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무인기의 임무 할당을 위한 수정된 합의 기반 경매 알고리즘

        김민걸,신석훈,이은복,지승도,Kim, Min-Geol,Shin, Suk-Hoon,Lee, Eun-Bog,Chi, Sung-Do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4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3 No.4

        다수의 임무를 다중의 무인기로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체 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총 이동거리를 최소화로 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무인기 운용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수정된 합의 기반 경매 알고리즘(Modified Consensus Based Auction Algorithm)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핵심 아이디어는 기존의 합의 기반 경매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여 에이전트들의 위치와 임무까지의 거리의 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3개의 UAV 에이전트로 다수의 임무를 수행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전체 임무 완수 시간과 전체 이동 거리 측면에서 효율적임을 보였다. In order to operate multiple UAVs for multiple tasks efficiently, we need a task allocation algorithm with minimum cost, i.e.,total moving distance required to accomplish the whole mission.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the MCBAA (Modified Consensus Based Auction Algorithm) which can be suitably applied to the operation of multiple UAVs. The key idea of proposed algorithm is to minimize sum of distance from current location of agents to location of tasks based on the conventional CBAA. Several simulation test performed on three UAV agents with multiple tasks demonstrates the overall efficiency both in time and total distance.

      • KCI등재

        R-based reproduction of the estimation process hidden behind NONMEM® Part 1: first-order approximation method

        김민걸,임동석,배균섭 대한임상약리학회 2015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23 No.1

        NONMEM® is the most-widely used nonlinear mixed effects modelling tool introduced into population PK/PD analysis. Even though thousands of pharmaceutical scientists utilize NONMEM® routinely for their data analysis, the various estimation methods implemented in NONMEM® remain a mystery for most users due to the complex statistical and mathematical derivations underlying the algorithm used in NONMEM®. In this tutorial, we demonstrated how to directly obtain the objective function value and post hoc η for the first order approximation method by the use of R. We hope that this tutorial helps pharmacometricians understand the underlying estimation process of nonlinear mixed effects modelling

      • KCI등재

        Effects of Polycan on bone Metabolism in healthy Perimenopausal Women: a 12-week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김민걸,하기찬,백향임,김선영,김주완,김기영,조형래,채한정,채수완,김달식 한국임상약학회 2011 한국임상약학회지 Vol.21 No.4

        배 경: 골다공증은 골대사의 불균형으로 인해 골 흡수가 골 형성보다 많아져 골밀도가 감소함으로서 발생한다. 골다공증의 이상적인 치료목표는 골형성을 증가시키거나 골소실을 방지하여 골량을 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향후 발생되는 골소실을 에방하는 것이 골다공증의 원칙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흑효모 중 Aureobasidium pullulans으로부터 유래한 폴리칸(베타-글루칸)이 중년여성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골대사에 대한 폴리칸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12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플라세보 대조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60명(폴리칸 투여군30명, 플라세보 투여군 30명)의 중년 여성 피험자가 등록되어 이중 총 58명의 피험자가 최종적으로 12주간의 임상연구를 종료하였다. 결 과:폴리칸(150 mg/d) 투여 12주 후, 폴리칸 투여군은 요 중 Deoxypyridinoline (DPD)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14). 혈청 중 Osteocalcin(OSC)농도는 두 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bone-specific alkaline posphatase (bALP) 와 collagen type 1cross-linked C-telopeptide (CTx)는 유의적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폴리칸은 골밀도(BMD)와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iPTH)에 대해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24시간 요 중 Ca 배설량은 폴리칸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28). 또한 폴리칸 투여군에서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농도의 증가 경향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유의적인 감소가 보였다. 임상연구 기간 중에 발생한 이상반응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결 론:본 연구에서는 폴리칸이 골대사 및 지질에 대해 일부 개선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골다공증 예방 측면에서 보다 장기적인 임상연구와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골대사 및 지질대사에 대한 폴리칸의 예방적 효과를 규명할 필요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폴리칸이 중년 여성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12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플라세보 대조 연구

        김민걸,하기찬,백향임,김선영,김주완,김기영,조형래,채한정,채수완,김달식 한국임상약학회 2011 한국임상약학회지 Vol.21 No.4

        배 경: 골다공증은 골대사의 불균형으로 인해 골 흡수가 골 형성보다 많아져 골밀도가 감소함으로서 발생한다. 골다공증의 이상적인 치료목표는 골형성을 증가시키거나 골소실을 방지하여 골량을 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발생되는 골소실을 에방하는 것이 골다공증의 원칙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흑효모 중 Aureobasidium pullulans으로부터 유래한 폴리칸(베타-글루칸)이 중년여성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골대사에 대한 폴리칸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12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플라세보 대조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60명(폴리칸 투여군30명, 플라세보 투여군 30명)의 중년 여성 피험자가 등록되어 이중 총 58명의 피험자가 최종적으로 12주간의 임상연구를 종료하였다. 결 과:폴리칸(150 mg/d) 투여 12주 후, 폴리칸 투여군은 요 중 Deoxypyridinoline (DPD)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14). 혈청 중 Osteocalcin(OSC) 농도는 두 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bone-specific alkaline posphatase (bALP) 와 collagen type 1 cross-linked C-telopeptide (CTx)는 유의적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폴리칸은 골밀도(BMD)와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iPTH)에 대해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24시간 요 중 Ca 배설량은 폴리칸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28). 또한 폴리칸 투여군에서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농도의 증가 경향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유의적인 감소가 보였다. 임상연구 기간 중에 발생한 이상반응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결 론:본 연구에서는 폴리칸이 골대사 및 지질에 대해 일부 개선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골다공증 예방 측면에서 보다 장기적인 임상연구와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골대사 및 지질대사에 대한 폴리칸의 예방적 효과를 규명할 필요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을 처음으로 사용하는 초발 정신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체중 및 대사성 지표의 변화 : 후향적 연구

        김우진,심주철,공보금,강제욱,문정준,김정은,김민걸,박민경,김성진,김현정,정도운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7 No.2

        Objectives:This study was to identify weight & metabolic changes in 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with antipsychotics use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weight & metabolic changes between 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and controls with antipsychotics use. Method:In this retrospective study, twenty eight 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and twenty eight controls with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or bipolar disorder defined by DSM-IV criteria were included. Information about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gathered from the medical records. Also body weight, sBP, dBP, fasting glucose, lipid profile and WBC count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antipsychotics use. R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ssess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gain. Results: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showed more weight and BMI changes than controls after antipsychotics use, and these changes continue over 12 month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gain. Conclusion:The results of present study suggest that antispychotics is one of the major causes inducing weight gain of psychotic patients and antipsychotics-induced weight gain is more vulnerable to drug-naive first-episode psychotic patients.

      • KCI등재

        도시 지역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MMSE(MMSE-K)의 진단적 타당성 조사와 정신병리 평가

        김민걸,이상수,이영호,이상경,안동성,윤성환,심주철,김용관,김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본 연구는 ①도시거주 노인한자들을 대상으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진단에 있어서의 MMSE-K의 진단적 타당성을 조사하고 비치매 환자들과의 감별에 있어서의 MMSE-K 소항목별 민감도와 특이도를 평가하여 이 평가척도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②도시거주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의 정신증상의 발생빈도를 알아보고, 인지기능의 장애정도와 정신병리의 심한 정도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기획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치매환자 무료진료시 수진한 총 107명의 도시거주 55세이상의 노인들이었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55∼69세 사이가 적었고. 일반노인에 비해 여자가 많았으며, 시설거주 노인의 비율이 높았다. 이들은 DSM-IV 치매기준. 신체이학적 검사. 임상검사소견. 신경학적 검사. Hachinski's Ischemic Scale, 병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평가. MMSE-K, BPRS, HDRS. HARS, Overt Aggression Scale. 수면양상 평가 등의 임상평가척도를 통한 인지기능 및 정신병리평가소견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정신과 전문의 2인이 논의하여 진단되었다. 치매로 진단된 70명 중 52명이 알쯔하이머형 치매, 10명이 혈관성 치매, 1명이 혼합형 치매 7명이 기타 요인에 의한 치매로 분류되었다.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분류된 52명중 MMSE-K 시행이 불가능하였던 2명을 제외한 50명의 환자군과 심한 신경정신질환이 없는 34명의 비치매군을 대상으로 하여 MMSE-K 및 그 11개 소항목의 진단적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52명의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 중 위에 기술한 전체 임상평가과정을 신뢰성 있게 종료한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신중상의 발현빈도를 조사하였으며, 인지기능의 장애정도와 정신증상의 심한 정도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1) MMSE-K는 알쯔하이머형 치매 진단에 있어서 위양성율 8.0%, 민감도 82%의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2) MMBE-K 항목 중 판단 항목의 평균치는 알쯔하이머형 치매군과 비치매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소항목 중 알쯔하이머형 치매를 진단하는데 있어 민감도 및 특이도가 70% 이상인 항목은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지남력, 두 개의 오각형 복사의 3항목이었다. 3) 42명의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이 나타낸 정신중상은 언어 공격성(38.5%). 우울(34.6%). 불면 (32.7%) 등이 많았고. 망상과 환각을 나타낸 환자도 각각 15.4%, 13.5%나 되었다. 4) 인지기능의 장애가 심할수록 BPRS총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thinking disturbance 세부항목군의 점수는 유의하게 높아져, 인지기능의 장애가 심할수록 사고장애가 심해졌다(p<0.01). 결 론: MMSE-K는 매우 유용한 평가척도이나 그 소항목의 타당성에 대한 재검증을 요한다. 알쯔하이머형치매환자들은 인지기능의 장애외에도 공격성, 우울증. 불안, 망상. 환각 등의 많은 정신증상을 갖고 있어 적극적인 치료를 요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MMSE-K and its items in a group of urba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d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psychiatric symptom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 and that of psychopathology in them. Methods : The subjects were 107 residents, aged over 55, of an urban community,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in a free medical service for dementia patients. At first, MMSE-K were administered to all the participients to screen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They were diagnosed mainly by the criteria of DSM-IV for dementia of Alzheimer type. Other diagnostic procedures were performed at that time and these included : a history taking for the past and present medical and psychiatric illnesses of the subject and its family members, physical and neurological examinations, clinical clinical evaluations using several psychiatric symptom rating scales such as BPRS, HDRS, HARS and Over Aggression Scale, Hachinski's Ishccmic Scale, evaluations for sleep disturbances and behavioral problems in daily in living. The majority, of total 72 subjects who were evaluated as having cognitive dysfunctions, were the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52 dementia of Alzheimer type, 12 vascular dementia, one mixed type of the two, and 7 others. We determined the validity of MMSE-K and its items in 52 subjec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except the two, who could not respond well to the instructions of MMSE-K due to severe cognitive impairments, and 34 non-dementic subjects with only mild psychiatric symptoms. In 42 subjec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who completed all the clinical rating scales with confidence,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psychiatric symptom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 and psychopathology. Results 1) The percent of fa1se positive in diagnosing dementia of Alzheimer type using MMSE-K was 8.0%, and the sensitivity of MMSE-K was 82% in our 107 urban subjects.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e mean stores of all items except the Item, judgement, between the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d non-dementic subjects(p <0.05). The two items, orientation for time and place, and the item, copy two pentagons, ha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ver 70%. 3) The frequencies of behavioral and psychiatric symptoms in 42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were as fo11ows verbal aggression(50.0%), depression(46.2%), insomnia(30.8%), .... , hallucination(21.2%) and delusion(15.4%). 4) The more cognitive dysfunctions had the patient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the more higher scores in the thinking disturbance subscale of BPRS they showed(p <0.01). Conclusion : MMSE-K was proved to be a valid instrument to evaluate the cognitive impairments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but the item, judgement, newly admitted to MMSE-K instead of a language item in MMSE, was proved to be lack of power to discriminate the dementic patient from non-dementia subjects. Our subject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had revealed several behavioral and psychiatric symptoms other than cognitive dysfunctions, and those included depression, anxiety, insommnia, aggression, delusion and hallucination which needed intensive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 KCI등재

        한 도시 지역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간의 정신병리에 대한 비교 연구

        이상수,김민걸,이영호,이상경,안동성,김정익,정청,심주철,김용관,김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 목적 : 국내에서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들의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정신병리를 평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들을 인지기능의 손상정도에 따라 경증, 중증으로 나누고 이들에 대한 정신병적 증상,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정신병리를 평가함으로써 치매의 진행정도에 따른 정신병리 변화를 이해하고, 이를 치료적 접근에 이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은 부산시 일정지역에 기거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1, 2차 선별조사를 통해여 MMSE-K 24점이하 Hachinski's Ischemic Scale상 4점이하이며 DSM-IV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노인들로 설정하였다 알츠하이머형 치매 군은 MMSE-K점수 21-24점을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N=16) 20점이하를 중중 알츠하이머형 치매군(N=18)으로 하였다.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의 정신병리는 정신과와사 2명이 BPRS. HAM-D, HAM-A, 수면양상 평가지 Overt Agg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이를 정상 대조군(N=40)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ANOVA,X²검사로 하였고. 사후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BPRS의 총점. thinking disturbance subscale, withdrawal retardation subscale은 대조군과 경증,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p<0.05), anxious depression subscale은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이 다른 2군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그러나 hostile suspiciousness subscale은 3군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HAM-D, HAM-A의 총점은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얼었다. 수면양상 평가에서도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불면을 호소하는 빈도가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그러나 경증치매군에서 수면제 사용빈도와 초기불면의 빈도는 다른 두 군에 비하여 높았다(p<0.05). Overt Aggession Scale에서는 인지기능의 저하에 따라 공격성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 론: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은 질병진행의 초기부터 정신병적인 증상. 우울. 불안 등의 정신증상을 많이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대하여 초기부터 각각의 정신병리에 따른 적절하고도 적극적인 약물치료 및 환경치료를 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도시 지역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정신병리에 대한 몇 가지 특성이 논의되었는데 향후 그 결정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 : There are lots of studies on the cognitive impairments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in our country, but those on the psychopathology in them are very scanty. We investigated the psychopathology such as psychotic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s in our urban subjec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Methods : Our subjects(N= 34)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in an area of Pusan, aged over 65, are screened with MMSE-K(below 24) and Hachinski's Ischemic Scale(below 4) and enrolled in this study when they met with the criteria of dementia of DSM-IV. They were divided into the mild(N= 16) and severe dementic group(N= 18) according to their scores of MMSE-K(cut-off point 20/21). The severities of psychiatrir symptoms in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by using sets of clinical symptom rating scales such as BPRS, HAM-D, and HAM-A and the frequencies of aggressive behaviors and sleep disturbances in them were a1so rated at that time by two psychiatrists. Data of the two dementic group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healthy control subjects(N=40). Results : The mean total score of BPRS, scores of thinking disturbance and withdrawal retardation subscale were lowest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and highest in the severe dementic group(p<0.05). Mean score of anxious depression subscale of mild dementic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wo groups(p <0.05). There were no ststistical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 of hostile suspiciousness subscale among the three groups. The mean total scores of HAM-D and HAM-A tended to be higher in mild dementic group than in other two group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reach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findings were thought to be identical with those of fo11owing. The total frequency of insomnia only tended to be higher, but the frequency of initial insomnia and that of using hypnotics were highest in mild dementia group(p <0.05). The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rs tended to be higher in mild dementic group than in other two group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reach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 Conclusion :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suffered from several psychiatric problems such as psychotic symptoms, depression, anxiety, insomnia, and agressive behaviors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illness. Clinicians should be more aware of those symptoms which need proper pharmac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공분산을 활용한 콘크리트 오토인코더 기반 비지도 특징 선택 기법 연구

        이현세,김민걸,조성인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4 방송공학회논문지 Vol.29 No.3

        특징 선택은 특징 공학의 한 과정으로 주어진 정형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특징 (feature, column)을 선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딥러닝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수행 능력을 보여줌에 따라 특징 선택 분야에서도 딥러닝 기술 기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ncrete autoencoder 기반 선택 기법에 주목하였다. Concrete autoencoder란 autoencoder에 concreterandom variable을 적용하여 유의미한 특징을 선택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concrete autoencoder 기법은 특징 선택 시 중복을 허용하고,저차원 벡터 공간 내에서 데이터가 클래스별로 군집화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저차원 벡터 공간 내에서 데이터의 특징별 covariance를 고려하는 기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 기법을 평가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특히 유전적 정보를 담고 있는 바이오 데이터를 사용했을 때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Feature selection is a feature engineering process that aims to select meaningful features from given structured data. As deeplearning technology shows remarkable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deep learning-based research is also actively studied in thefeature selection field. In particular, the concrete autoencoder method, which selects important features by applying a concreterandom variable to the autoencoder, presented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field of feature selection. However, the concreteautoencoder allows overlap when selecting features and has the problem that data is not clustered by class within alow-dimensional vector 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eature selection technique that is based on the concreteautoencoder technique and ca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concrete autoencoder technique. The proposed methodconsiders the covariance of data features in a low-dimensional domain to prevent the redundant feature selection while improvingthe clustering quality of samples within a low-dimensional space. The proposed technique showed superior feature selection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techniques, and its superiority is especially evident for biological data containing genetic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