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연법 강화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

        김범수,김아람,Kim, Beomsoo,Kim, Ahram 한국개발연구원 2009 韓國 開發 硏究 Vol.31 No.2

        국내외적으로 간접흡연이나 환경 속 담배연기가 미칠 수 있는 해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그 결과 작업공간 내 금연정책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작업공간 내 금연정책이 2003년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으로 훨씬 강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001년과 2005년에 이루어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강화된 금연정책이 흡연율과 일평균 흡연 개비 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금연법강화가 실내 작업공간 위주로 이루어진 점에 착안하여 법 개정의 영향을 많이 받은 실내근무자 직업군과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실외근무자 직업군을 비교하였다. 추정 결과, 금연법 강화로 95% 수준에서 유의하게 흡연율은 4.1%p 감소하였고, 흡연자 중 일평균 흡연 개비는 2.5개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potential harmful effect of second-hand or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s a result, smoking bans in workplace become more prevalent worldwide. In Korea, workplace smoking ban policy become more restrictive in 2003 when National health enhancing law was amended. The new law requires all office buildings larger than 3,000 square meters (multi-purpose buildings larger than 2,000 square meters) should be smoke free. Therefore, a lot of indoor office became non smoking area. Previous studies in other counties often found contradicting answers for the effects of workplace smoking ban on smoking behavior. In addition, there was no study in Korea yet that examines the causal impacts of smoking ban on smoking behavior. The situation in Korea might be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Using 2001 an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s which are representative for population in Korea we try to examine the impacts of law change on current smoker and cigarettes smoked per day. The amended law impacted the whole country at the same time and there was a declining trend in smoking rate even before the legislation update. So, the challenge here is to tease out the true impact only. We compare indoor working occupations which are constrained by the law change with outdoor working occupations which are less impacted. Since the data has been collected before (2001) and after (2005) the law change for treated (indoor working occupations) and control (outdoor working occupations) groups we will use 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 We restrict our sample to working age (between 20 and 65) since these are the relevant population by the workplace smoking ban policy. We also restrict the sample to indoor occupations (executive or administrative and administrative support) and outdoor occupations (sales and low skilled worker) after dropping unemployed and someone working for military since it is not clear whether these occupations are treated group or control group. This classification was supported when we examined the answers for workplace smoking ban policy existing only in 2005 survey. Sixty eight percent of indoor occupations reported having an office smoking ban policy compared to forty percent of outdoor occupation answering workplace smoking ban policy. The estimated impacts on current smoker are 4.1 percentage point decline and cigarettes per da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of 2.5 cigarettes per day. Taking into account consumption of average sixteen cigarettes per day among smokers it is sixteen percent decline in smoking rate which is substantial. We tested robustness using the same sample across two surveys and also using tobit model. Our results are robust against both concerns. It is possible that our measure of treated and control group have measurement error which will lead to attenuation bias. However, we are find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which might be a lower bound of the true estimates. The magnitude of our finding is not much different from previous finding of significant impacts. For cigarettes per day previous estimates varied from 1.37 to 3.9 and for current smoker it showed between 1%p and 7.8%p.

      • KCI등재

        고등학교의 남녀공학 여부가 대입수능에 미치는 영향

        김범수,김가영,Kim, Beomsoo,Kim, Ga-young 한국개발연구원 2015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7 No.-

        Park et al.(2012)은 서울의 학군 내 고등학교 무작위 배정정책을 이용하여 특정 학생이 남녀공학에 배정될지 남(여)학교에 배정되는지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학생들의 성적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 논문은 학군 내 무작위 배정이 아닌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30분 이내 학교들 중에서만 무작위 배정이 이루어졌다는 중요한 현실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남녀공학과 가장 가까운 남(여)학교 두 곳을 찾아서 이 학교들과의 성적의 차이만을 찾음으로써 보다 정확한 남녀공학과 비교한 남(여)학교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Park et al.(2012)에서는 한 해 연도의 자료만을 사용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다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결과가 안정적인지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보다 정확한 분석의 결과, 남녀 모두 단성학교가 공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성적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 결과를 Park et al.(2012)과 비교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단성학교의 효과가 Park et al.(2012)보다 작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Park et al.(2012)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Park et al. (2012) examined the impacts of coeducation in high school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using random assignment in Seoul high schools. However, the student random assignment in Seoul within a school district was performed only within 30 min commutable area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nd Park et al. (2012) did not aware of this rule. This paper reexamines the question by matching nearest two single sex schools with a coeducation school within a school district. We found single sex school students achieve higher test score than that of coeducation school for both male and female. The magnitude of test score improvement for female is smaller than that of Park et al. (2012). However, the magnitude for male is bigger than that of Park et al. (2012).

      • KCI등재

        영상분할법을 이용한 강판상의 부식 감지

        김범수(Beomsoo Kim),김연원(Yeonwon Kim),양정현(Jeonghyeon Yang) 한국표면공학회 2021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4 No.2

        The visual inspection method is widely used for corrosion damage analysis of steel plate due to the cost-efficient, fast and reasonably accurate results. However, visual inspection of corrosion deteriorated degree ha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results differs depending on the inspector’s individu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degree of corrosion from a given image by using image segmentation method based on the grabcut and HSV(Hue, Saturation, Value) color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inspection tool. The code written in Python based OpenCV-python libraries was used to categorize the images.

      • KCI등재

        지방정부 복지지출에 미치는 정당요인 분석

        김범수(KIM Beomsoo),노정호(ROH Jungho)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2

        2000년대 이후 한국 정당간 이념의 차이는 적어도 복지정책에 있어 점차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정부 차원의 많은 실증분석 연구들은 정당간 복지 정책에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제시하여 왔다. 본 연구는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기초지방정부의 복지정책에 있어 정당요인의 효과를 검증한다. 그 결과, 본 연구는 기초단체장 소속정당의 차이가 기초지방정부 복지지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단체장이 한나라당계열 소속에서 상대적으로 진보성향인 민주당계열 소속으로 바뀔 경우 약 1.7 퍼센트 포인트의 복지비 지출이 늘어난다는 분석 결과를 얻었다. 단체장 당적 효과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노인인구, 장애인인구와 같은 복지수요요인과 재정자립도 및 경제활동인구와 같은 복지재정 및 공급요인을 통제하여도 마찬가지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선행연구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지방정치에서 복지정치의 정당가설이 분명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article,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san politics and welfare spending in South Korean local governments using a newly constructed municipalitylevel panel dataset combining a measure of partisanship with data on welfare expenditure. Our results show that partisan control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size of welfare expenditure. In particular, shifting the head of a municipal executive office from a Grand National Party member to a Democratic Party one leads to an increase of the welfare spending by an average of about 1.7 percentage points. The results are robust to a large set of control variables, including the proportion of the poor and the financial capability of the municipality.

      • KCI등재

        지방정치 공천권력의 변화

        김범수(Beomsoo Kim),서정민(Jungmin Seo) 한국정당학회 2015 한국정당학회보 Vol.14 No.2

        본 연구는 정당의 내적 구조가 시민사회의 역량강화와 정당 내 경쟁의 심화라는 요인에 의해 다원적 권력구조로 변화함을 지방정당조직의 공천권력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정당추천이 허용되지 않았던 2002년 이전에 정당추천은 정치적 가치를 갖지 못하여 정당추천을 위한 후보경쟁이 발생하지 않았고, 정당추천은 지역위원장과 후보 사이의 후견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었다. 2006년 정당공천제 도입 이후 정당공천이 당락을 결정짓게 되자 후견주의관계에서 후견인이었던 지역위원장은 독점적 권력자가 되어 공천권력을 지배했다. 그러나 공천을 얻기 위한 당내 후보들의 경쟁이 점차 심화되면서 지역위원장의 일방적 결정은 저항에 직면하는데, 2014년 정당민주화에 대한 시민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려는 중앙당의 상향식 공천방식의 제도화는 지방정당조직의 공천권력을 공천심사위원회, 후보들, 지역위원장, 그리고 선거인단이 함께 공유하는 다원적 구조로 변화시켰다. This study argues that the power structure of local politics gradually became pluralistic as multiple actors started to share the power to nominate party candidates. The nomination power structure between 1991 and 2002 could be explained as a patron-client model because of the nonpartisan election system and low level competition. As party nomination was legalized since 2006, the local party boss’s nomination power has dramatically increased. Yet, as the party nomination increasingly became a determining factor of local election results, the competition among candidates to be nominated as a party candidate also increased. It deliminted the local party boss’ power. Consequently, Korean political parties had to improve nomination process to obtain trust from the voters. Major parties have institutionalized balance and check system for party nomination processes in the party chapters. As a result, the nomination committee, selectorate, and candidates themselves became significant actors in local party nomination on the 2014, while the local party boss’s power has been gradually decrea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네트워크사회의 변동요인과 포스트대의제의 등장

        김범수(Beomsoo Kim),조화순(Whasun Jho) 한국사회이론학회 2017 사회이론 Vol.- No.52

        본 연구는 전통적인 대의제의 위기와 한계 속에서 네트워크 사회에 조응하는 새로운 정치 제도로 포스트 대의제(postrepresentative system)의 등장 배경과 동인, 그리고 구성방향을 논구한다. 전통적인 대의제는 정치엘리트와 대중사이에 수직적인 정치관계를 근본 원리로 하였다.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정보의 디지털화, 세계화 그리고 개인화와 인터넷을 이용한 소셜미디어의 이용으로 정부와 시민의 관계가 더욱 수평적으로 변화하였고, 쌍방향적인 소통으로 시민들은 정책에 관해 토론하고 성찰하는 새로운 대의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시민들은 자신의 이해와 요구가 대표자에 의해 대표될 수 있다는 대의제의 기본 가정을 신뢰하지 않으며, 여론형성과정과 정책 결정과정에 직접 참여한다. 시민은 상시적이고 대규모로 정치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를 기대하며, 바로 여기에서 진정한 민주주의를 원한다. 인터넷 망은 이러한 수평적이고 성찰적인 소통의 비용을 낮추어 새로운 대의제를 실현시키는 기술적 동인이다. 시민의 참여성, 숙의성, 투명성과 책임성이라는 네 가지 제도설계 원리를 내재한 포스트 대의제는 전통적인 대의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정치제도이다.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backdrops and directions of the postrepresentative system which corresponds to the rise of a network society. The current traditional representative system, based on the hierarchical relations between political elites and mass, has been showing limitations in may aspects. In the network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tizen have been changing into a more horizontal form with the advance of digitalization, personalization of information, and the use of social media. Citizens aspire regular and large-scal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process, and want real democracy.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is a technological driver that lowers the cost of such horizontal and reflective communication and brings about a new representative structure. The post-representative system, which has four institutional design principles, citizen participation, deliberati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may be evolving into one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소득효과와 신생아 건강, 석탄 호황을 이용하여

        김범수 ( Beomsoo Kim ),구교준 ( Jun Koo ),임성훈 ( Sunghoon Lim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9 延世經濟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소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저자들은 1970년대 석탄 가격의 가파른 증가에 따라 광산지역인 미국 Kentucky, Ohio 그리고 West Virginia주의 유아 몸무게와 사망률에 어떠한 영향이 있었는지를 분석했다. 내생적인 소득을 외생화 하기 위해 석탄매장량의 가치를 도구변수로 사용했다. 2015년 달러를 기준으로 소득이 외생적으로 $1,000 상승함에 따라 몸무게는 5.5그램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소득이 외생적으로 $1,000 상승함에 따라 저체중아는 0.1%p 감소하였으나,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본 연구는 광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결과의 전체인구에 대한 확장성은 제한적일 수 있다.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s of income shock on health. We analyze infant birth weight and mortality in Kentucky, Ohio, and West Virginia during the 1970s using the sharp coal price increase as an exogeneous income shock. This variation has been used in several previous papers. Individual level natality data are used for the birth weight analysis and county level per capita income is instrumented with the value of coal reserves in the county. An exogenous $1,000 increase in income in 2015 dollars increased birth weight by 5.5 grams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s of low birth weight babies decreased by 0.1%p with an exogenous $1,000 increase in income but again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1.3% of the sample mean (7.6%). Since we examine miners mostly, our results might have limited generalizability to general population.

      • KCI등재

        2016년 여신(주택담보대출)심사 선진화 방안이 아파트 가격에 미친 영향

        김범수 ( Beomsoo Kim ),윤현철 ( Hyuncheol Yun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8 延世經濟硏究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2015년 12월 15일 대출규제를 통해 수요를 억제하고자 공표된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이 아파트 매매시장에 미친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대출규제 정책은 한 해에도 몇 번씩 매우 자주 모든 대상에 대해 바뀌기 때문에 그 효과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 회귀불연속 모형을 사용한다. 여신심사 선진화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서울, 경기, 인천의 아파트 가격을 1.4%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3억원 이하의 아파트와 9억원 이상의 아파트로 나누워 보면 고가 아파트는 규제이후 매매가격이 13.8% 하락한 반면 3억원 이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지역별로는 차이가 커서 여신심사 선진화 정책의 효과는 일관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We examine the impacts of new bank loan guideline effective on December 15 2015 on housing prices. We use regression discontinuity model to capture clean effects. We found the result that new guideline lowered the apartment price by 1.4%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Expensive housing defined price above 0.9 million won showed 13.8% drop in price while cheap housing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There was big variation in terms of policy impact across region as well.

      • KCI등재

        뉴 미디어의 특성과 투표참여: 2014년 서울시장선거 온라인 설문조사

        김범수(Beomsoo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5 동서연구 Vol.27 No.1

        인터넷 시대에 나타난 특징 중의 하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뉴미디어의 유형이 정보제공의 기술적 특성에 따라 다양화된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뉴스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에 기술적 차이가 존재하고, 이것은 정보제공 양식의 차이로 이어져 투표참여에 미치는 미디어의 동원효과차원에서 다른 영향을 줄 것이라 예측하고 이 가설을 2014년 서울시장선거시기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통되는 정보의 질적, 양적, 그리고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의 차이로 인하여 인터넷 뉴스 서비스는 투표참여의지와 통계적으로 비례적인 관계를 갖는 반면에 페이스북과 트위터와 같은 SNS은 투표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동일한 모형으로 정치관심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SNS의 이용시간도 정치관심도를 높이는 결과를 얻었다. SNS의 이용은 의사소통의 기술적 특성과 이용 자들의 정치적 자원과 태도로 인하여 정치관심도와는 정비례관계를 보이지만, 대의제 하의 간접참여 방식인 투표참여와는 영향관계가 없었다. One of the special features in the Internet era is the diversity of new media depending on the media platform. The contents and qualities of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Online News Services(ONS) an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SNS) are different in various aspects. These differences in each media architecture bring about different political consequences. This study proposes that ONS mobilizes people to vote while SNS does not. To investigate the proposition, I testified the Seoul citizen sample(No.= 1,165) which was collected using the multi-quota(sex, age, residence) sampling method during the 2014 Seoul Mayor election campaig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the citizens use ONS,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of voting is. On the other hand, SNS does not appear to be related to the voting willingness of users.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is result is that the Internet, particularly ONS, is a critical medium supporting a representative democratic system by boosting turnout, while the capabilities of SNS have not yet be verified. In order to make the Internet media contribute to the consolidation of a representative democracy, it is suggested to consider th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ed via the media,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networ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