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르인식과 시대인식, 비극 장르와 정동의 동력 - 김정진의 <기적불 때>(1924)라는 문제적 작품 소고(小考) -

        김기란(Kim, Ki-Ra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이 글에서는 염상섭을 매개로 『동아일보』의 기자이자 『폐허이후』의 동인으로 활동했던 김정진의 비극 <기적불 때>를 살펴보았다. 김정진의 문사(文士)로서의 삶은 1920년대 초 소위 동인지 문학 시대 『동아일보』에 근무하며 본격적으로 희곡을 발표하던 생애 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그동안의 김정진에 대한 연구가 개별 작품 분석에 한정되고, 작품을 희곡사적으로 평가하는데 그쳤던 탓에 김정진이 문사로서 1920년대 위치했던 지점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부분은 간과되어왔다. 20년대 소위 동인지 문학은 동인지라는 미디어와 문학이라는 미적 자율성을 요구하는 영역의 만남으로 가능했다. 이런 배경을 반영하여 이 글에서는 김정진이 1920년대 문사로서의 삶, 극작가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과정을 염상섭과 문인회, 『폐허이후』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 언론인과 문사의 삶을 횡단하며 아나키즘을 바탕으로 문학관을 정립했던 염상섭을 롤모델 삼아 자비 일본 유학생이라는 배경을 공유하며 김정진 역시 유사한 행보를 모색했다. 김정진은 자신의 태생을 부정해야 하는 운명, 그것을 이겨내고 새롭게 갱생하려는 의지를 자신의 문사로서의 출발에 투영했다. 그 결과가 뛰어난 극작법으로 완성된 그의 첫 본격 희곡이자 비극인 <기적불 때>이다. 이 작품은 새드 스토리의 비극적 정조가 아닌, 정동을 환기하는 비극의 극작법을 통해 20년대 개인적인 문제인 동시에 사회적인 문제였던 감정의 동력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식민권력의 검열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그것은 역설적으로 이 작품이 지닌 감정의 공적 활용 가능성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tragedy When Machine Signal Bells by Kim Jung-jin, who was a journalist for Dong-A Ilbo newspaper and a member of the coterie literary circle After Ruin through the famous writer Yeom Sang-seop. Kim Jeong-jin"s life as a literary intellectual began in the early 1920s, during the so-called "Coterie Literary Circle" era, when he published plays in earnest. However, the study of Kim Jung-jin has been limited to analyses of his individual works and evaluations of their status in the history of drama. Studies have not been undertaken to synthetically comprehend the point in literary history where Kim Jung-jin was located in the 1920s. The so-called Coterie Literary Circle era at that time was possible as an encounter between the media of coterie literary circle magazines and literature requiring aesthetic autonomy. Reflecting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course of Kim Jung-jin"s life as a literary-intellectual in the 1920s and his identity as a playwright in relation to Yeom Sang-seop, the literary society, and After the Ruin. Kim Jung-jin also sought to follow in the steps of Yeom Sang-seop, his role model, through their common background as international students in Japan. Yeom Sang-seop established a literary view based on anarchism across the lives of journalists and writers. Kim Jeong-jin was denied by his blood-family, but he overcame this and renewed himself as a playwright. When Machine Signal Bells, his first full-length play and tragedy, which was composed with excellent dramaturg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the public expression of emotions regarding both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in the 20s, through a tragic technique that evokes tragic affect. As a result, it was subject to censorship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which paradoxically recognized the work"s emotional power.

      • KCI등재

        대한제국기 극장국가(theater state) 연구(2) -스펙터클의 문화사회사적 분석을 통한 문화적 퍼포먼스 고찰의 한 방법-

        김기란 ( Ki Ran Kim ) 한국연극학회 2010 한국연극학 Vol.0 No.40

        This is the study on the `Theater State` in the Daehan Empire of the Emperor Gochung in the late 1900 with the theatrical concepts of cultural performance theory which has been useful for investigating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llective memories and their transformation mechanism in the society. The performance theory is based in the notion, `Performativitat`, by which the performance can contain vary performance forms. Performativitat is the notion which points up the certain process that can cause the perceptional emotion communication to the performers and audiences in the performance. The spectacle of a society is also understood and presupposed by the Performativitat. Generally speaking, the spectacle has been used of explaining the visual cultural experiences in society. Fundamentally, spectacle had resulted from the latin `spectaculum`, which was used to designate theatrical representation in France. In the case of movie, spectacle was the grand show with showy technological attractions. The spectacle have been to show the political and socio-historical relationships in a society. But in my study, I want to start the premise that the cultural performance planed by the Emperor Gochung in the Daehan Empire has the attribute of `theater state`, which can awaken the certain collective emotion to connect the Emperor and his people in the Daehan Empire period of the Emperor Gochung of the late 1900. In addition to it, I search for the historical collective memories of the Daehan Empire. The government of the Daehan Empire was continuing with its efforts to enforce and recollect the imperial images and authority of the Emperor and his Empire to get the approval of the people and international society. The effect of spectacle consisting of theater state was the concrete effort to establish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Daehan Empire by remodelling and rebuilding the Seoul, the capital of the Empire and performing the national ceremony such as the korean pagent(Gae-Dung거둥) and parade to set the portrait of the Emperor(A-Jin어진), the geo-body of the Empi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현대 연극의 가족이야기와 가족정체성 고찰 : 가족무대(Familienbuhne) 구성의 수행적 과정 분석을 통해

        김기란 ( Ki Ra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6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examine the family-plot in the korean theatre of 2000s when the d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ideology and construction of new family-identification in the family-plot is appearing with the postdramatic strategy. Family-plot which has arranged patricentric order in the family is the modern narrative, but in the postmodern the patricentric order in the family has been doubtful as the kind of suppression like the demand for self-sacrifice of individuals. The korean theatre has staged the family-plot in two ways in 2000s ; the consolidating of family-ideology and the d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ideology. This dissertation notices that the latter intends to deconstruct the traditional family-ideology and construct the new family-identification with the postdramatic strategy of making "Familienbuhne". The postdramatic strategies can be analyzed juxtaposition and standstill of time and refusal of making family, which are proper to reveal the problem of family-identification and -ideology. In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three stages of Kim Nack-Hyung, Kim Hyun-Tack, and Choi Chi-Ahn. They concentrate on the deconstruction the traditional family-ideology to make the new Familienbuhne.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 공연된 한국 연극 중 가족이야기를 다룬 작품을 중심으로, 가족무대(Familienbuhne) 구성 과정의 변화를 포스트드라마적(postdramatic)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다문화시대에 돌입한 한국 사회에서 당연한 것으로 수용되어 온 혈연 중심의 가족 관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성찰할 수 있는 가능성,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전략은 바로 그 지점을 유의미한 문제제기로 환기시킨다. 가족은 인류의 삶에서 절대적 정당성과 자연성을 가지는 초역사적인 고정된 실체라는 본질주의적 입장은 "가족은 그것이 없는 곳에서 가족을 발명해낸다"는 문제의식을 통해 해체될 수 있다. 가족 그 자체의 내용은 보수적이거나 봉건적이라고 평가할 수 없지만 가족이라는 개념이 발명되고 구성되는 사회적 역학 관계에 따라 가족 혹은 가족중심주의는 보수적이거나 봉건적인 성격의 가족이데올로기를 내장하게 되므로 가족 혹은 가족중심주의의 발명 과정 자체를 문제시하는 태도를 통해 폭력적 가족이데올로기는 해체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2000년대 이후 본질주의적 가족이데올로기를 해체하려는 전략을 포스트드라마적 실험 형식을 통해 구현한 공연에 주목한 것도 그 때문이다. 가족이야기를 무대화하는 방식이 드라마(drama) 형식에 의지할 경우, 그것은 흔히 가족과 사회 현실을 대립시키는 경직된 이분법적 도식 속에 구축된다. 난폭한 현실(사회)과 그로부터 자식을 보호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절대적 희생이 갈등을 일으키는 대립항으로 설정되고, 난폭한 사회 현실을 재현한 사건이 극적으로 추동되며, 난폭한 사회현실을 극복하는 대안으로써 가족관계를 긍정하는 결말을 통해 드라마 형식은 기존의 가족관계를 재생산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반해 "연극 기호를 사용하는 방식(모드)이 근본적으로 변화"된 새로운 형식으로 드라마 형식을 해체하는 포스트드라마적 전략은 "과정으로서 연극, 비-텍스트성, 모든 장소성, 반-미메시스, 몸짓성(Gestualitat), 빈 공간" 등의 요소를 통해 전통적 가족이데올로기 혹은 가족중심주의의 발명 과정 자체를 문제시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 분석틀로 활용한 "가족무대(Familienbuhne)" 개념은 2000년대 이후 한국 연극의 가족이야기 속 가족정체성의 변화를 포스트드라마적 전략과 관련시켜 분석하는데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가족무대는 본래 일상의 삶을 영위하는 인간은 가족을 구성하기 마련이라는 전제 아래 특정 집단이 가족으로 구성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행위를 분석하기 위해 문화인류학에서 사용한 개념이다. 인간 행동을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가족무대라는 개념은 "현실의 세계는 그 자체 항상 공연을 통해서 연극적으로 구성된다"는 요시미 슌야의 조언을 떠올릴 때, 가족이야기를 다룬 연극 무대 위 극행동의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다. 곧 가족이야기를 구성하는 무대 위 극행동은 현실에서 가족무대를 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의식적 행위와 유비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연극 무대에서 가족무대를 구성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전통적 가족무대의 해체와 새로운 가족무대의 구성 과정에서 드러나는 차이를 고찰하면 가족정체성의 변화와 그로 인한 가족관계의 균열과 틈을 특히 선험적으로 작동하는 가족이데올로기로부터 거리를 두고 객관화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가족무대의 구성과 해체의 과정을 무대 위에 제시할 때, 포스트드라마적 전략이 유효하게 작동하는 것이 바로 이 지점이다. 2000년대 한국 연극에서 포착된 포스트드라마적 형식은 전통적인 규범으로 규정된 가족 관계를 묻는 방식을 변화시켜 가족 관계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데 효과적으로 기능했다.

      • KCI등재

        정동(情動)의 수사와 매혹된 관객들-대한제국의 멜로드라마적 재현과 식민의 문화적 기억

        김기란 ( Kim Ki-r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3

        이 글에서는 기존의 사료(史料)가 아닌 새로 발굴된 1900년대 『제국신문』 자료, 특히 「잡보」와 증언 기록을 바탕으로 대한제국의 문화적 기억이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일본 제국주의의 자장 안에 존재했던 대한제국의 역사는 일본의 제국주의가 확장되는 침략과 식민의 역사에 다름 아니다. 일본 제국주의를 경험한 근대 동아시아 역사의 갈등의 본질이 문화적 기억과 닿아 있다면, 대한제국에 대한 기억들이 집단정체성의 의미를 지닌 문화적 기억으로 정식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당대 일상에서 경험되고 증언되고 기억되어 회자된 사건을 기록했으나 지금까지 발굴 공개되지 않았던 개별적 증언 기록들에 주목했다. 그것을 통해 대한제국에 대한 지금, 여기의 문화적 기억이 구성된 방식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글에서는 역사적으로 대한제국의 시대이자 일제의 패권주의에 의해 동아시아의 근대가 구성되기 시작했던 1900년대, 멜로드라마적 속성들이 대한제국에 대한 지금, 우리의 문화적 기억을 구성하는데 일종의 사회적 상징코드로 반영된 점에 주목했다. 새로운 세계(구체적으로는 근대 세계)의 고난과 불안정성을 갈등 요소로 선택하고 전근대적 윤리와 도덕을 지닌 선한 사람들을 통제 불가능한 힘과 대면케 하는 멜로드라마의 속성은 일견 근대와 일제라는 착종된 모순된 현실을 동시에 선택할 수 없었던 대한제국의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시대와 연동된 멜로드라마적 재현은 일종의 사회적 코드로 기능했고, 사회적 정동효과를 끌어내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멜로드라마적 재현이라는 사회적 틀 혹은 문화적 도구를 통해 매개되는 기억의 방식, 곧 새로 발굴된 기억(memory)의 내용이 아니라, 기억하기(remembering)라는 행위에 주목했다. 지금, 여기 사회공동체의 문화적 기억으로 전승된 기억이 그 시작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묻고자 한 것이다. 이 글에서 분석틀로 삼은 ‘멜로드라마적’이라는 속성은 대한제국 시기 사회적 상징코드로 부상하여 대중적 호응을 획득했고, 무언가를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와 유사하게 일종의 문화적 도구로 기능하며, 대한 제국의 문화적 기억을 매개하는 사회적 틀로 작동했다. 대한제국에 대한 문화적 기억이 구성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징코드로 작동한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구조는 가학적 반식민주의, 무기력한 근대성과 멜랑콜리와 같은 정서를 결집시켰고, 그것은 지금, 여기의 대한제국에 대한 역사적 지(知)를 구성하는 내용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역사를 기억한다는 행위는 치열한 기억의 전쟁을 필요로 한다. 근대 동아시아 일본 제국주의의 자장 속에 존재했던 대한제국의 문화적 기억의 장은 지금, 우리에게 망각될 수 없는 논점을 드러낼 때 그 탐색의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역사는 지나간 시간이지만, 그것을 기억하는 것은 지금, 여기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In the late of the 1980s, memories began to emerge in a history study as a new way. It is a question of how the past was remembered. The problem on the existing East Asia historical description is that it has been established as a national history of the nation's national history linked to the ideals of national unity. Based on national history, the monopolistic descriptions and historical concepts based on national history have completely alienated the East Asian nations, which have suffered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lso visible in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modern East Asia history shows that the history of East Asia can not be built by an nation history. The history of the Korean Empire existed inside the Japanese imperialism. As the nature of the conflict on the modern East Asian history touches the cultural memo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cess of constituting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So the article looked at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based on the newly discovered historical records, especially the Jabbo(social section) in Jekuk-Sinmun, testimony, and documentary records of the Korean Empire to discuss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The article noted that melodramatic representation as the form of a social symbol code and a social framework reflected the Korean Empire. It functioned as a cultural tool to commemorate, configurate, and pass down cultural memories like a monument.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cultural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melodramatic elements and structures as social symbol codes produced sadistic anti-modernity and melancholism and they are related to the forming of the historical knowledge about Korean Empire. Remembering history requires a fierce memory war. The field of the cultural memory of the Korean Empire which existed in the Japanese Imperialism can now be meaningful when it presents an unforgettable argument in history. History is a passing time, but remembering is the problem about now and here.

      • KCI등재

        한국인에서 미세단백뇨의 유병률 및 임상적 특성

        은란 ( Eun Ran Kim ),성기철 ( Ki Chul Sung ),전창욱 ( Chang Uk Chon ),권창희 ( Chang Hee Kwon ),고영율 ( Young Lyul Koh ),이현종 ( Hyun Jong Lee ),박성근 ( Sung Kun Park ),이도영 ( Do Young Lee ),윤지호 ( Ji Ho Yun ),병진 ( By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0 No.6

        목적: 미세단백뇨는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무관하게 심혈관 질환 발생 및 사망의 독립적 예후인자로 인식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보고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성인 건강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미세단백뇨의 유병률 및 미세단백뇨와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북삼성병원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수진자 중 고혈압, 당뇨 등의 기왕력이 없는 총 5,915명(남 Background: Microalbuminuria (MA) is independent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it cause mortality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diabetes (DM) and hypertension (HTN). However, few published studies on this topic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ref

      • KCI등재후보

        현대 공연예술의 시노그라피(Scenography) 고찰 : 아힘 프라이어의 < 수궁가 >를 통한 시각적 극작법 분석

        김기란 ( Ki Ra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4 드라마연구 Vol.0 No.42

        In 2011 September, as the opening performance of the World Festival of National Theater, Mr. Rabbit and the Dragon King(Sugungga) known as the korean Pansori tradition was staged in the form of “Pansori-Opera” under the directorship of the German stage director Achim Freyer in Seoul. His stage directing strategy is so- called scenography(visual dramaturgy) which belongs to new theater or postdramatic theater. As visual dramaturgy, his stage directing in Mr. Rabbit and the Dragon King(Sugungga) is like this ; including costumes in Handhok(korean traditional dress) color and texture, paper mask, a stage floor reminicent of eastern landscape, and the bold, black-color lined curve backdrop extending beyond the left and right rings to the audience seats, the pictorial stage like a 2-dimensional picture was presented. In the center of the stage was built a spectacular structure on which a singer-commentator(played by Ahn Suk-seon), unlike the characters with flat masks, was the only one who appears in a real, 3-dimensional face. She was performed a kind of Frame, correctly speaking, as a “Parergon”. Parergon is located in and out of the work(Ergon) at the same time. And its scenography strategy is to present space time in a new mode.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공연예술의 시노그라피(Scenography) 전략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현대 공연예술의 시노그라피는 텍스트를 시각적으로 재현하는데서 나아가 독자적 의미를 구성하는 표현 방식으로 변환되고 있다. 현대 공연예술의 시노그라피는 단순한 무대 장식 미술을 뛰어넘는 시각적 극작법으로 이해되며 시노그라피를 구성하는 작업은 드라마투르기의 작업과 유사한 것으로 수용된다. 시그라피를 통해 ‘연출된 장면’ 혹은 ‘함의된 이미지’는 일종의 무대미술적 드라마투르기이자 동시에 미장센과 동일한 표현이다. 이때 시노그라피는 공연 텍스트와 종속적 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라 등가적 관계를 맺는다. 현대 공연예술에서 시노그라피의 구현 방식은 연출가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1980년대와 90년대 오페라와 연극에서 시노그라피를 주요 표현방식으로 구현한 아힘 프라이어(Achim Freyer)의 시노그라피 전략을 일종의 시각적 극작법으로 이해하고 살펴보았다. 아힘 프라이어는 1972년 서독에 정착한 후, 무대 미술가로서 ‘독일의 로버트 윌슨’이라 불릴 만한 파격적인 무대를 선보이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시노그라퍼(scenographer)이다. “마치 화랑을 방문한 것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는 아힘 프라이어의 무대를 한국의 관객들은 2011년 9월 국립극장에서 경험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 수궁가 > 분석을 통해 아힘 프라이어의 시각적 극작법 곧 시노그라피 전략을 살펴보았다. 특히 “희곡은 읽거나 듣거나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던 거트루드 슈타인(Gertrudestein)의 “풍경희곡(Landscape Play)”의 개념처럼, 희곡텍스트를 읽는 것에서 나아가 듣거나 보는 것으로 전환하여 희곡텍스트의 극행동을 시각적 은유와 상징의 이미지로 구성하고 시공간의 흐름을 미세한 변성(變性)으로 표현한 점을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아힘 프라이어는 시간과 공간, 극행동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시노그라피 전략을 통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영화에서나 가능했던 시공성을 연극적 도구와 방법으로 연극 무대 위에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신연극 〈은세계〉 연구

        김기란(Kim Ki-ran) 한국근대문학회 2007 한국근대문학연구 Vol.8 No.2

        본 논문에서는 한국 근대연극사의 ‘사건’으로 이야기될 수 있는 1908년 신연극 〈은세계〉 공연이 ‘신연극’으로 수용될 수 있었던 당대의 연극사적 맥락과 신연극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그러한 지향점이 이후 어떤 과정과 결과를 통해 새로운 연극사의 변화 단계로 접속하게 되었는가를 고찰했다. 이인직이 기획한 1908년의 신연극 〈은세계〉 공연은 이인직이 일본 유학 시절 경험한 일본 연극개량론의 내용이 1900년대 조선의 사회적 장(場)이 구성한 연극개량론이라는 계열 속에 번역, 배치됨으로써 한국 근대연극사를 구성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작동할 수 있었다. 신연극 〈은세계〉 공연은 내용면에서는 이인직의 신소설 『은세계』를 바탕으로 사회적 현실을 다루었고 공연 형식상으로는 전통극을 개량한 판소리 분창 형식의 창극으로 공연되었는데 이러한 요소는 이인직이 경험한 일본 연극개량론의 진행 즉 사회적 현실을 다룬 각본과 가부키를 개량한 신가부키 형식을 정확히 반영한 것이었다. 무엇보다도 신문연재소설을 각본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인직의 발견은 신소설과 서사내용을 공유하는 실사(實事)를 바탕으로 한 각본의 존재를 부각시킬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각본의 존재 때문에 〈은세계〉 공연은 새로운 연극 즉 ‘신연극’으로 수용될 수 있었다. 각본의 유무는 〈은세계〉 공연 이후 조선 연극계를 신연극과 구(연)극의 구도로 재편해내는데 주요한 요소로 작동했다. 한편 신연극 〈은세계〉에서 각본으로 사용된 텍스트는 1908년 11월 공연 시작 후 간행된 동문사 본(本) 신소설 『은세계』가 아니라 그에 앞선 1908년 6월 신택영이 필사한 필사본으로 추정된다. 인쇄본 『은세계』와 필사본 『은세계』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차이는 작품의 시공간과 중심인물이 이동하는 전반부와 후반부 연결부분의 서사 구성의 차이라 할 수 있는데, 연극 무대화의 특성을 생각해 볼 때 순차적으로 서사를 배열한 필사본이 각본으로 활용되기에는 더욱 효과적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인직의 신연극 〈은세계〉 공연이 한국 근대연극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사실에 기반한 현실적인 이야기’를 담은 각본의 중요성을 자각시켰다는 점이다. 각본의 중요성을 자각하게 됨으로써 1910년대의 연극개량 논의는 희곡문학의 등장을 예비하는 단계까지 정교화될 수 있었고 상관적으로 연동했던 신소설과 각본은 번안과 번역의 과정을 함께 통과, 분화하며 본격적인 근대소설과 근대희곡을 준비하게 된다. The dissertation is the study on the 〈Yeun-Se-Gae은세계〉, which has been performed as the first 'Shin-yeun-Guik'(New-Theater, 신연극) in 1908 in Korea. 〈Yeun-Se-Gae은세계〉 was planed by Yi In-Jik, who had studied in Tokyo Political School and had been on the assistance staff of a newspaper. While studying at the school and working in newspaper office, he had been influenced by the Theater Reform Project in Japan. His experience in Japan was translated into the situation of Chose on, especially into the field of Literature and Theater, which had been found as new Media to Yi In-Jik. My interest lies on this point how Yi In-Jik translated the cross-cultural situ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That is, putting limit on the modem theater history in Korea, how Yi In-Jik's translation was come out as the 〈Yeun-Se-Gae은세계〉 Performance in 1908. The 〈Yeun-Se-Gae은세계〉 was the outcome affected by his experience of the Theater Reform Project in Japan. The significance of the 〈Yeun-Se-Gae은세계〉 Performance in the modem theater history in Korea is to find the importance of a play script based on the social reality, which was to be said to be accomplished in Theater Reform Project in Korea in 1900s. The play script of 〈Yeun-Se-Gae은세계〉 was based on the Shin-So-Soe1 『Yeun-Se-Gae은세계』, whose material was the 1900s' social reality. After emerging the play script of 〈Yeun-Se-Gae은세계〉, its be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stituting the play. In addition, the play script of 〈Yeuu-Se-Gae은세계〉 performance have been known to be dramatized with Shin-So-Soel 『Yeun-Se-Gae은세계』 publisched in November 1908, the another Shin-So-Soel 『Yeun-Se-Gae은세계』 manuscript was found. The latter was made a manuscript by Shin Taek-Young in June 1908, which was earlier than the former, so that it is thought that the latter is the the play script of 〈Yeun-Se-Gae은세계〉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