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암 박만환의 『여사서』 언해본의 특징과 의의

        김기림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3 젠더와 사회 Vol.34 No.-

        본 논문은 개화기 때 창암 박만환이 중국의 여성 교훈서인 『여사서』를 언해한 『여사서』 언해본을 대상으로 언해 양상과 그 의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여사서』는 중국 청나라 때 왕상이 편집하고 주석을 달아 놓은 여성 대상 교훈서이다. 1907년에 박만환이 영주정사에서 언해하여 간행했다. 본 논문은 박만환의 『여사서』언해를 대상으로 하여 언해본 간행 과정, 언해양 상 및 그 특성을 고찰했다. 또한 당시 여성 교훈서 맥락 속에서 차지하는 의미도 살폈다. 박만환은 1907년에 『여사서』를 언해하여 전우에게 검증을 받았고, 송병순이 쓴 서문과 전우가 쓴 발문을 넣어 『여사서』를 간행했다. 체제를 보면 한문 본문과 언해를 분리하여 배치하여 중국판 『여사서』의 한문 본문과 주석을 그대로 싣고, 본문 또는 주석을 언해한 내용을 붙였다. 이는 영조 때 언해한 『여사서』에 한자의 음을 표기해주었던 방식과 다르다. 주석에 대해서는 주로 여성들의 모범적인 행적을 서술한 사례를 중심으로 했고, 여성의 행적과 관계없는 주석은 생략하고 언해하지 않았다. 특히 여성에 대한 교훈적인 내용, 여성이 지켜야 할 행동 규범 등의 내용이 많은 『여계』『내훈』『여논어』의 주석은 전혀 언해하지 않았다. 반면 『여범첩록』은 여성들의 모범 적 행실을 주석에 자세하게 설명했는데, 박만환은 이를 충실하게 언해했다. 이처럼 박만환은 여성들의 모범 사례 중심으로 『여사서』를 언해하여 여성들이 모범으로 삼아 실제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했다. 개화기에는 여성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여성 대상 교훈서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박만환의 『여사서』언해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였던 것이다. 또한 여성도 국가 구성원으로서 규정되면서 국가 및 임금에 대한 여성들의 충의적(忠義的) 인식이나 태도가 중시되 었다. 여성 교훈서에서도 이를 강조하는 추세였는데, 박만환도 『여사서』를 언해하면서 주석 내용 가운데 의나 예를 잘 지켰던 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해를 했다. 박만환의 『여사서』 언해는 사회적으로 여성 교훈서 필요성에 부응하면서 여성들의 의식 확장을 해보고자 했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the interpretation of 『Yeosaseo』, a Chinese teaching book for women, written by Changam Park Man-hw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Yusisaseo』 is a book of instruction for women edited and annotated by Wang Sang during the Qing Dynasty in China. In 1907, Park Man-hwan translated and published it at Yeongjujeongsa. This paper studied the translation of Park Man-hwan's 『Yeosaseo』 and examined the publication process, the interpretation pattern, and its characteristics. We also looked at the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women's instruction books at the time. In 1907, Park Man-hwan interpreted 『Yeosaseo』 and received verification from Jeun woo. He published it with Yeosaseo with a preface written by Song Byeong-soon and an afterword written by Jeun woo. If you look at the system,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language are placed separately. This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was translated into Korean during the Yeongjo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wrote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nd Park Man-hwan selected only the exemplary deeds of women from the contents of the commentary and translated them into Korean. In particular, the annotations of 『Yeogye』『Naehun』『Yeo Analects』, which contain a lot of didactic content about women and behavioral norms that women should follow, were not explained at all. On the other hand, 『Yeobeomcheoprok』 explained the exemplary behavior of women in detail in the annotations, and Park Man-hwan faithfully explained this. In this way, Park Man-hwan tried to interpret 『Yeosaseo』 focusing on the exemplary examples of women and encourage women to use it as an example and put it into practic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need for women's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many textbooks teaching women were produced, and Park Man-hwan's interpretation of 『Yeosaseo』 was in line with this trend. In addition, women's loyalty and attitude toward the state and wages were emphasized as they recognized women as members of the state, and this trend is reflected in the women's guidebook, and Park Man-hwan's interpretation of the 『Yeosaseo』 focused on responding to social demands and expanding women's consciousness.

      • KCI등재

        청음 김상헌의 시에 나타난 심양 체험과 그 인식 : 『설교집』을 중심으로

        김기림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7 No.-

        청음 김상헌(1570-1625)은 청을 황제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반청의식을 강하게 주장했던 조선 중기 문인, 정치인이었다. 그 대가로 압송되어 청의 감옥에서 갇혀 살아야 했다. 이 경험을 그는 시집인 『설교집(雪窖集)』에 기록하였다. 『설교집(雪窖集)』은 『청음집』 권11-13에 해당된다. 각각 『설교집』, 『설교후집』, 『설교별집』 등의 제목이 있다. 이 시집에서 김상헌은 청나라 감옥에 갇힌 자신을 촉백(蜀魄), 적선(謫仙), 골짜기에 떨어진 명홍(冥鴻) 등에 비유한다. 나라를 떠나 귀국하지 못하는 신세, 임금으로부터 버림받아 이역에 떨어진 신세, 포부는 크나 인정받지 못한 신세 등을 상징한다. 또한 선우 땅에서도 한나라에 대한 충정을 지켰던 소무(蘇武)나 초에 대한 마음이 변치 않았던 종의(鍾儀)에 비견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김상헌은 조선과 전혀 다른 심양이란 공간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재인식하는 시간을 갖게 되면서 조선인임을 더 뚜렷하게 자각했다. 그러면서 심양을 오랑캐의 공간, 호구(虎口)와 같아 기피하는 공간, 새조차 날지 않고 바람만 불어 모래 가득하고 생명이 없는 땅으로 인식했다. ‘氈城’, 조선아이, 중국 계집아이, 오랑캐 아이(羌兒) 등으로 병치시키면서 오랑캐임을 부각하고, ‘모래 언덕 망망하니 새조차 날지 않고 하얀 연기 피는 구탈 바라보니 흐릿하네’, ‘북녘 바람 불어와 오랑캐 사막 어둑하고 저녁 빛은 처량하여 차가운 해 잠겨 있네’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는 청나라가 김상헌에게는 죽음의 땅이며 생명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없는 공간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심양에서 일탈하여 고향의 공간-조선, 신선의 공간, 꿈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의식을 보인다. 심양 공간에 발을 내딛지 않고 오랑캐 땅으로부터 벗어나 자신만의 깨끗한 공간에 머물고자 하는 욕구를 표출한다. 심양 공간에서 ‘떠 있는’ 삶을 스스로 선택하는데 이는 의리정신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 청을 황제국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하여 ‘땅에 대고 절하지 않음’으로써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즉 그의 ‘조선인’이라는 의식은 힘의 원리를 거부하고 의리를 지키며 오랑캐 문화에 동화되지 않고 중화문명을 계승, 고수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Kim Sang-heon was a literary man, statesman in Chosun Dynasty period. He resisted against the Qing Dynasty so had been arrested and imprisoned for it. seolgyojip is a book of poems which he wrote in Qing jail. This book was a set of three volumes-seolgyojip(설교집), seolgyohujip(설교후집) seolgyobyeoljip(설교별집). There were five hundred theree poems in seolgyojip(雪窖集). Kim Sang-heon likened himself to So-moo(蘇武) who was person in Han Dynasty and lived as a prisoner in land of Suwoo- north barbarians but never changed his royalty to Han Dynasty. Also Kim Sang-heon likened himself to a cuckoo which the bird regarded as the ghost of emperor of Chok(蜀) who couldn’t come back to home. He regarded Shenyang(瀋陽) as a wasteland, the place of north barbarians, the lion's den. This means that the land of Qing was place of death to Kim Sang-heon. He reality had been threatened by the emperor of Qing. Kim Sang-heon imagined that he escape from Shenyang to hometown and dream. This signified he resisted against the Qing Dynasty. This thought was rooted royalty to Chosun Dynasty and Ming Dynasty. So he showed a national pride.

      • KCI등재

        죽음 조희일(竹陰 趙希逸) 시세계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김기림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4

        Jo Hee-il was a writer who worked as a bureaucrat in the middle of the Choseon Dynasty. His father is Jo-Won (趙瑗) and his mother is the daughter of Lee Jun-min. He was recognized for his literary competence from an early age, and was active as an employee officer of Yugeun who was a guest hospitality bureaucrat. He had a close relationships with Lee Jeong-gu, Cha Cheon-ro, Heo Gyun, and Kim Sang-heon, who were famous at the time. In 1678 (the 4th year of King Sukjong), Son Chi-mi (孫致彌) came as an envoy and collected Joseon poetry and compiled 'Choseon Chaepungnok (朝鮮採錄)', at that time, he adopted two poems by Cho Hee-il His literary works is Juguemjip (竹陰集), which was published in woodblock print by his son Jo Gyeong-man in 1681 in Taein, and in 1704, his great-grandson Jo Jeong-man supplemented it and published an intermediate version. As he was recognized for his literary competence early, he strongly expressed his will to brighten the country through literature, and through this, he also expressed his pride as a bureaucrat. On the other hand, he laments in the face of a situation where his aspirations and the phenomena of the world are at odds, but he does not get caught up in it and is aiming for a state of “Zwamang” to overcome it. This allows him to continue to be interested in the reality as his bureaucrat and to look at it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thereby showing his critique of his absurd state. 조희일은 조선 중기 관료로 활동했던 문인이다. 아버지는 조원(趙瑗), 어머니는 이준민 딸이다. 일찍부터 문학적 역량을 공인받았고 원접사 유근의 종사관이 되어 활약했다. 그는 당시 명성이 높았던 이정구, 차천로, 허균, 김상헌 등과 교유했다. 1678년(숙종 4)년에 손치미(孫致彌)가 사신으로 와서 조선의 시를 채집하여 조선채풍록(朝鮮採風錄) 을 엮었는데 조희일 시 2편을 넣음으로써 그의 문학적 명성도 높았다. 그의 문집은 죽음집 인데 아들 조경망이 1681년 태인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했고, 1704년 증손인 조정만이 증보하여 중간본을 간행했다. 그는 문학적 역량을 일찌감치 인정받은 만큼 문학을 통해 나라를 빛내고자 하는 의지를 시에서 강하게 표출했고 이를 통해 관료로서의 자부심도 담아내고 있다. 한편으로 자신의 포부와 세상의 현상들이 어긋나는 상황 앞에서 탄식하지만 그것에 매몰되지 않고 극복하고자 ‘좌망(坐忘)’적 태도를 지향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이는 그가 관료로서 현실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데 그럼으로써 부조리한 세태를 비판하는 내용도 보여준다. 한편으로 유배 기간 동안에는 유배 생활의 고난을 한탄하면서도 목숨을 살려주는 은혜를 베푼 임금에게 감사하는 감군은(感君恩) 마음을 드러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여성생활사 자료의 수집 및 재구축 방안모색- 한문자료를 중심으로

        김기림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Women's history is a microscopic research area on life of women. Research on women in Joseon period tended to give a focus on ‘women's status in society’, ‘lessons for women’, and ‘women involved in patriarchy.’ Such research was usually based on lessons for women and historical records. However, as materials on women's history have been collected, translated and published for recent 10 years, women's life in the late Joseon period could be looked at in more detail and specifically. With that, the basis on which results of research on women can be integrated with microscopic results on a macro level was made. However, there is now a limitation in data collection on women's history. First, most of the materials were recorded by men, recorded life of women from the ruling class, and were directly collected from sources. This study began from recognizing the problem and aimed to seek a direction of data collection on women's history and an efficient reconfiguring strategy. To achieve the purpose, the range of data to collect should be expanded. A focus should be given on memorial poetry which mourns women's death, poetry on women and women's life, and description on women rather than men's behaviors in Chinese prose through which quantitative expansion of data can be achieved. Meta-data as the secondary data should be based on the primary data. So to speak, women's life should be reconfigured before women cyclopedia is made and relation trees and family trees by marriage should be centered on women. Specific bibliographical notes on each work are also needed. They work as guidelines for integrated outlook of materials on women through related works, characters, cases and external information. Also they should become bases for database and archives on women's history. For that, it is necessary to do disciplinary research on Humanities, Engineering, and others. That is the future direction for women's history. 여성생활사는 여성사 가운데 일상에 대한 미시적 연구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여성 관련 연구는 ‘사회 내에서의 여성의 위상’, ‘여성 대상 교훈서’, ‘가부장제와 관련한 여성’ 등에 초점이 맞춰진 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대체로 여성을 위한 교훈서, 공식적 자료-법전, 실록 등을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최근 10여 년 사이에 조선후기 여성 생활사 자료가 수집, 번역, 출간되면서 조선 후기 여성들의 일상 삶을 좀더 세밀하고 미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조선시대 여성을 연구한 성과와 미시적 성과를 통합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현재 여성생활사 자료 수집은 나름대로 한계가 있다. 우선 남성들의 기록이라는 점, 지배층 여성들의 삶을 보여주는 자료 비율이 크다는 점, 1차적 자료라는 점 등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며 향후 여성 생활사 자료 수집 방향과 재가공에 관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수집 자료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문 산문에서 벗어나 여성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시(挽詩), 여성 및 여성들의 생활을 소재로 삼은 시, 남성들의 행장 속에서 여성에 대한 서술 내용 등으로 확대함으로써 자료의 양적 축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일차적 자료를 토대로 이차적 자료-메타자료 작성은 필수적이다. 이를 테면 여성 인물들의 생애를 재구성하여 여성 인물사전을 제작할 필요가 있으며, 여성을 중심으로 한 인물 관계도 및 혼맥도 작성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각 작품에 대한 상세 해제를 작성하는 일도 필수적이다. 이는 각 작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뿐 아니라 그와 연계되는 작품, 인물, 사건, 외부적 정보 등을 통해 여성 관련 자료들을 통합적,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여성생활사자료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기초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문학, 공학 등의 학제적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는여성생활사가앞으로나아가야할방향이라고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