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건조 Schedule 이 CCA 처리 Lodgepole Pine 각재의 휨강도 성질에 미치는 영향

        김규혁 한국목재공학회 1991 목재공학 Vol.19 No.2

        본 연구는 CCA 처리재의 再乾燥시 적용될 건조 스케쥴 (通常 熱氣乾燥와 高溫乾燥 스케쥴)이 처리재의 휨 强度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彈性係數(MOE), 그리고 非破壞試驗에 의해 얻어진 動的 탄성계수(Dynamic MOE) 및 對數減衰率(Logarithmic decrement)은 처리후 재건조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에 적용된 건조 스케쥴에 관계없이 재건조시 심각한 破壞係數(MOR)의 감소가 파괴계수 분포의 모든 영역에서 초래되었다. 그러나 통상 열기건조(최대 건구온도 = 71℃)와 고온건조(건구온도 = 110℃) 서로간에는 감소의 정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처리재의 재건조시 심각한 파괴계수의 감소가 容認되지 않는다면 CCA로 처리된 Lodgepole pine 각재의 재건조는 미국 연방 임산물 시험장의 Lodgepole pine의 통상 열기건조 스케쥴 (T9-C3)보다 溫和한 조건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수축방향 응역파 방법에 의한 라디에타소나무의 초기부후 평가

        김규혁,라종범,지우근 한국목재공학회 1996 목재공학 Vol.24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using sonic stress-wave techniqu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e assessment of incipient decay of radiata pine wood. Decayed bending specimens by Tyromyces palustris and Gloeophyllum trabeum for varoious periods were tested nondestructively using stress-wave techniqu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estructively. Decay detection, quantitative assessment of decay, and the prediction of residual strength of decayed wood with less than five percent weight loss can be feasible using stress-wave parameters (wave velocity, wave impedance. stress-wave elasticity) measured by stress-wave technique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ir percent reduction due to decay.

      • KCI등재

        은행나무 목재의 재질

        김규혁,조재성,김재진 한국가구학회 2000 한국가구학회지 Vol.11 No.1

        Ginkgo trees have long been planted in Korea as roadside trees and ornamental trees, but the wood was seldom used except some utilization for small artifacts. Soaring prices of imported wood and future uncertainty about long-term supply of foreign woods have stimulated research on value-added utilization of less-utilized domestic wood resources such as Ginkgo wood. The properties of Ginkgo wood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its utilization potential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studies were presented with chemical compositions.

      • SCOPUSKCI등재

        고온 재건조가 CCA 처리 Lodgepole Pine 각재의 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규혁 한국목재공학회 1990 목재공학 Vol.18 No.3

        본 연구는 CCA로 防腐처리된 Lodgepole pine 角材의 再乾燥시 高溫乾燥法의 적용이 乾燥速度 및 乾燥缺陷의 발생에 어떻게 영향하는가를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고온건조시 건조속도는 通常 熱氣乾燥시보다 約 2.5배 증가되었으며, 방부처리재의 재건조 속도는 처리 前의 전건조속도보다 약간 감소됨을 보였다. 表面割裂의 발생程度는 전건조시의 경우, 고온건조시 보다 甚하였으나 재건조시에는 건조방법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방부재의 浸透를 圖謀하기 위하여 自傷처리(incising)된 각재의 경우에는 재건조시 切開部의 延長에 의해 할렬의 정도가 증가됨을 보였다. 뒤틀림(Warping)의 발생정도는 고온건조시가 통상 열기건조에 비해 심하지 않았으며, 全 건조과정을 통하여 발생된 뒤틀림은 WWPA가 定해놓은 Lodgepole pine 2等級(No. 2 grade)의 뒤틀림 許容値의 範圍內에 있음을 보였다. 結論的으로, 고온건조시 증가되는 건조속도와 건조재의 質에 큰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내에서 발생되는 건조결함을 고려할 때, Lodgepole pine의 전건조 및 CCA 처리 후 재건조를 위해 큰 문제없이 고온건조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SCOPUSKCI등재

        초기 갈색부후(褐色腐朽)에 따른 라디에타소나무의 역학적 성질 감소

        김규혁,나종범,지우근 한국목재공학회 1996 목재공학 Vol.2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duction in bending properties of radiata pine sapwood associated with incipient brown-rot decay. Decayed bending specimens by Tyromyces palustris and Gloeophyllum trabeum for varoious periods were tested destructively. Brown-rot decay by T. palustris and G. tralseum caused serious reduction in bending properties at very early stages of decay, with about 30 percent decrease in bending strength observed for only 1∼2 percent weight loss. In general, the reduction in bending properties caused by T. palustris was somewhat greater than that by G. trabeum. Work to maximum load was reduced most severely and rapidly from the onset of decay, while modulus of elasticity showed a much more moderate rate of reduction. Modulus of rupture was affected by decay to a greater extent than was modulus of elasticity. Since a relative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weight loss and bending strength was observed. the residual strength of decayed wood can be predicted by weight loss due to deca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ery early stages of brown-rot decay reduce the bending structures significantly. Thus, it is recommended that all load-bearing members in wooden structures. especially those that are periodically wetted, should be inspected regularly to prevent a sudden failure. even though there are no definite signs of decay.

      • KCI등재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서 변재변색 발생

        김규혁,김재진,나종범 한국목재공학회 2002 목재공학 Vol.30 No.2

        본 연구는 동절기 (1월 중순)에 벌채된 후 목재집하장으로 운반되어 야적장에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을 대상으로 변재변색의 발생시기와 변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벌채 후 3, 4, 5, 6, 8개월 경과시 변색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매 평가시 원목 3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원목당 수축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7∼9개의 두께 3 ㎝ 원판을 채취하여 변색 원인균을 분리한 후 변재변색의 방사방향 최대 침투깊이와 % 변색율을 측정하였다. 변재변색은 전적으로 층형변색이었으며, 주요 변색원인균인 Ophiostomatoid 균을 매개하는 수피천공충은 소나무좀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은 5월 이전까지는 변재변색의 위험없이 저목할 수 있으나 5월 이후부터는 원목의 변재변색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변색의 정도는 소나무보다 잣나무에서 심하였으며, 장마철 저목 중에 소나무 원목에서 개떡버섯과 치마버섯의 자실체를 다수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은 앞으로 동절기에 벌채되어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 발생하는 변재변색을 예방하기 위한 제반 조치를 취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orage time on the sapstain development of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logs during storage in log yard, and their stain characteristics.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trees were harvested and cut into logs in mid January of 2001. These logs were transported to the two local sawmills where they were closely stacked in remote parts of log yard. The logs were then sampled destructively by cutting seven to nine 3-㎝ long discs along the length of each log at intervals of 3, 4, 5, 6, and 8 month after felling. The stain coverage and maximal radial penetration of stain were measured from the discs of the sampled logs after the isolation of causal staining fungi. The sapstain was primarily infested by the attack of bark beetles and the species of bark beetle was identified as Tomicus piniperda. The main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stained wood was Ophiostoma species. Based on the present study, the logs could be stored in log yard until May without stain; but stain development was rapid after May and the severity of stain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storage time. Korean pine was more susceptible to fungal stain than Japanese red pine. During summer storage, decay started to develop in logs and the main species were identified as Tyromyces sp. and Schizophyllum commun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paper would be very useful to develop more effective control strategies for sapstain prevention in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lo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