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폭력과 여성 : 베트남의 미국 전쟁 시 여성의 활동에 대한 연구

        김미덕(Miduk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 현상과 인식 Vol.4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전쟁이라 불리는 베트남의 미국 전쟁(1954-1975) 당시 여성들의 여러 활동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필자의 2015년과 2017년의 베트남 기념관·박물관 방문을 바탕으로, 문헌자료(학술논문, 신문기사, 문학작품)를 중심으로 살핀다. 하노이 여성박물관에 전시된 응우옌티빈(Nguyen Thị Binh), 응우옌티딘(Ngyen Thi Dinh), 라티땀(La Thi Tam), 보티모(Vo Thi Mo/Bay Mo), 3/8 여성 포병그룹(8 March Women’s Artillery Group), 응오바탄(Ngo Ba Thanh), 트렁미호아(Truong My Hoa), 보티탕(Vo Thị Thang), 딘티반(Dinh Thị Van), 호깐릭(Ho Kan Lich), 응우엔티민히엔(Nguyen Thi Minh Hien), 당두이쩜(Dang Thuy Tram) 등을 중요 역사적 사건과 배경 속에서 설명한다. 남성의 정치폭력 참여와 달리 여성의 전쟁 참여는 비가시적이며, 사사화된다. 그런데 본 사례에서 살핀 것처럼, 여성의 전쟁 참여 또한 공산주의 체제/이데올로기의 영향, 민족독립해방의 기치 및 전면전의 특성으로 자연스러운 저항의식이자 민족주의 의식발양의 결과이다. 공동체 파괴, 폭력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민족독립운동에의 여성의 참여가 그렇게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양한 여성 주체의 전쟁에서의 활동이 더욱 발굴되고, 젠더 이분화된 군사주의가 재생산되거나 그 경계가 사라지는 상황들도 더욱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omen’s activities during the American war in Vietnam, which is called women’s war due to relatively immense participation of females. This study employs various works(academic literature, newspapers, autobiography, novels, and films) and is also based on my visit to historic museums in Vietnam in 2015 and 2017. The female figures introduced are from Hanoi Women’s Museum. The list includes Nguyen Thị Binh, Ngyen Thi Dinh, La Thi Tam, Vo Thi Mo, 8 March Women’s Artillery Group, Ngo Ba Thanh, Truong My Hoa, Vo Thị Thang, Dinh Thị Van, Nguyen Thi Minh Hien, Dang Thuy Tram. This introduction is contextualized into signigicant war histories and events. Unlike men’s participation in political violence, women’s participation in war is invisible and personalized. However, as the historical case in this study has shown, women’s participation during the war was also a natural process intrigued by their political resistance and nationalist consciousness based on the influence of communist systems/ideology,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all-out war. Women’s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hich stands against violence, community destruction, is not such an exceptional phenomenon. The various activities of female subjects in war should be further discovered, and the situations which gendered militarism is reproduced or its boundaries disappear should be more explored.

      • KCI등재

        정치학과 젠더

        김미덕(Miduk Kim)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2

        이 글의 목적은 양성평등, 여성인권, 여성주의 인식론, 여성운동 등으로 혼용되고 있는 젠더정치의 개념을 바로 이해하는 것이다. 젠더가 사회분석의 범주와 과정이라는 의미와 방법 및 주요한 이론적 성과들을 살펴봄으로써 젠더정치의 이론적 특징을 살피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젠더정치에 대한 오해와 혼용을 초래하는 원인들로 여성주의 지식의 주관성과 부분성(partiality) 문제, 젠더 본 질주의, 젠더가 갖고 있는 친밀함(intimacy)의 속성 등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젠더정치 인식의 근본적인 질문을 성 변수와 성 인지로부터 피억압자의 경험과 지식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젠더정치는 여성을 독립적인 정치행위자로 설정한 연구나 공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성차 연구에 국한되지 않는다. 젠더정치 연구는 사회관계의 한자원인 젠더를 분석의 범주로 이해하고 사회제도, 정치현상, 행태에서 사회적 관계로 작동하고 있는 젠더(위계)의 속성과 복잡함을 분석하는 것이다. 민족국가와 젠더의 관계, 범주의 정치에 대한 비판, 교차성 이론을 예로 들어 젠더정치의 문제제기와 이론적 특성들을 살피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젠더정치가 여성의 입장을 추가하여 정치학의 지평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라기보다 사회현상과 관계에 대한 근본적으로 다른 인식과 분석의 틀을 제공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clarify gender politics (which has often been confused with gender equality, women’s rights, feminist epistemology, and the feminist movement), to explore what gender as an analytical category means, and to suggest theoretical accomplishments of contemporary gender politics. In the process, this article explores the three reasons for the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of gender politics: the question of the partiality and subjectivity of feminist knowledge, gender essentialism, and gender intimacy. Furthermore, this article suggests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the oppressed as a starting point of feminist epistemology. Gender politics should not be misunderstood or limited to studies of women-only political actors and studies on gender gap in the public sphere. A study of gender politics is defined as an analysis of the process and complexity of gender, one form of social relationship which operates in every social institution, political behavior, and political phenomena. Intersectional theory, the critique of the politics of categor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state and gender are used as examples of the theoretical accomplishments of contemporary gender politics. This article shows that the implications of gender politics within political science discipline lies not in extending traditional political science through a gendered perspective, but in suggesting a fundamentally different understanding and an analysis of political phenomena.

      • KCI등재

        내부고발에 대한 조직의 부정적 반응, 그리고 가려진 행위자들: 근본적 불신, 관료주의, 법률주의

        김미덕 ( Miduk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1

        본 연구는 내부고발에 대한 조직의 부정적 반응을 다룬다. 제보자는 보통 조직으로부터의 징계, 생명의 위협, 사퇴 종용, 언어적·심리적·물리적 괴롭힘, 복직이나 사안 규명을 위한 법적 공방 한가운데 놓이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런 양상들을 염두에 두면서, 제보자들이 제보해결 과정에서 목격한 국가기관들의 문제점과 조직의 부정적 대응이 어떻게 행정적·법률적 절차를 통해 (장기간으로) 이뤄지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2013년 이래 수행한 현장조사와 인터뷰에서 눈에 띈 두 가지 사항에서 비롯하였다. 하나는 인터뷰이 상당수가 법적 공방에 놓여있다는 점과 다른 하나는 제보자들이 예상치 못한 어려움 중 하나가, 제보 과정에서 만난 국가기관 소속 담당자들의 제한적이고 관료주의적인 업무 방식이라는 점이었다. 신고처 담당자가 신고자를 누설하거나 비리 의혹의 조직에게 신고 사실을 알려주고, 제보 내용을 축소·은폐하여 조사·수사하거나, 편의를 위해 신고자에게 고발 철회를 요청하는 등의 국가기관 소속 담당자들의 비전문적 업무 양태가 있다. 매 단계 구체적인 행위자와 사건으로 인한 폭력의 양상이고, 이것은 제보자들과 제보의 성과에 두말할 것 없이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여전히 대중적인 제보자의 희생과 피해자화 담론을 넘어서서, 어떻게 조직의 부정적 대응이 심리적이고 물리적인 폭력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행정적·법률적 절차를 통해 이뤄지는지 밝히면서, 공익제보 담론에서 드러나지 않은 중요한 행위자들의 역할을 상기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제보를 받는 국가기관이나 시민단체의 역할,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투입되는 공무원들의 전문성, 주변의 심리적 지지·인정 등이 적재적소에 활용된다면 제보자가 제기한 문제가 수월하게 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보한 당사자도 훨씬 부담을 적게 가질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organization's negative response to whistleblowing. The whistleblowers are usually placed in the organization’s punishment, life-threatening, urge to resignation, verbal·psychological·physical harassment, and legal battle in clarifying the wrongdoing he·she raised or in recovering their job termination. With these aspects in mind, I would like to look at the problems caused by public institutions, which whistleblowers have witnessed in the pursing their issues, and how the organization’s negative responses are made through administrative and legal procedures in the long term. The study resulted from two noticeable points in my field and interviews conducted since 2013. One was that many of the interviewees were placed in legal battles, and the other was that one of the unexpected difficulties for whistleblowers was the public officials’ limited and bureaucratic work style during the reporting process. There are non-professional practices of those in public institutions such as officials’ leaking the reporter to the organization or informing the organization of the whistleblowing, minimizing or covering the report, or asking the whistleblower to withdraw the complaint for their own interest. Each stage is a pattern of violence caused by specific actors and events, which, needless to say, has a great impact on whether the whistleblowing succeed or fail and whistleblowers. Unlike the popular disclosures of sacrifice and victimization on whistleblowers, this study tries to make a contribution to reminding the role of important actors not revealed in the public discourse, showing how the organization's negative responses are not only through psychological and physical violence but also through bureaucratic and legal procedure. If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 or Non-governmental groups receiving reports, expertise of public officials who are deployed to identify problems, and psychological support and recognition of those around them are used in the right place, it is clear that the problems raised by whistleblowers will not only be able to be smoothly proceeded, but also whistleblowers will have much less burden during the whole process.

      • KCI등재

        무지의 인식론

        김미덕(Miduk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7 현상과 인식 Vol.41 No.3

        무지의 개념, 원인, 형태는 다양하고 복잡하다. 이 글은 규범적/적극적/고집스런 무지를 살피는데, 이는 도덕적 판단의 문제로서 정체성, 특권, 지식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특권의 한 역설로서의 무지를 살펴본다. 이때 무지는 지식의 결핍이라기보다 자신의 특권을 자각하지 못하는, 깨닫지 못함의 사치, 생각하지 않음, 무감각, 어리석음 등으로 불리는 것이다. 이 글은 고집스런 무지의 세 특징에 주목한다. 첫째, 무지는 교육, 문화, 미디어 등을 통해 제도화되어 있다. 둘째, 무지는 앎과 마찬가지로 상황적이다. 구조화된 특권 집단의 성원은 자신의 사회화된 특권을 인식하지 못하는 특권을 갖는다. 그리고 그런 특권을 비판받을 때 정당화나 심리적·물리적 저항을 보인다. 능력주의 이데올로기, 피해자 비난하기 등을 포함한다. 셋째, 무지의 극복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지식 문제에 초점을 두어 피억압자의 인식론적 특권을 확인하고 보편적 지식이라는 서구, 백인, 중산계층 남성 중심의 지식이 그들의 경험에 기반한 주관적 지식이라는 이해가 중요한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대개 무지와 특권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은 특권의 한 역설인 고집스런 무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지식, 정체성, 특권 담론의 영역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concept, cause, and form of ignorance are varied and complex. The ignorance this article examines is normative/positive/willful ignorance involved with moral judgement. This article shows that ignorance is one paradox of privilege in terms of identity, privilege, and knowledge. Here ignorance is called the luxury of obliviousness, thoughtlessness, insensitivity, and stupidity. Three features I focus on are as follows: first, ignorance is institutionalized through mainstream education, culture, and mass media. Second, ignorance is situated as knowledge is. The structurally privileged don"t recognize their own privilege,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of privilege. When they are questioned their privilege, they justify their world view and show diverse psychological·material forms of resistance such as meritocracy ideology and victim blaming. Third, as one alternative of ignorance, I explain the epistemological privilege of the underprivileged, and show the universal knowledge which has been western, white, male dominated knowledge is also subjective, particular knowledge based on their experiences. It seems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ignorance and privilege. I hope this article can make a contribution to expand the discourse on knowledge, identity and privileg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willful ignorance as one of paradoxes of privilege.

      • KCI등재

        한국 문학에서 기지촌 성매매 여성과 아메라시안에 대한 연구

        김미덕(Miduk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2

        이 글의 목적은 한국 문학에서 기지촌 주변의 성매매 여성과 아메라시안에 대한 재현을 살피는 것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정치적 함의로서 젠더, 민족, 계급, 인종 등의 권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나아가 사회적 약자의 고통과 저항의 개념을 재해석함으로써 그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이 글은 1945년 이후 기지촌을 주제로 한 문학 작품을 크게 민족주의 시각, 여성주의 시각, 가능성의 정치(the politics of possibilities)의 함의를 갖는 시각으로 분류한다. 기지촌 성매매에 대한 타자화된 문제의식과 해석이 보이지 않는 가능성의 정치의 함의를 갖는 작품 분석을 통해 기존의 두 시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민족주의 시각은 대부분의 중산층 남성 작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난다. 대체로 남성 서술자가 주인공이며 민족 문제가 가장 큰 사회 모순으로 대두되어 미군과 미국의 제국주의적 성격이 강조된다. ‘우리’와 ‘그들’이라는 배타적인 민족국가 단위로 사고하며 한국 민족 내에서 발생하는 가부장적 폭력은 은폐된다. 여성은 생물학으로 규정된 인종 개념에 바탕을 둔 민족국가의 재생산을 위해 상징적ㆍ물리적으로 동원된다. 이때 가부장적 성 규범과 계급 차에 근거한 정숙한 부르주아 여성 대(對) 성적으로 문란한 노동 계급이라는 이분법이 작동하면서 성매매 여성은 보호할 가치가 없는 경멸의 대상이 된다. 1990년대 이후 여성주의 시각의 작품과 몇몇 비평이 민족주의 시각의 가부장적 성격을 지적하고 성매매 여성 자신의 체험과 목소리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여성주의 시각은 대부분의 중산층 여성 작가의 작품에서 보이며 성매매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미군/미국의 폭력뿐 아니라 한국 민족 내 가부장적 폭력에도 민감하며 성매매 여성의 일상과 심리가 사실적으로 묘사된다. 성매매 여성의 저항의 문제를 타당하게 제기하였으나 반사적인 저항 개념을 전제하고 있으며, 의도적인 계몽성과 다른 계급에 대한 관조적 이해로 비판하고자 한 민족주의 시각의 작품들과 공통점이 있다. 가능성의 정치의 함의를 갖는 작품은 여성의 경험과 목소리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에서 기존의 여성주의 시각과 동일하지만 성매매 여성의 고통과 삶에 대해 타자화된 분노, 연민, 자조와 냉소로 표현되는 고통에 대한 과장, 저항과 주체성에 대한 의도적인 강조가 없다. 성매매 경험이 있는 여성과 아메라시안의 자서전뿐만 아니라 무의식적 휴머니즘의 발로에서의 성매매(박완서), 인간으로서 신뢰할만한 존재로 미군이 등장하는(김소진) 등 다양한 현실이 그려지는 작품이 여기에 해당한다. 사회적 약자가 반드시 침묵을 깨고 목소리가 들려지는 것이 해방적인 행위라는 저항 개념은 한계가 있다. 이 글은 사회적 약자의 저항 양식으로 고통의 다스림(domestication of suffering)을 제시한다. 이 개념은 표현 그대로 고통과 폭력을 회피하거나 마찰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다스린다는 것이며 다음의 전제들을 갖고 있다. 사회적 약자의 고통과 폭력의 경험은 극적으로 단절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상에서의 폭력의 수용과 대응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 이때 고통은 항상 부정적이고 제거되어야 하는 것만이 아니며 그것을 기꺼이 수용하고 다스려갈 때 치유와 창조적 힘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고 본다. 가난이라는 구조적 폭력을 소명으로 받아들인 박완서의 「도둑맞은 가난」과 아메라시안을 낳아 겪어야 했던 사회적 모욕을 받아들이고 현실을 직시한 어머니와 혼혈인인 자신의 고통의 다스림을 묘사하고 있는 김 엘리자베스의 『만 가지 슬픔』이 대표적인 예이다. The objective of this essay is not only to explore how women in the sex trade and Amerasians around US military bases have been represented in Korean literature since 1945. Rather I want to interpret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existence of women in the sex trade and Amerasians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the power relations of nation, gender, class and race. Furthermore, by reinterpreting the suffering and resistance of the underprivileged, I want to expand the understandings of their lives. I categorize Korean literature on this issue into three perspectives, nationalist, feminist and the politics of possibilities. I critically examine the conventional two perspectives through the politics of possibilities which have not shown othered inquires and interpretations of this issue. The most middle class male writers have shown a nationalist perspectiv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novels based on this perspective are that in most cases, a male narrator is a protagonist and the central question is about nation in relation to U.S. and focus on the violence of GIs and the imperialist nature of U.S. Women in the sex trade are subjects of pity, sympathy, disdain and redemption. The logic of nationalism is the exclusive relationship between us and them and it easily occludes patriarchal violence within a Korean nation. In order to reproduce a nation-state which is bound to a biologically essentialist notion of racial purity, women is to mobilize both symbolically and physically. It is essentially class-based through the division between our respectable sisters and mothers and poor and sexually loose women. Many middle class feminists and critics sine the 1990s have been trying to question patriarchal violence with the nationalist perspective by paying attention to women's voices and experienc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novels based on a feminist perspective are that the narrator is a woman in the sex trade and their focuses are on patriarchal violence of Korean men not only violence of GIs and U.S. and on the women's daily life and psychology. In spite of their proper focus on the women's subjectivity, it assumes a form of resilient resistance. Also it has some common with a nationalist perspective in intentional enlightenment and othered understanding of other class. The autobiographies and essay of the women themselv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politics of possibility in that they describe the women's own voices and experiences. This perspective shares one commonality with a feminist perspective that it values the women's experience. However there are no signs of othered disdain, pity, exaggeration of suffering and violence and overemphasis on intentional resistance and subjectivity. They give some possibilities on diverse realities for example by telling women's sexual behavior from unconscious humanism(Wanseo Pak) and depicting an American solder as thrustful(Sojin Kim). In regards to the subjectivity and resistance of the underprivileged, I question a deep presumption on resistance that the voice of the underprivileged should be listened and only breaking silences is an emancipatory action. I suggest the domestication of suffering as a way of resistance of the underprivileged, which means violence and suffering inflicted have not been evaded and resisted but readily domesticated. The concept is based on the two presumptions: we need to look at the way and reoccupation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 and suffering since the experiences seep into everyday lives rather than dramatically being expelled outside. Suffering is not always something negative but could be a creative and redemptive power only when is willingly recognized and endured. For this, I exemplify Wanseo Pak's "Stolen Poverty" where the female protagonist survives and resists poverty considering it as a vocation, and Amerasian Elizabeth Kim's "Ten Thousands Sorrow," where her mother willingly takes social stigma and confronts the cruel realit

      • KCI등재

        연구논문 : 미군 캠프타운 (한국) 여성들의 행위성에 대한 연구

        김미덕 ( Miduk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3

        이 글은 미군 캠프타운에서 생활한(하는) 40~70대의 한국 여성들에 대한 현장조사연구(2006년, 2007년)를 바탕으로, 주변부적 사회그룹의 행위성과 저항에 대한 문제를다루고 있다. 캠프타운에서 노동했던 여성들에 대한 행위성과 주체성에 대한 고민은 드물다. 가부장제, 군사주의, 빈곤의 구조적 요인들이 작용하여 피해자라는 이해가 보편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항의 경우, 시위나 자치조직과 같은 가시적 형태의 양식들이 강조되었다. 이 글은 이러한 대중적 이해와 달리 여성들은 덜 극적이며 일상적 형태의 저항양식을 취한다고 주장한다. 현장조사 연구에서 목격한 침묵/발화의 삼감, 사회적 거리두기등의 주체성 발양의 장을 살펴보면서 말을 하는 것과 목소리를 갖는 것이 등치의 행위가 아니라는 것을 설명했다. 여성의 행위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두 문제의 이론적 전환이필요하다고 보았다. 구조와 행위자의 이분법에 대한 근본적인 한계를 인식해야 하고, 억압과 전복의 특성, 다시 말해 억압은 비판적 지식 패러다임에서 대중화된 가부장제·군사주의 등의 추상적인 수위에서가 아니라 일상적·지속적 그리고 교차적 성격을 띠고있음을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그에 따른 전복의 양상 또한 그렇게 극적이거나 공개적이지 않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 명의 연구 참여자의 캠프타운에서의 경험을 사례로 설명한다. 억압의 일상성, 교차성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전복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캠프타운에서 생활한 여성들에 대한 안전하고 허용된, 제도적 지식의 한계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question of resistance and agency of the less powerful social groups. This is based on the ethnographic fieldwork research (2006 and 20007) on Korean women aged from 40-70s in U.S military camptowns. There are little studies on agency and resistance of them since they are considered as victims of such structural variables as militarism, patriarchy, and poverty. The popular forms of agency are visible, collective forms of resistance like the establishment of selfgovernance organization and demonstrations. Against the mainstream ideas on agency and resistanc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Korean women often employ unlikely and less dramatic forms such as silence, social distance, and daily subversions in their social environments. To understand this, I suggest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of two theorie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analytic division between structure and agency. In addition, we must reevaluate the daily and intersectional nature of oppression and subversion. This article presents Korean women`s life histories and narratives to demonstrate how inequity and subversion are actualized. After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reflexiveforms of resistance, as well as the tension between structure and agent and the daily nature of inequity and subversion, I demonstrate that the act of speech is not identical to voice and that oppression has been substantiated into daily lives which the women initiate within it. Through this, this article have shown how only safe, permissible, and institutionalized form of knowledge surrounding the women have been reproduced.

      • KCI등재

        내부고발(자)에 대한 문화적 재현

        김미덕(Miduk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4 현상과 인식 Vol.38 No.4

        이 글은 내부고발과 내부고발자가 문화 양식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가를 살핀다. 주로 실화를 바탕으로 한 필름(상업영화 및 다큐멘터리)을 분석했으며 소설, 증언록, 자서전 등을 참고했다. 비교의 가능성과 함께 한국 사례가 드물다는 현실적 이유 때문에 미국의 사례도 중요하게 다루었다. 내부고발에 대한 기존 연구는 제도적 수위에서 공익제보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집중되었고, 왜, 어떤 사람이 내부고발을 하는가 하는 질문에서 파생된 윤리 문제 또한 다뤄져왔다. 그런데 미디어와 문화 양식의 파급 효과가 적지 않고 무엇보다도 재현 자체에 이미 내부고발의 전제와 주장을 담고 있기 때문에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 한국의 경우 <부러진 화살>, 미국의 필름 중, 최근 내부고발 문제에 큰 반향을 일으킨 위키리크스 사건을 다룬 두 편의 필름 <제5계급>, <우리는 비밀을 훔친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내부고발의 정당성이 전제되어 있다. 이는 미디어와 내부고발이 공익을 위한다는 공통의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2) 개인화 과정이 눈에 띈다. 개인화 과정은 내부고발의 내용보다 내부고발자에게 초점이 맞춰지는 경향으로서, 이는 한 편에서 조직의 배신자, 다른 한편에서 영웅과 의인 담론으로 구체화된다. 의인 담론이 내부고발에 대한 긍정적 의도를 전제하지만, 이 또한 배신자 담론과 동일한 효과를 낳는데, 공적 윤리의 문제를 일개인의 윤리 문제로 전환하는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 위키리크스 사건의 첼시 매닝을 둘러싼 사법적 처리와 생권력의 개인화 과정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내부고발의 내용과 내부고발자의 조심스러운 분별을 통해 개인화 과정의 한계와 특징을 살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how whistleblowing and whistleblower are represented in media and cultural products. Films based on true stories on whistleblowing are mainly analyzed and novels, testimony, biographies are also mentioned. The films of USA is equally dealt with due to the lack of cultural products on whistleblowing in Korea. There is little discussion of cultural representation on whistleblowing. The conventional studies are predominantly on the institutional level to ask how legal protections are to be prepared for whistleblowers. The questions of who whistlebowers are, and why they do it are also common questions in this topic. However the cultual representation is also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great effects on the viewers/readers on the whistleblowing and thus they can perceive the assumption and value evaluation of whistleblowing. I consider a Korean movie <Unbowed>, and USA films <the Fifth Estate>, <We Steal the Secretes>. The former is based on the story of former professor Myeongho Kim of ‘Bow Scandal,’ and the latter two films are on Wikileaks, which is the internet drop box with the mission of information transparency and protection of informants, and made some scandals in terms of ‘Collateral murder,’ ‘Cablegate’ and Chelsea Manning in 2010. I found two features in films(and the media): 1) They assume the rightfulness of whistleblowing. It is because whistleblowing and media have a commonality in the pursuit of public good. 2) The process of personalization is noticeable. This refers to focus on whistleblowers themselves instead of the contents of whistleblowing. Contrasting to conventional understanding, I demonstrate the discourse of identifying whistleblowers as the righteous ones is also debatable in the sense that it results in the displacement of the question of public ethics to whistlblowers individuals. The juridical and biopolitical modality in the case of Chelsea Manning of Wikileaks in 2010 is exemplifed. The limitation and features of personalization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careful distinction between the contents of whistleblowing and whistleblower her/himself.

      • KCI등재

        국가(주도)의 개발사업, 그에 따른 D마을의 변화와 구성원들의 반응: 개발, 공용수용, 고령화된 공동체

        김미덕 ( Miduk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필자가 2018년 현장연구를 한 광양시 D동에 속한 한 자연마을에서 목격한 근린공원 조성사업 사례를 통해, 국가주도의 개발산업과 해당 공동체의 변화 그리고 이를 경험하는 구성원들의 상황과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마을의 점진적인 변화와 현재의 사업을 이끈 동력은 30여 년 전의 컨테이너 부두 개발과 그 이전에 설립된 제2제철이다. 광양시는 1980년대 중반 제2제철 설립으로 인해 인구 증가, 도시화·상업화, 경제성장을 오랜 기간에 걸쳐 이뤄 왔다. D마을은 전형적인 반농반어촌마을로서, 1990년대 말 갯벌에서 패류 채취노동을 하던 바다가 컨테이너 부두 사업에 수용되고 잇따라 도로와 철도 설립을 위해 주변 임야와 농지 또한 수용되었다. 그리고 2010년대 중반 이래 ○○근린공원 조성사업이 진행되면서 다시 한 번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마을 형성시기부터 유지된 11가구 중 1가구가 이사를 가고, 2015년 한 외지인이 두 건물을 세우면서 기존 마을의 외관도 변하였다. 영향을 받은 인원과 규모가 작았던 과거 개발과 달리 현재 사업의 경우 가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주변 임야와 전답이 수용되어 마을 전체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사업 자체에 대한 주민들의 가시적인 집단 시위나 반대는 없었다. 공원조성 사업이 국가정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반대나 저항을 해도 소용이 없을 것이라는 주민들의 체념과 고령화로 인해 농사짓기가 어렵다는 현실적 이해가 맞물리면서, 한편에서는 지방정부로부터의 보상과 공사가 진행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그들의 일상이 유지되고 있다. 공공성의 명분, 행위 주체가 국가라는 사실, 그것을 뒷받침하는 법적 절차와 준수를 전제로 구성원들은 현금 보상의 대상자이자 잠재적 이주자의 상황에 놓여 있다. 본 연구는 거시적인 개발담론과 국가정책에서 잘 드러나지 않은 해당 공동체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구성들의 대응에 주목하면서 복잡한 개발 현상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aim of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to a relevant community, and the situation and responses of the community members through a case of neighborhood park establishment, which have directly influenced a rural village in Gwangyang-si, Jeollanam-do, where I witnessed in 2018.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of the park establishment project in the village is the construction of container pier which was proceeded 30 years ago. Gwangyang-si has witnessed the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commerc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Second steel establishment in 1980s. People in the small rural village, a typical half-farming and half-fishing village, has changed their main economic source from grabbing shellfishes in mud flats to farming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container pier in the 1990s and consequent compulsory acquisition of mud flats. Part of surrounding mountains and rice fields were also expropriated for highways and railway toward the second steel industry areas. The village has been enormously affected by the establishment of a land-mark park for which the local government expropriated almost fields and mountains of the village except their houses. One household left due to uneasiness from the ongoing construction, and a newcomer’s new buildings made the village look total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nvironment. There were not people’s visible protests. The village people manage their daily lives with the resignation based on the idea that the park project is national policy and thus their opinions (for example resistance against the policy) could not make any difference, and with the practical reasoning that most of them are too old to farm any longer.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develop more balanced development dicourse by considering communities and the members affected by national development, which are almost invisible in most development discourses.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

        김미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이 글의 목적은 군사주의와 젠더 관점에서 베트남 전쟁 당시(1962-1975)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을 살피는 것이다, 적십자는 1881년 클라라 바톤의 창설 이래 미 정부 및 군 당국과의 밀접한 연계 속에서 군인과 군인 가족 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적십자는 베트남에서 11년간 활동 했는데 주요 활동으로 군과 고향을 연계한 부대 서비스, 군병원 서비스, 오락센터와 이동클럽을 운영한 해외오락보충부대가 있었다. 특히 해외오락보충부대는 1965년 가을 베트남 다낭에 처음 도착하였고 1972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 이 부대 소속의 여성들은, 군 기지 근처에 클럽을 세워 군인들에게 오락과 휴식을 제공하고, 센터가 없는 외딴 곳에 있는 부대는 여성들이 직접 방문해 커피나 도넛을 나눠주고 오락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적십자 여성 노동자는 대개 20대 중반의 미혼 여성으로서 대학교육과 사회경험을 우대했기 때문에 백인 중산계층 배경의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주요 임무는 군인의 사기 진작과 건전한 오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향의 어머니, 애인, 여동생이나 누나의 역할을 대행했고 남성 군인이 지켜야 하는 조국의 여성을 상징했다. 활동의 어려움에는 열악한 생활환경,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공간에서 파생하는 젠더문제, 전쟁으로 인한 긴장과 무력감 등이 있었다. 이들의 활동은 군사주의와 젠더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적십자 여성의 활동은 남성의 사기 진작을 목적으로 보살핌과 위로라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충실했다. 둘째, 다만 그들의 존재는 고향에 두고 온 어머니, 애인, 누이동생의 이미지로 상징적으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성적 대상화가 부재한 것은 아니었지만 대체로 군인들로부터 예의바른 대우를 받았다. 셋째, 여성들의 나이가 군인들보다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소녀라 불리며 보호와 위안의 교환이라는 젠더 위계의 재생산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군인들이 보호해야 하는, 정숙한 미국 여성의 도덕성과 그렇지 않은 현지 여성의 부정적 이미지 간의 이분법 또한 작동하였다. 한편 여성 자신에게는, 다른 국가를 접하고 전통적으로 남성 영역인 전쟁에 참여하는 도전과 기회의 장이라는 것 또한 분명했다. 이 글은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의 이러한 모순적이고 복잡한 상황을 보이고자 했다.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activities of American Red Cross(ARC) women during the Vietnam War(1962-1975) and to explain them with the prism of militarism and gend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ARC by Clara Barton in 1881, the organization has supported the soldiers and their families with the close cooperation of the U.S. government and the military authority. During 11 years of the activities of ARC in Vietnam, it provided three main services, Service to Military Installations(SMI), Service to Military Hospitals(SMH), and Supplemental Recreational Activities Overseas(SRAO). In particular, the first SRAO unit was arrived in September 1965 in Da Nang, Vietnam and the program was ended in 1972. The SRAO program ran recreation centers to provide recreation and rest to soldiers and delivered active audience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small scale troops where no service clubs were available, the women served coffee and doughnuts with a clubmoible. ARC women were required to be college graduated, in middle 20s, and thus predominantly consisted of white middle class women. The main activities were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o provide wholesome recreations, and the women were symbolically represented as mothers, sisters, and lovers in the States. Difficulties included poor working environment, gender issue in terms of overwhelmingly male-dominated environment, and the powerlessness from the war. The women’s activities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gender and militarism as such. First, the clear aim of their presence during the vietnam war was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heir activities reproduce the traditional sex role such as care and comfort. Second, along with the comfort service, they were represented as symbols of the America’s mother, sister and lovers whom soldiers should protect and fight for rather than having direct sexual contacts. Although there was not absence of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women, it is safe to say that they were politely treated by the soldiers in general. Third, we can confirm gender hierarchy in that they were simply called girls although they were older than soldiers. Fourth, the dichotomy between respectable American women and negative images of local women was also assumed. In the meantime, since the motivation of their voluntary work overseas were to experience foreign countries challenging traditional sex role in the States and to participate a war considered conventionally as men’s sphere, the women wielded their agencies. This article tries to show such a paradoxical and it complicated situation relating the activities of ARC during the Vietnam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