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미지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8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y about Korean novelist Park Tae-won. Park had been introduced first as "Ostrovskii of Joseon" to China in 1981, the year right after he finished his huge-scale history novel Gapo Peasant war volume II and after he appeared as an eminent writer who had overcome paralysis and severe illness, in the North Korean newspaper Rodong Shinmun. It is well-known that he had lost the sight of both eyes when he was writing the novel. By the way, it is relatively recent that his works has been studied in Chinese study field, especially after the year 1992 when South Korea and China signed a treaty of amity. And from 2000's various theses have started to deal with Park's work such as Chunbyun Poonggyung as a prominent work of 1930's city novels. Lots of Theses insist that Parks works contain strong characteristic and ideological position of realist novel. A large number of studies among the theses about Park's works is comparative study between Park Tae-won and the modernists of Shanghai in 1930's such as Shi Zhecun, Mu Shiying. These studies include the works which had been outside of modern literary history, both in Korea and China for several decades, in the mainstream history and literary discourse. In fact, there had been various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dernist writers, written by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It would be the task of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to examine the works and materials produced in North Korea and to excavate new subjects of comparative study. 본 연구는 중국 내에서 작가 박태원이 소개되고 연구되어 온 방식과 경향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작가 박태원은 실명과 전신마비의 상태에서 1980년 『갑오농민전쟁』 2부를 완성하는데 북한 『로동신문』에서 이 집필 과정을 대서특필하면서 ‘조선의 오스트로프스키’로 중국에까지 소개되었다. 이로써 박태원이라는 이름은 역경을 뚫고 대작의 위업을 이룬 북한의 대표적인 역사소설가로서 처음 각인된다. 그러나 작가 박태원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최근에서의 일이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과 중국의 문화 학술 교류가 본격화하게 되고, 이를 배경으로 2000년대 이후 중국 내 조선(한국)어문학 연구자들에 의해 박태원은 북한의 작가로서보다는 1930년대 남한 도시소설의 대표 작가로서 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그의 작품 가운데 도시소설로도 분류되는 『천변풍경』이 주된 연구 대상이 되었으며, 1930년대 상해 모더니즘 작가들과의 비교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호출된다. 이들 연구에서 박태원은 모더니즘 기법을 수용하되 도시민과 도시적 삶을 대하는 근본 태도와 정신은 리얼리즘적 진실을 추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그간 한국에서 다양하게 축적된 작가론 또는 모더니즘 연구의 성과들을 도외시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보다 선명한 작가적 태도를 부각시키면서 주류 리얼리즘 전통 안에 작가 박태원과 그의 문학을 편입시키고자 하는 욕망의 발현으로 읽힌다. 일찍이 한국에서 수학한 중국 유학생들에 의해 선구적인 한중 비교문학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음을 고려하면, 중국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교 연구의 성과들이 큰 변별점을 보이고 있지 못하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중국의 학술 장과 문학 담론을 발판으로 비교연구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수 있는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의 연구자들에게는 접근의 제약이 있는 북한에서의 박태원의 삶과 그의 작품들에 대한 연구도 앞으로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Corpus-based Analysis of English Conversation Features in College Entrance Exams in Korea
김미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onversational linguistic features reflected in the listening parts of the CSAT and pilot CSAT from 2009 to 2019 by comparing dialogue transcripts to native speaker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use of a corpus analys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seven conversational linguistic features (noun phrase prefaces and tags, reporting verbs in the past progressive tense, particles, vagueness tags, modifying expressions, and discourse markers) are analyzed, and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semantic approach, and examples a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e underuse of each feature when compared with the native corpus, BNC. Consequently, there are relatively few similarities between the CSAT and natural conversational linguistic features. Thus, more conversational linguistic features should to be included on the CSAT for Korean students, who have fewer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natural English on a daily basis. Guiding these students to study and listen to more real-life-based conversations might be more effective for their English education.
1930년대 초 미국 좌익문학 수용과매체 네트워크 -동아시아의 업튼 싱클레어 열(熱)과 잡지 ‘뉴 매시스New Masses’의 상륙을 중심으로
김미지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5 No.-
The fact that the 1920s and 30s were the era of socialism is not only because it was the time of KAPF(Korea Artista Proleta Federacio). Resonance for anti-capitalism and class movements was very broad beyond the KAPF, among which various attempts to connect with American left-wing literature, which grew during the era of the Great Depression. Non-KAPF writers such as Jung In-seop, Lee Ha-yoon, Ju Yo-han and Park Tae-won actively introduced proletarian literature as a global trend, and an important passage was American left-wing literature. In particular, it was Upton Sinclair, known as the so-called “Muckraker,” that received enthusiastic responses in East Asia. This was made possible by the Japanese and Chinese communists Toshihiko Sakai and Guo moruo, who translated various works of Sinclair. In Korea, unlike Japan and China, writers outside the KAPF responded more actively. American magazines such as New Masses were widely distributed at the time, which led to various discussion in proletarian literature that KAPF did not monopoliz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high modern left-wing” arts created by modernists, which was led by refugees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era of socialism, came as a new detour and possibility for those who sought literature outside the KAPF. Exploring and examining various attempts to access the world’s proletarian literature with a sense of modernit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s a re-connection of long-forgotten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rough the Cold War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1920~30년대가 사회주의의 시대라는 점은 그 시대가 카프의 시기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반자본주의 및 계급운동에 대한 공명은 카프를 넘어 상당히 폭넓게 이루어졌는데, 그 가운데 1930년 무렵 대공황을 전후로 성장한 미국의 좌익문학과 접속했던 다양한 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정인섭과 이하윤과 같은 영문학 전공의 해외문학파와 주요한, 박태원 등 비 카프계 문인들은 세계적 조류로서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적극적으로 소개했고 그 중요한 통로가 20세기에 약진한 미국 프로문학이었다. 이 가운데 특히 동아시아에서 열렬한 호응을 얻은 것은 소위 ‘폭로 작가’로 알려진 업튼 싱클레어였다. 이는 일본과 중국의 공산주의자 사카이 도시히코와 궈모뤄에 의해 본격적으로 번역되면서 가능해진 것이었다. 한국에서도 이들의 번역을 통해 주로 싱클레어를 접했지만, 일본과 중국과 달리 카프 외부의 문인들이 훨씬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과 중국의 번역 장을 거치지 않더라도 “뉴 매시스New Masses” 등 미국의 잡지 출판물들은 당대에 널리 유통되고 있었고, 이는 카프가 독점하지 않는 프로문학의 논의 지점들이 다양하게 생겨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망명자들이 일군 모더니즘의 세계가 사회주의의 시대를 거치면서 만들어낸 ‘좌익적 첨단’이 카프 바깥의 문학을 모색했던 이들에게 새로운 우회로이자 가능성으로 다가온 것이다. 동시대의 첨단이라는 감각으로 세계의 프로문학에 접속하고자 했던 여러 시도를 발굴하는 일은, 20세기 후반 냉전의 시기를 거치면서 미국 그리고 한국에서 오랫동안 잊힌 역사(문학사)의 연결고리를 다시 잇는 작업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Effect of High Temperature on Walking among Residents of Rural and Urban Communities
김미지,성주현,박기수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22 Yonsei medical journal Vol.63 No.1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association between high temperature and walking among residents of rural and urban areas.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walking practice. The dependent variable was walking practice. Walking practice was considered if the participants walked for more than 30 minutes a day or more than 5 days a week.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C) for the preceding 7 days, calculated from the survey date of each participant.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to simultaneously consider the individual- and neighborhood-level variables that could affect deter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daily maximum temperatures and walking practice. Results: When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increased by 1°C, the odds ratio of walking practice decreased to 0.95 (95% confidence interval 0.94–0.97) in rural areas. In contrast, it decreased to 0.98 (95% confidence interval 0.97–1.00) in urban areas, considering both individual- and neighborhood-level factors. Individual- and neighborhood-level determinants of walking practice in rural areas, including educational attainment, marital status, driving a car,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meeting neighbors and friends, were confirmed.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increased temperature led to more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levels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Physical and environmental approaches to avoid heat are needed to maintain and promote physical activity, since temperatures can reduce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hot summer months.
김미지,한지윤,김수민 한국전자파학회 202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1 No.1
본 논문은 기존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조 및 전송하는 주변후방산란 통신을 무선 인지통신 환경에 적용하여 비트 오류율과 데이터 전송률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이다. 세부적으로 2차 주변후방산란 통신 시스템에스펙트럼 센싱 기능을 가진 파워비콘 노드를 추가하여 기존 RF 신호를 생성하는 1차 시스템의 스펙트럼을 센싱하고, 1차 시스템의 전송 유무에 따라 2차 시스템의 파워비콘 노드의 동작모드 결정한다. 이를 통해 1차 시스템이 전송 중일때는 1차 시스템의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유휴 상태일 때는 2차 시스템 파워비콘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송이가능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2차 시스템 비트오류율과 전송률 관점에서 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 센싱 기능이있는 2차 시스템 파워비콘의 동작모드를 활용하여 2차 시스템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