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및 학생 변인별 역량 차이 분석 연구

        김명희(Kim, Myunghee),장윤호(Jang, Yunho)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21 평생학습사회 Vol.17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 university’s tutoring program on students’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the differences in these competencies based on student variables. To collect data, pre and post surveys of 372 students(18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8 in the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had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department to which the students belonged.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of the Humanitie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group. These results suggest not only that the tutor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but also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o cultivat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to provide differentiated support for each department.

      • SCOPUSKCI등재

        서울시 일부 중ㆍ고등학교의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

        김명희(Myunghee Kim),신원선(Weon-Sun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0

        18개교 일반 중ㆍ고등학교와 1개교 특수학교에서 수거한 식재료 및 조리식품은 비전처리 채소가 38종, 전처리 채소가 13종, 육류 9종, 어패류(냉동 혹은 조미 포함) 3종, 건어물 7종, 반가공 혹은 가공 식재료 20종이었다. 수거한 식재료 중 전처리 야채(8종)에서 대장균군이 3.4~4.3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육류(4종)에서는 대장균군이 2.2~4.3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조리식품인 생채와 샐러드에서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에서 제시한 대장균 검출 기준치(g당 1,000 CFU이하)를 넘어선 수준의 2.3~55 log CFU/g 수준의 대장균군이 검출되었고, 가열처리를 거친 조리식품에서도 1.0~3.5 log CFU/g수준으로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수거한 식재료와 조리식품 중 16종의 식품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청(8)에서 고시한 “신선편이식품 및 즉석식품의 미생물적 품질기준(대장균, 음성)”에 부적합하였다. 병원성 식중독 세균 중에서 B. cereus는 16종의 비전처리 채소, 2종의 전처리 채소, 3종의 가공식재료, 3종의 비가열조리 식품, 8종의 가열조리식품에서 검출되었으며, 정량검사를 실시한 결과, 당근 3.6 log CFU/g, 무우 2.9 log CFU/g, 부추 2.5 log CFU/g, 건새우 쥐어채볶음 2.3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용혈성 대장균인 E. coli O157:H7은 가공식품인 탕수육용 냉동돼지고기(k교)에서 검출되었고, API kit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방법으로 확인ㆍ동정되었다. C. jejuni는 i교에 공급된 비전처리 채소인 무와 r교의 전처리 채소인 채썬 양배추, f교의 오이채, 당근채에서 검출되었다. V. parahaemolyticus는 g교의 비전처리 채소류인 당근, 피망, 양배추, 깻잎과 전처리 채소인 깐 적양배추, 오이채, 깐 양상추에서 검출되었으며 조리된 식품인 비빔채소국수에서 검출되었고, e교와 f교에 공급된 전처리 채소인 오이채와 e교에 공급된 가공식품인 냉동 미트볼에서 검출되었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시한 ‘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이식품’에서의 V. parahaemolyticus는 ‘음성’ 검출기준에 적합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 spp.는 r교에 공급된 냉동 닭고기에서 1건이 검출되었고 API kit 및 Salmonella 항혈청에 대한 응집반응을 통해 확인ㆍ동정하였다 The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school food samples collected from 19 selected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as undertaken. Eighty-nine food samples consisting of 38 non-pretreated vegetables, 13 pre-washed and cut vegetables, 9 meats and poultry, 3 fish and shellfish, 7 dried fish, and shellfish and 20 processed foods were collected. Aerobic plate count, total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E. coli) were detected using Petrifilm™, and the food-borne pathogens were screened by multiplex PCR with species-specific primer sets. Sequentially, the quantitative and confirmative test of the food-borne pathogens were carried out with the selective media and biochemical kits. The contamination of coliform counts was observed on the pre-washed vegetables (3.4~4.3 log CFU/g) and meats (2.2~4.3 log CFU/g). Also, the cooked foods were heavily contaminated with coliform, ranging from 1.0 to 5.5 log CFU/g. E. coli counts were found in 16 raw and cooked food samples, exceeding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for the guideline of safety management for school foods. Through PCR detection,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32 raw and cooked foods, and quantitatively found in pre-washed carrot, radish, and pan-broiled dried shrimp and filefish ranging from 2.3~3.6 log CFU/g, respectively. E. coli O157:H7 was detected on frozen pork sample and was confirmed with API kit. Campylobacter jejuni was found in 3 ready-to-eat type vegetables.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found in 4 pre-washed vegetables and 2 cooked foods, indicating unsatisfactory quality based up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of ready-to-eat vegetables and cooked foods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almonella spp. was detected in frozen chicken sample and confirmed by API kit and latex antisera agglutination.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김명희(Myunghee Kim),이병숙(Byoungsook Lee)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9 계명간호과학 Vol.13 No.1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in hospice volunteers. Method: The subjects were 267 hospice volunteers from six general hospitals in Daegu-Kyungbuk area. Tools for the death anxiety developed by Park(1995) and the attitude for death, the Korean version of Thorson & Powell(1988) were used. SPSS/Win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death anxiety was 2.12(SD .59) in 4 score scale. In death anxie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occupation, religion and the frequency of volunteer service.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11.6% of death anxiety. The average score of subject’s attitude to death was 2.91(SD .59) in 4 score scale, revealing the positive attitude to death. In attitude on dea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experience of the death of close relatives an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And these explained 6.6% of attitude on death.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the attitude on death. Conclusion: The variables affecting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such as sex, occupation, religion and frequency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s, an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hospice volunteers.

      • 현대미학의 의의와 과제에 관한 소고

        김명희(MyungHee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06 뷰티산업연구 Vol.1 No.2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인간의 감성은 그 기원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무척 오랜 역 사를 지니고 있다. 근대화 이후 우리나라의 미적 경향은 서구적인 패턴이 중심을 이루었던 것이 사실이나 최근에 이르러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이런 점 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관점 또한 변화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동양에 있어서 아름다움은 때로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는 식의 논조가 없지 않았다. 경국지색(傾國之色)이라는 말이 그것을 대표적으로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흐름을 놓고 볼 때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전통에서도 아름다움을 추 구하는 인간의 본성이 궁극적으로 부정된 적이 없는 것이 틀림없는 사실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동양의 아름다움은 순수미와 자연미, 그리고 외형적인 것보다는 내면적인 아름다움이 중시되었다는 특징을 보인다.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아름다움은 내면의 아름다움이 담보될 때에만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반면 서구의 아름다움은 다양한 의미층을 보이고 있다. 아름다움의 내면적인 면이 중시되지 않은 것은 아니겠으나 서구학문의 패턴을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정리와 개념의 변화축이 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서구 사상에 있어서 는 아름다움의 개념정리를 매우 의미있게 보는데, 이것은 동양의 아름다움이 간과하고 있는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아름다움을 선험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동양의 사상과 달리 아름다움에 대한 규정을 중요하게 생각한 서구의 미 개념은 시기적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소크라테스 시대부터 질문되던 아름다움에 관한 것이 바움가르텐에 의해 비로소 미학이라는 하나의 분야로 자리 잡으면서 예술미에 관한 접근들로 아름다움에 관한 것이 함몰된 듯한 분위기가 없지 않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서구의 아름다움에 대한 규정으로부터 출발하는 사상은 표면적 아름다움이 내면적 아름다움보다 부각되는 결과와 아름다움에 대해 인식의 공유를 전제한다는 점에서 몰개성화가 나타났다 는 지적이 가능할 것이다. 그 동안 세계의 흐름이 서구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나 근래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은 모든 질서와 흐름을 근본적으로 되묻는 파격적인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이것은 아름다움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도 예외일 수 없었다. 아름다움에 대한 주 관적 감성과 그것을 인정하는 다양성에 관한 담론은 매우 중요한 의미축의 변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함께 생명에 대한 이해가 아름다움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나타난 것도 고무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공존의 모색, 귀천이나 상하, 또는 주변과 중심을 나누는 이분법적 구도는 이제 더 이상 자리잡을 수 없게 되었다. 개성의 존중과 함께 가치의 전환이 일어났으며, 이리 하여 공존의 미학이 나타났는데, 이것을 다양성 속의 통일성과 조화로 볼 수 있다. 이 와 함께 자연에 대한 인간의 관심까지 나타난 것이 현실이다. 앞으로 아름다움의 생산은 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며, 서구 중심의 미 학에서 아름다움의 대상이 예술적인 것으로 인식되던 것으로부터 인간의 삶에 직접 적인 관계가 있는 다양한 작업과 현상까지를 아우르는 범위가 아름다움의 영역이 된 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에 대응하는 미적 인식을 확보하는 것 또한 아주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The human sensibility pointing to the beauty has very long history, and the origin of it is ambiguous. After modernization, it is the fact that the trend of beauty was occupied by the western pattern, but recently the concern for our own culture is very increased and the viewpoint for beauty has shown changes. The oriental beauty attaches importance to purity, naturalness and the internal beauty rather than the external one. The western idea results from the regulations for beauty showed the results that the perception of beauty was shared with the idea that the external beauty was more highlighted rather than the internal one. This may be pointed out that the idea results in lack of individuality. Up to dates, the world wide trend of beauty is developed by the western pattern, but recently the trend of post-modernism has been emerged and this has bring the conversion of perception that ask a question of the whole traditional trend and order. Bidirectional structure of dividing top and bottom, center and circumference, etc. is not exist further. The change for the value is occurred with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therefore the esthetics for coexistence is appeared. This may be understood as the unity and the harmony in variety. In future, the production of beauty will have important meaning and the western esthetics that treats artificial object has changed the viewpoint to various works and phenomena of human life. Therefor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the esthetic perception will be very meaningful.

      • KCI등재

        미국의 쉬운 언어정책의 제도화와 한국에의 시사점

        김명희(Myung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연구는 미국의 ‘쉬운 언어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의 제도화 과정에서의 법령과 추진체계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여 한국의 쉬운 공공언어 프로젝트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쉬운 언어 정책이 제도로 정착되기까지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의 지속적인 관심과 연방기관들의 솔선수범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둘째, 미국의 쉬운 언어 정책집행에 있어서 시대별로 마련된 법령들은 연방기관들의 의무적 준수를 끌어낼 수 있도록 기여했다. 셋째, 쉬운 언어정책의 추진주체는 PLAIN(Plain Language Action and Information Network, 쉬운 언어 활동ㆍ정보 네트워크)이라는 행정부처가 아닌 연방공무원과 전문가로 이뤄진 커뮤니티이다. 넷째, 쉬운 언어정책은 공교롭게도 개혁성향의 민주당 출신 대통령들과 행정부로부터 전폭적인 지지와 지원을 받았다. 다섯째, 2000년대 이후 대부분의 연방부처와 기관들은 쉬운 언어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자체적으로 쉬운 언어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행 미국의 쉬운 언어 정책은 국민과 정부 간 명실상부한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이자 신뢰사다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This paper is to analyse statutes and execution system on ‘plain language policy’ of the U.S. in the process of policy was instituted, and to suggest th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easy public language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the conclusions drawn. The summarized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continuous interests of Presidents and taking the lead of federal agencies played important roles until the U.S. plain language policy has been established as a system. Second, in executing the U.S. plain language policy, laws legislated by period contributed to elicit mandatory compliances from the federal agencies. Third, a propelling agent of plain language policy, PLAIN, is not an administrative department but a community consisted of federal employees and experts. Fourth, plain language policy was unexpectedly given wholehearted support and assistance by Presidents and their administrations from the reform-minded Democratic party. Fifth, during the 2000s most federal departments and agencies held self-managed websites and programs related to plain language. To conclude the current U.S. plain language policy surely performs a mechanism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a role as a ladder of trust between the public and government.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수업 참여 교수와 학생의 평가에 대한 인식 탐색

        김명희(Kim, My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수업 참여 교수와 학생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교수 11명과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인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4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도출된 범주들은 17개의 상위 범주로 유목화되었다. 축코딩을 통해 범주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타 강좌와 다르지 않은 평가 방법’, ‘교수·학습과 평가의 불일치’, ‘학습과정 평가의 부족’이라는 세 개의 중심현상이 도출되었고, 중심현상을 둘러싼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이 분석되었다. 또한, 교수와 학생이 중심현상에 대처하기 위해 활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이를 통해 형성된 결과가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핵심범주로 나타난 ‘교수와 학생의 평가 변화 필요 인식 형성’에 부응하는 대학의 평가제도 개선, 교육 및 시스템 지원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evaluation in student-centered class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rofessors and 16 student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s a qualitative approach. As a result of open coding, 40 cod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17 concepts. Through axial coding, whi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pts, three core phenomena were established: ‘an evaluation that is not different from non student-centered classes , ‘disagreement between instruction and evaluation , and ‘a lack of formative evaluation.’ In addition, the causal, contextual, and intervening conditions surrounding the core phenomena were analyz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at professors and students used to manage the core phenomena under given conditions and the consequences formed through the strategies were also identified. Analysis of the selective code revealed turned out to be ‘forma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awareness of the need for changes in evaluation’, suggesting institutional, educational, and system support by the university is requir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플립러닝 수업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명희(Kim, My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생의 만족도와 학습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A대학에서 2019년에 플립러닝 수업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18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생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전학습 콘텐츠, 상호작용, 사전학습 확인 활동, 사전학습 콘텐츠 이용 편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효과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자 중심 수업 활동, 미니강의, 사전학습 콘텐츠 이용 편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만족도는 학습효과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전학습 콘텐츠의 질과 이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사전학습 이수 및 이해도 확인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 전략이 요구된다. 한편, 학습효과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실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 중심 수업 활동의 질 향상이 중요하며, 미니강의를 통한 추가 설명 및 지도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수업의 만족도가 학습효과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수업 만족도와 학습효과를 함께 고려한 수업 설계 및 운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in flipped classrooms.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who had taken flipped learning classes in 2019 at A University, and a total of 18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the SPSS 25 program wa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satisfaction in flipped classrooms were done in the order of pre-class learning content, interaction, pre-class learning confirmation activity,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pre-class learning content. Second, the factors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were sequenced in the order of learner-centered class activities, mini-lectures, and convenience of using pre-class learning content. Third, class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rder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in flipped classroom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nvenience of using pre-class learning content, and activities to check the completion of pre-class learning and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In addi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learners and learners-learners are needed. Meanwhile, in order to raise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in class and essential to give additional explanations and guidance through mini-lectures. Finally, the result that class satisfac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operate classes considering both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effects.

      • KCI등재

        비대면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 및 학습자 변인별 역량 차이 분석 연구

        김명희(Myung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으로 이루어진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 배경변인 및 수업참여수준, 수업전반만족수준, 학업성취인식수준에 따른 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충남 소재 S대학에서 2020년 2학기에 학습자 중심 수업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22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 및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비대면 학습자 중심 수업 후, 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수업참여수준, 수업전반만족수준, 학업성취인식수준 상위집단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이 하위집단의 능력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년, 소속 단과대에 따른 능력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연구의 결과는 비대면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생의 역량 증진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학생의 수업 참여 및 만족수준, 학업성취인식수준이 역량 제고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learner-centered classes on students’ communic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se competencies according to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class participation levels, overall class satisfaction levels,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ption levels. Methods To collect data, pre and post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who had taken learner-centered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S University, and a total of 222 students respond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s, and analyses of covariance (ANCOVAs)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5. Results After non-face-to-face learner-centered classes,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i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abiliti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of the group with higher class participation levels, overall class satisfaction levels,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ption level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ith lower level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bilities according to gender, grade, or depart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n-face-to-face learner-centered classes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 competencies, and that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levels, overall class satisfaction levels,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ption levels are important factors in enhancing their competencies.

      • KCI등재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에서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만족 요인

        김명희 ( Myunghee Kim ),박현정 ( Hyunjung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대면 플립러닝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러한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만족 요인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S 대학의 2020년 2학기 플립러닝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21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업 효과 분석 결과,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 참여 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수업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만족 요인 분석 결과, 의사소통능력의 영향요인은 수업방법만족도, 학습환경만족도 순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영향요인은 학습결과만족도, 교수자지원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요인은 본수업활동만족도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플립러닝에서 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제고를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viability of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by examining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classes on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makes recommendations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operation of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classes by analyzing ability-affecting class satisfaction factors. To collect the data, pre-post tests and a satisfaction survey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of flipped learning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S University. A total of 121 students participated. In terms of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es, paired sample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rough data analysis, the increase in communication abilitie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classes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analysis of ability-affecting class satisfaction factors reveal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communication ability were, in order of importance,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in order of importance, learning outcomes satisfaction and teacher support satisfaction. The factor affecting problem-solving ability was class activity satisfac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in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clas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