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한국에서 독일 담론의 성격과 패턴에 대한 연구-‘과학 독일’의 상과 국민성 논의를 중심으로-

        김미지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7 No.-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근대 이행기는 조선이 세계와의 접촉면을 확대해 가던 시기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구라파, 태서라는 범주를 넘어 서양 각국에 대한 정보의 유통이 본격화하면서 특정한 담론의 패턴이 나타나게 되는데, 독일의 경우 ‘학문 독일’, ‘과학 독일’의 상이 견고하게 자리 잡게 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독일은 다른 서양 국가들 특히 영국, 미국, 프랑스와 하나의 프레임에 묶여 구미 열강의 한 축으로 이해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영국과 프랑스와 같은 구 제국주의 국가들과도 또한 신흥 자본주의(배금주의) 국가인 미국과도 구별되는 긍정적인 위상을 점하게 된다. 이는 후발 근대 주자로서 독일이 과학 발전을 통해 이룬 성취와 1차 세계대전의 폐허를 딛고 일어선 국민적 저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한 결과이다. 즉 당시 근대 문명의 기로에 서 있었던 조선에서 독일은 네 강대국 가운데 비교적 바람직한 모델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1910~20년대 일본에서 ‘국민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된 것도 독일 상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는데, 독일은 ‘인내와 철저’라는 말로 일관되게 요약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직접 독일을 경험하고 돌아온 소수의 유학생 집단 또는 독문학 등을 전공한 전문가들이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통해 적극적인 미디어 글쓰기를 활용하기 시작한 것도 이러한 인식의 확대 재생산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따라서 당대에 신문 잡지에 등장하는 독일 관련 기사의 수량이나 빈도가 영국, 프랑스,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음에도 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비교적 일관되게 독일에 대한 긍정적인 편향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transition to moderni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Joseon can be characterized as a time of expansion in contacts with the western world. In particular, in circulation of information about various Western countries, certain patterns of discourse on them emerged. In the case of Germany, the impression and image of ‘academic Germany’ and ‘scientific Germany’ was firmly established. Germany was understood as one of the Western imperialist powers,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positively positioned as distinct from traditional imperial countries(United Kingdom and France), and as distinct from the emerging capitalist nation(United States). Germany was seen as a relatively desirable model among the four great powers because of its high achievements in scientific advancement as a latecomer to modernity and its national strength in rising from the ruins after World War I. The expanding interest in the issue of “nationhood” in Japan in the 1910s and 20s also played a role in shaping the image of Germany. Here we find a phenomenon where Germany is consistently summarized by the words ‘patient and thorough’. In addition, a small group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returned from Germany after experiencing the country firsthand, as well as professionals who majored in German literature and other fields, began to actively publish articl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which was also an important background for the widespread reproduction of this perception. Therefore, despite the fact that the number and frequency of German-related articl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t the time were relatively small, the positive bias toward Germany remained consistent until the Second World Wa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한국 문학의 장에 나타난 ‘문호 백년제’ 기획에 대한 고찰

        김미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1

        Celebrating a centenary or hundredth anniversary is a familiar event in modern times but it has no more than one hundred years of history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beginning of the centennial celebration event (especially of modern writers) an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the ‘literary giant’ in the modern sense and in the form of a centenary.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word ‘literary giant 文豪’ was used only for western writers, especially of 19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y were regarded as the most proper role models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Therefore numerous names of western writers and news of their centenary appeared in modern Korean media in the 1920s. Around the 1930s, the centenary of a writer appeared as a kind of cultural project, as can be seen in the newspaper special issues for the centenaries of Tolstoy, Goethe etc. From the mid 1930s, a tendency of recall Korean traditional thinkers appeared, represented by the name ‘Joseonhak’ (朝鮮學). Scholars and the media started to commemorate the birthdays or death dates of intellectuals. Jung Yakyong (Dasan) was a typical example. Following the centenary of Dasan, the issue of recollec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features or ideas emerged. In what sense and context that the revival of tradition could be justified was a controversial issue. As a result, the project and experiment of the centenary was a process of sorts in which the idea of modern litera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and tradition was questioned. 1백년을 단위로 하여 어떤 인물이나 특정한 사건을 기념하는 일 즉‘백주년 기념’이라는 형식은 한국에서는 100여 년 남짓의 역사를 가진그리 오래지 않은 일이다. 이 글은 미디어와 글쓰기 형식 그리고 문학의 근대적 전환 또는 재편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주요하게 등장한 외래의 정보들 가운데서 백주년을 기념하는 ‘백년제’라는 형식에 주목하였다. 백주년 기념의 대상이 되는 것은 사건과 사물 그리고 인물 등 다양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특히 위인이나 문인 등 인물의 생후 또는 사후백년을 기념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 글에서는 근대 인물 가운데 특히 서양의 작가들을 백년제라는 형식으로 소환해 온 양상을 검토하여 백년제가 이 땅에서 어떤 방식으로 수용, 변용되고 또 응용되면서우리의 근대문화로 정착되어갔는가를 추적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20세기 초의 시점에서 한 세기 전이라는 것은 19세기 초가 될 것인데, 동아시아에서 이 시대(18세기 말~19세기 초)는 서양의 근대 특히 프랑스혁명과 미국독립, 산업혁명 이후에 형성된 서양의 근대를 학습하는 핵심적인 통로이자 원천이었다. 또한 백년제라는 기념의 방식은 1930년대중반 우리 전통 인물을 근대적인 방식으로 호출하는 데에도 적용되어‘다산 백년제’와 같은 형태로도 나타났다. 20세기 초에 나타난 각종 ‘백년제’는 서양식의 근대라는 것을 학습하고 실험하는 과정이었을 뿐만아니라 전통과 근대 사이의 관계 설정, 전통 인물의 근대적 재해석 등의 질문을 제기하는 과정이기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이 Lymphocyte와 CD4+ T cell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미지,김장현,Kim Mi-Ji,Kim Jang-Hyun 대한한방소아과학회 1998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2 No.1

        Introduction The effects of Bojungikkitang on the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methotrexate in rats were investigated in this experiment. The multiple parameters of immunity assessed in. each rats includes the rate of body weight loss, weight changes in thymus, spleen and axillary lymphnode. The number of lymphocyte and CD4+ T cell count in blood, thymus, spleen and axillary lymphnode were also measured. Methodolog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chosen as an experiment object and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a random selection. Each group consisted 6 rats. The normal group didn't receive any treatment.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methotrexate for 4 days. The sample group was administered with both Bojungikkitang and methotrexate for 4 days. The dosage of medication was 2cc/day, 1cc given at 10AM and another 1cc given at 5PM. Results The rate of body weight lo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ample group. The weight of thym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ample group while the weight of spleen did not show much increase. Blood CD4+ T cell count, thymus lymphocyte count, thymus CD4+ T cell count, spleen lymphocyte count, spleen CD4+ T cell count and axillary lymph node CD4+ T cell cou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ample group while blood lymphocyte count and axillary lymphnode lymphocyte count did not show much increase. Conclusion As one can witness from the above results, administration of Bojungikkitang played potent role in increasing immune system among the rats treated with methotrexate which induces immunosuppression. Overall increase of lymphocyte count and CD4+ T cell count in the sample group with Bojungikkitang effectively proves its ability to boost the immune system.

      • KCI등재

        문화공간으로서 서점에서 나타나는 제3공간적 특성과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일본의 다이칸야마 츠타야서점과 한국의 오프라인 대형서점을 중심으로 -

        김미지,백진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8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3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he robust growth of e-book, it had been expected that the growth of offline bookstores will inevitably slow down. However, since 2014, the number of domestic offline bookstores has increased again. The new bookstores are attempting to make various spatial changes. Some are combined with consumption spaces like cafes and restaurants by reducing space for displaying books and others are entering a department store, a shopping mall, a hotel or an office building. Now the offline bookstore seems to expand its role from a space for selling books to a cultural space that gathers people to spend their time with new experiences. This study analyzes the phenomenon with the concept of Ray Oldenburg’s “the Third Place.” The third place, an everyday place of public life where social interaction, enjoyment and rest take place besides home and work, enriches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also gives a city the vitality and identity. First, a clarifie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place by understanding Oldenburg’s sociological dimension and the spatial dimension of Henri Lefevre and John Urry, and the rate of occurrence of human activities were analyzed as a way of evaluating cultural public place. Then, based on the functional and spatial changes, domestic offline bookstor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ir spatial operations. Lastly,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se behaviors of Daikanyama Tsutaya bookstore in Japan, which is considered as a reference of domestic bookstores, were analyzed in depth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public role and the new definition of booksto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bookstores as a comfortable everyday space which enhances the vitality of cities,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spatial direction of the third place in an urban condition.

      • KCI등재

        Corpus-based Analysis of English Conversation Features in College Entrance Exams in Korea

        김미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onversational linguistic features reflected in the listening parts of the CSAT and pilot CSAT from 2009 to 2019 by comparing dialogue transcripts to native speaker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use of a corpus analys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seven conversational linguistic features (noun phrase prefaces and tags, reporting verbs in the past progressive tense, particles, vagueness tags, modifying expressions, and discourse markers) are analyzed, and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semantic approach, and examples a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e underuse of each feature when compared with the native corpus, BNC. Consequently, there are relatively few similarities between the CSAT and natural conversational linguistic features. Thus, more conversational linguistic features should to be included on the CSAT for Korean students, who have fewer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natural English on a daily basis. Guiding these students to study and listen to more real-life-based conversations might be more effective for their English education.

      • KCI등재

        인지통신 환경에서 주변 후방산란 통신의 성능 향상

        김미지,한지윤,김수민 한국전자파학회 202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1 No.1

        본 논문은 기존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조 및 전송하는 주변후방산란 통신을 무선 인지통신 환경에 적용하여 비트 오류율과 데이터 전송률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이다. 세부적으로 2차 주변후방산란 통신 시스템에스펙트럼 센싱 기능을 가진 파워비콘 노드를 추가하여 기존 RF 신호를 생성하는 1차 시스템의 스펙트럼을 센싱하고, 1차 시스템의 전송 유무에 따라 2차 시스템의 파워비콘 노드의 동작모드 결정한다. 이를 통해 1차 시스템이 전송 중일때는 1차 시스템의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유휴 상태일 때는 2차 시스템 파워비콘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송이가능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2차 시스템 비트오류율과 전송률 관점에서 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 센싱 기능이있는 2차 시스템 파워비콘의 동작모드를 활용하여 2차 시스템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중국의 한국문학 연구 장과 박태원 연구

        김미지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8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y about Korean novelist Park Tae-won. Park had been introduced first as "Ostrovskii of Joseon" to China in 1981, the year right after he finished his huge-scale history novel Gapo Peasant war volume II and after he appeared as an eminent writer who had overcome paralysis and severe illness, in the North Korean newspaper Rodong Shinmun. It is well-known that he had lost the sight of both eyes when he was writing the novel. By the way, it is relatively recent that his works has been studied in Chinese study field, especially after the year 1992 when South Korea and China signed a treaty of amity. And from 2000's various theses have started to deal with Park's work such as Chunbyun Poonggyung as a prominent work of 1930's city novels. Lots of Theses insist that Parks works contain strong characteristic and ideological position of realist novel. A large number of studies among the theses about Park's works is comparative study between Park Tae-won and the modernists of Shanghai in 1930's such as Shi Zhecun, Mu Shiying. These studies include the works which had been outside of modern literary history, both in Korea and China for several decades, in the mainstream history and literary discourse. In fact, there had been various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dernist writers, written by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It would be the task of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to examine the works and materials produced in North Korea and to excavate new subjects of comparative study. 본 연구는 중국 내에서 작가 박태원이 소개되고 연구되어 온 방식과 경향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작가 박태원은 실명과 전신마비의 상태에서 1980년 『갑오농민전쟁』 2부를 완성하는데 북한 『로동신문』에서 이 집필 과정을 대서특필하면서 ‘조선의 오스트로프스키’로 중국에까지 소개되었다. 이로써 박태원이라는 이름은 역경을 뚫고 대작의 위업을 이룬 북한의 대표적인 역사소설가로서 처음 각인된다. 그러나 작가 박태원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최근에서의 일이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과 중국의 문화 학술 교류가 본격화하게 되고, 이를 배경으로 2000년대 이후 중국 내 조선(한국)어문학 연구자들에 의해 박태원은 북한의 작가로서보다는 1930년대 남한 도시소설의 대표 작가로서 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그의 작품 가운데 도시소설로도 분류되는 『천변풍경』이 주된 연구 대상이 되었으며, 1930년대 상해 모더니즘 작가들과의 비교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호출된다. 이들 연구에서 박태원은 모더니즘 기법을 수용하되 도시민과 도시적 삶을 대하는 근본 태도와 정신은 리얼리즘적 진실을 추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그간 한국에서 다양하게 축적된 작가론 또는 모더니즘 연구의 성과들을 도외시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보다 선명한 작가적 태도를 부각시키면서 주류 리얼리즘 전통 안에 작가 박태원과 그의 문학을 편입시키고자 하는 욕망의 발현으로 읽힌다. 일찍이 한국에서 수학한 중국 유학생들에 의해 선구적인 한중 비교문학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음을 고려하면, 중국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교 연구의 성과들이 큰 변별점을 보이고 있지 못하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중국의 학술 장과 문학 담론을 발판으로 비교연구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수 있는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의 연구자들에게는 접근의 제약이 있는 북한에서의 박태원의 삶과 그의 작품들에 대한 연구도 앞으로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