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optotic Effect of co-treatment with HS-1200 and Cisplatin on SCC25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김덕한,김인령,박봉수,안용우,정성희,Kim, Duk-Han,Kim, In-Ryoung,Park, Bong-Soo,Ahn, Yong-Woo,Jeong, Sung-Hee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3

        담즙산은 지방의 흡수와 콜레스테롤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전사에 관여하는 필수 콜레스테롤의 생성물이다. 담즙산 합성유도체인 HS-1200이 여러 가지 암세포에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람혀 편평세포암종세포(SCC25 cells)에서 담즙산 합성유도체인 HS-1200과 대표적인 항암제인 cisplatin의 병용처리 후 세포자멸사 증가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HS-1200과 cisplatin의 병용처리가 단독처리에 비해서 효과적인 세포생존율 감소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MTT법을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의 유도와 증가를 알기 위해서는 DNA 전기영동법, Hoechst 염색법, DNA hypoploidy법 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세포자멸사에 관계하는 단백질의 발현 변화와 세포내에서의 이동을 밝혀내기 위해서 Western blot 분석과 면역형광 염색법을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서 proteasome 활성도와 사립체막 전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S-1200과 cisplatin을 병용처리한 SCC25 세포에서 핵의 농축, DNA분절, MMP와 proteasome 활성도의 감소, Bax의 증가와 Bcl-2의 감소, DNA양의 감소,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유리, AIF와 DFF40(CAD)의 핵으로의 이동, caspase-9, caspase-7, caspase-3, PARP 그리고 DFF45(ICAD)의 활성화와 같은 다양한 세포자멸사 증거를 보였다. 반면에 상기 물질들에 단독처리 된 SCC25 세포에서는 세포자멸사 현상이 거의 없었다. 24시간 동안 $25{\mu}M$의 HS-1200, $4{\mu}g/ml$의 cisplatin 을 각기 단독처리 한 결과에서는 세포자멸사를 거의 유도하지 못했으나, 병용처리한 결과에는 아주 탁월하고 명확한 세포자멸사의 유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실험결과는 HS-1200과 cisplatin 의 병용요법이 사람구강편평세포암종 환자를 위해 새로운 치료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Bile acids are polar derivatives of cholesterol essential for the absorption of dietary lipids and regulate the transcription of genes that control cholesterol homeostasis. Recently it have been identified the synthetic chenodeoxycholic acid (CDCA) derivatives HS-1200 and cisplatin showed apoptisis-inducing activity on various cancer cells in vivo and in vitro.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apoptotic effect of co-treatment with HS-1200 and cisplatin on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SCC25 cell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treatment with HS-1200 and cisplatin compared to each single treatment efficiently reduces the viability of SCC25 cells, MTT assay was conducted. The induction and augmentation of apoptosis were confirmed by DNA electrophoresis, Hoechst staining and an analysis DNA hypoploidy. Westen blot analysis and immunofluorescent staining were also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levels and the translocat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following this co-treatment. Furthermore, proteasome activity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change were also assayed. In this study, co-treatment with HS-1200 and cisplatin on SCC25 cells showed several lines of apoptotic manifestation such as nuclear condensations, DNA fragmentation, reduction of MMP and proteasome activity, the increase of Bax and the decrease of Bcl-2, decrease of DNA content,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translocation of AIF and DFF40 (CAD) onto nuclei, and activation of caspase-9, caspase-7, caspase-3, PARP and DFF45 (ICAD) whereas each single treated SCC25 cells did not show these patterns. Although the single treatment of $25{\mu}M$ HS-1200 and $4{\mu}g/ml$ cisplatin for 24 h did not induce apoptosis, the co-treatment of these reagents prominently induced apoptosis. Therefore our data provide the possibility that the combination therapy with HS-1200 and cisplatin could be considered as a novel therapeutic strategy for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 KCI등재

        티베트의 문화와 가족관계에 나타난 효사상 검토

        김덕균(金德均)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8

        본 논문은 중국의 뜨거운 감자 티베트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그들만의 독특한 가족문화와 효사상을 검토했다. 티베트는 중국의 수많은 동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문화와 풍습을 이어왔다. 유교적 가족주의와 효문화가 강력했던 중국의 영향권 내에서 그들은 그들만의 가족주의와 효문화를 유지하며 발전시켰다. 중국의 유교적 가족주의와 효문화 입장에서 보자면 오히려 불효(不孝)일 수 있는 문화형태도 있다. 이는 일부다처(一夫多妻), 일처다부(一妻多夫)의 가족관계와 무관하지 않다. 고산지대라는 척박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 부모나 어른 공경보다는 절대자에 대한 숭배심이 보다 중시된 까닭이다. 또한 독특한 장례문화도 유교문화와는 상당히 다른 구조로 전개되었다. 장례풍속에서 그들만의 효문화가 정착된 것이다. 유교적 효문화는 생존 시는 물론 죽어서도 신체보존이 중요한 문제였다. 부관참시(剖棺斬屍)는 최악의 수치이자 형벌이었다. 그런데 티베트의 조장(鳥葬), 수장(水葬), 풍장(風葬)과도 같은 장례 문화는 죽은 자를 자연과 동물에게 나눠주는 행위였다. 때론 시체에 칼을 대는 행위도 서슴지 않았다. 그것이 사자(死者)를 바른 길로 인도하는 것이라 여겼다. 시체를 훼손하거나 방치하는 것은 유교적 관점에서 보자면 최고의 불효이다. 하지만 티베트만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풍토가 만든 장례문화는 유교와는 다른 그들만의 효문화를 이루며 이어가고 있다. 이렇듯 티베트에는 그들만의 부모공경, 어른공경, 장례문화가 존속했다. 본문에서는 설화에 담긴 가족문화, 효관련 내용도 포괄했다. 그 가운데 한국은 물론 주변 국가와의 문화영향관계도 일부 살필 수 있었다. This paper reviewed Filial piety and cultures in Tibet, a hot potato in China. Despite China’s numerous assimilation efforts, Tibet has continued its own culture and customs different from China.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China, where Confucian familialism and filial piety were strong, they maintained their own familialism and filial piety. From the standpoint of China’s Confucian familialism and filial piety, a form of culture that may be ineffective was considered to be found. This is not unrelated to their own polygamy family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the struggle for survival in the barren environment of the high mountain places more emphasis on worship of the Absolute than respect for parents or adults. In the meantime, they revealed that their own culture of respect for parents and adults survived. Not only Rama Buddhism, but also the content were contained in their own narratives. Among them,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culture and filial piety-related content not only with Korea but also with neighboring countries.

      • KCI등재

        황종희의 심학과 주자학 비판

        김덕균(金德均) 한국양명학회 2008 陽明學 Vol.0 No.21

        본 논문은 황종희의 『맹자사설』에 나타난 주자학 비판을 주로 담았다. 『맹자사설』은 주로 심학과 성선설, 그리고 민본시장을 담고 있다.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내용가운데 여기서는 심학부분만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심학을 근거로 성선설과 민본사상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심학은 『맹자사설』의 핵심이며, 동시에 황종희 철학사상의 중심 문제이다. 심학은 역사상 큰 틀에서 맹자심학(孟子心學)ㆍ선종심학(禪宗心學)ㆍ육왕심학(陸王心學)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황종희는 선학(禪學)을 배척했다. 따라서 황종희의 심학에 선종심학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의 심학적 체계를 담고 있는 『맹자사설』은 맹자ㆍ육상산ㆍ왕양명의 심학을 계발한 것이다. 그리고 가깝게는 스승 유종주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물론 원 뿌리는 선진 시대 맹자로 소급되지만, 『맹자사설』을 통해 그는 스승 유종주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켰다. 유종주가 저술한 사서(四書)에 대한 책 가운데 유독 『맹자』에 관한 것만 없기 때문이다. 이유야 어찌 되었든 유종주가 유독 『맹자』 관련 저술을 빼놓은 것을 황종희는 자신의 임무라 생각한 것이다. 그런데 황종희는 주로 주자의 주석을 많이 본 것 같다. 본문 내용에서 주자를 긍정하는 내용도 없지 않지만 주로 비판하는 데 치중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맹자』 「호연장」에 대한 주희 해석을 주로 비판하였다.

      • KCI등재

        효자전, 경전과 관행의 사이 - 조선 초 왕조실록의 효행 통계를 중심으로 -

        김덕균(金德均)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1

        이 연구는 조선왕조실록 초기(태조~성종)의 효행 실태를 크게 경전적 효행과 관행적 효행으로 구분하며 분석하였다. 경전에 근거한 효행은 직ㆍ간접 교육의 산물이고, 관행에 근거한 효행은 주변 체험사례를 다양한 형태로 전승한 결과물이다. 그런데 두 가지는 서로 상반된 요소가 있다. 할고단지(割股斷指)나 지나친 거상(居喪)으로 인한 신체훼척은 경전에서 금하는 행위였지만, 관행적 효행 속에서는 이를 당연시 하거나 암묵적으로 권면하는 경우도 있다. 경전의 효행은 이성적 사유에 기반한 합리성이 중심이라면, 관행적 효행은 감성 의존의 주관적 효행에 가깝다. 『효경』과 『예기』 등에서는 신체보존을 효의 중요한 요소로 삼았고 그에 따른 합리적 요청이 있지만 일상적 효행 가운데에는 치병과 거상을 위한 신체훼손 사례가 상당수 있었다. 이렇듯 관행속의 효행은 아무리 순수한 부모공경의 감성적 발로라 하더라도 무절제와 불합리를 수반한 경우가 많았다. 또 이것이 자녀의 일방적 헌신ㆍ봉사ㆍ희생으로 비춰지면서 효는 부담스런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래적 효는 생활능력이 없는 노부모[老]를 젊은 자녀[子]가 보호한다는 의미[老+子]에서 강자의 약자 보호 기제였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역전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강자에 대한 약자의 헌신ㆍ봉사ㆍ희생을 효라고 했다. 효개념의 왜곡이자 변질이다. 경전에서 권면하던 일상속의 평상적 사랑과 공경의 효는 사라지고, 그 자리를 엽기적 희생과 헌신의 효가 차지했다. 그리고 그것이 관행으로 자리하면서 부모자녀간의 순수하고 자연스런 효는 사라지고, 그 자리를 부담스런 강제 규범과 규정의 효행이 차지했다. 합리적 경전의 효행에서 불합리한 관행적 효행으로 효의 방향이 바뀐 것이다. 거기에는 관행적 효행을 주로 담은 『삼강행실도』의 영향이 컸다. 『삼강행실도』가 조선의 효행 흐름을 바꿔 놓은 것이다. 이를 정리하는데 조선왕조실록을 기초자료로 삼았다. The filial piety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One is filial piety based on the scriptures, and the other is filial piety based on practice. Scriptural filial piety is a product of education, and conventional filial piety is an oral product. Both of these have opposite sides. The filial piety of the scriptures is based on reason, whereas the filial piety of the practice is based on emotion. The scriptures oppose bodily harm, but the practice also admits bodily harm. In practice, the body was damaged in order to cure the parents’ illness. This is an act that the Xiaojing(孝經) or scriptures did not tolerate. In the scriptures, even excessive rituals were opposed because they were damaging to the body.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body was damaged by overcompensating the customs. From the standpoint of scriptural filial piety, conventional filial piety has become rather not filial piety. I looked for such an example in the Annals of the Joseon(朝鮮) Dynasty. tried to find the basis for the statistics of filial piety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filial piety awards were the most common during the days of King Sejong(世宗). The next was King Danjong(端宗), who had a short reign. The surprising fact is that the method of filial piety in the days of King Sejong was dependent on a lot. Specifically, from the time of King Sejong, the customary efficacies increased a lot. In the scriptural filial piet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ustomary filial piety that damaged the body. The Sangangxingshitu(三綱行實圖) had a great influence on this. This is because the filial piety recorded on the Sangangxingshitu included a lot of conventional filial piety. The sacrificial filial piety is not when the strong (younger) protect the weak (elderly), but when the weak protect the strong.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is phenomenon happened during the time of King Sejong, who emphasized filial piety. This is covered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현장 적용성 강화를 위한 누액감지기 설치 기준 적정성 검토 및 위치 선정 로직트리에 관한 연구

        김덕한,김수빈,김태영,천영우 한국위험물학회 2022 한국위험물학회지 Vol.10 No.2

        In workplaces handling hazardous chemicals, detec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ttached Table 5 of the Arrangement, Installation, and Management Standards for Handling Facilities, Article 21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but there is no separate installation standards for leakage detector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adequacy of the standards set in the notice and lay the foundation for scientific detection facility installation standards. In the research process, the concept of detection was defined, and the problem of installing detection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civil complaint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and the number of accidents by appeareance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accident cases. Afterwards, the adequacy of the leakage detector installation standards was reviewed through empirical experiments, calculation formulas, and modeling, and the detection facility installation standards were proposed through logic tree and leakage detector installation location selection standard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ccidents for liquid substances was about twice as high as for gas substances. As a result of comparing experiments, calculations, and modeling, all three methods showed similar result values, and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lope. After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plac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ke by preparing detection facility installation standards using modeling, and the installation standards were proposed by writing it as a Logic tree. If the standards are revised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help selecting detection facilities with high field applicability and locations appropriate for the phase, process condition, and environment of hazardous chemicals used in the workplaces.

      • KCI등재후보

        설계오류 자동검증을 위한 안전설계 Rule Library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김덕한,최진우,김민주,천영우 한국위험물학회 2022 한국위험물학회지 Vol.10 No.2

        Safety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plants that handle chemicals. There are a number of laws, rules, and standards related to safety to be observed in design, and the relevant laws and systems applied to large-scale plants are scattered across four government departments with 34 laws, notices, and standards. When designing typical buildings, the design criteria presented throug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re quantitatively reviewed to minimize design errors from the beginning of the design and contribute to ensuring design quality. Whereas no case has been developed to systematically check whether manufacturing facilities that store or handle chemicals a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design regulations at the time of initial design. Therefore, when designing chemical facilities at present, it is only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y were designed in compliance with the safety design rules through human knowledge and awareness.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reviewer's competency and concentratio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afety design rule library by presenting a logical review plan through safety design rule analysis to be reviewed when designing chemical facilities and facilitie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automatic design quality review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