building or an establishment of logical argumentations. Because of the novelty of this writing style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caused a dispute on the scientific character of narrative. This article aims at 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narrative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explicated by Jurgen Habermas. From the analysis we see that the story-teller is one-directional rather than pursues mutual understanding, that formally narrative has an inviting character which introduces others into my position, and that it aims at communication by means of sharing other's viewpoint by letting others come into my position. Narrative has the structure which strengthens identity and solidarity because it reflects life. To speak in terms of modernity narrative has a continuity with and a discontinuity from modernity at the same time. It has a continuity with modernity in the sense that it also shares the consciousness of the enlightenment. It is disconnected from modernity in the sense that it suggests itself as a means using rationality and sensibility at the time and in that it is fragmental rather than holistic. Moreover, narrative may accept the life-world in Habermasian sense in a formalistic way but not in a materialistic way. Since there is no common humanity or a epistemologically common ground as we experienced in the holocaust, Arendt, through narrative, tried to convey what renders consensus or mutual agreement by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impossible into language and to make us face it. Consequently, narrative a means of the trial to grasp what is not successfully delivered by the modern rationality or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to achieve communication in a different level.
김선욱(Kim Seon-wook)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5 No.-
오늘의 한국 문화의 주요 현상인 웰빙에는 이전의 근대적 문화와는 달리 몸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다른 시간 의식을 내장하고 있다. 사유에 대한 몰입보다는 몸에 관심을 쏟으면서 웰빙의 시간 의식은 현실의 시간의 흐름을 초월하지 않고 그 흐름과 함께 삶을 바라보는 태도로 나타난다. 이는 시간의 흐름의 덧없음에 절망하여 영원에로 귀환하려는 태도가 아니라 시간의 흐름 자체를 그대로 수용하는 태도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의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웰빙 문화에는 진정한 웰빙을 가능하게 하는 기재가 내장되어 있기 보다는 오히려 그렇게 하지 못하게 만드는 기만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 점은 특히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세 가지 활동에 대한 분석에 견주어 보면 분명해 진다. 먼저 노동의 본질에 비추어 보면 웰빙 문화는 오늘의 사회에 내재된 경제주의가 초래한 노예적 구조에 대한 자각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결국 노예적 웰빙의 구조에 불과하다는 것을 분명히 해 준다. 또한 작업의 본질에 비추어 보면 웰빙 문화는 그것이 소비사회의 구조 내부에서 발생된 것이라는 발생적 한계 때문에 생태적 문제를 극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웰빙 문화가 근대성에 대한 반성을 암암리에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 만, 이것이 변혁의 추동력으로 전환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인간을 진정한 자유에로 이끄는 행위의 조건에 비추어볼 때 웰빙 문화는 이 점을 철저히 외면함으로써 결국 인간을 인간적 실존이 누릴 수 있는 자유의 웰빙으로 이어지지 못함을 보여준다. 자유와 행복, 즉 진정한 웰빙의 조건은 물질이 인간의 삶에 제약하는 측면을 정확히 의식하고 이를 반성하면서 거리를 이룩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진정한 웰빙은 웰빙 문화를 향유하는 무의식적 시민들의 진정한 웰빙의 의식에로 이끌어 냄으로써 가능하게 될 것이다. Serious concern on well-being life with a special interest in body, a dominant cultur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carries with it a time-consciousness different from one dominant in modern culture: focusing on the time flowing in reality instead of trying to transcend it by contemplating next life. In spite of this chance in time-consciousness, contemporary well-being culture cannot make the genuine well-being possible but shows only a manipulating element, which becomes evident by analysing it against Hannah Arendt's separation of three human behaviors, such as labor, work and action. When we analyse well-being culture in terms of labor, it becomes evident that current well-being culture is destined to be a slave's well-being because of the lack of recognition of its slave structure inherent in modern economic system of our society. Analysing it in terms of work, we can see that it contains some implicit reflection of modernity but at the same time maximizes ecological crisis. So the analysis shows well-being culture cannot be a driving force of fundamental leap for genuine change. When we see it from the perspective of action, we can see clearly that well-being culture is far from proliferating human freedom and happiness because it neglects human condition of action which will leads us to genuine happiness based on human plurality. Conditions of genuine well-being such as freedom and flourishing can be met only when we recognize restricting conditions of materials and get a reflective distance from it. Well-being society is possible only through this recognition among citiz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