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김경호,최광철,이지연,박소연,Kim, Kyungho,Choy, Kwangchul,Lee, Jiyeon,Park, Soyoun The Kore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6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은 동양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그 양상과 유형도 다양하며 치료가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장기 아동의 경우 조기에 골격 부조화를 발견하고 성장을 통해 골격의 부조화를 개선하여 수술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환자의 심리적 위축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면 그 치료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본 증례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를 상악골 전방견인을 장치를 이용하여 비교적 짧은 전방 견인기간으로 안모의 개선을 얻을 수 있었던 임상적 증례이다. 비교적 어린 나이에 시도한 경우 에 더 짧은 전방견인 기간 동안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나 성장잠재력이 미약한 연령에서도 골격적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에 대한 많은 선학들의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진단에 대한 criteria나 재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한 실정이고, 본 보고에서도 재발에 관한 관찰을 하지 못하였음이 아쉬움으로 남아있으며 향후에 본 증례들에 대한 retention과 relapse에 관하여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The clinical cases presented here involv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cases treated with maxillary protraction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with good results. When used on young patients,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even for those with less growth potential remaining, skeletal enhancement was still evident. However, data on the criteria of diagnosis or relapse following maxillary protraction is limited despite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subject. The present study could not include the observations on retention and relapse, and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nay include such observations.

      • 컴퓨터 디스플레이 설정의 인지 공학적 개선안의 제안 및 비교평가

        김경호(Kyungho Kim),김병구(Byunggu Kim),임승범(Seungbum Lim),김재영(Jaeyoung Kim),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컴퓨터 디스플레이가 점차 다양화 되면서 이를 최적화하여 설정하는 것은 모든 사용자가 실행해야할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설정 기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윈도우7의 경우 가장 널리 보급된 운영체제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가장 짧은 단계를 거쳐 해상도 조절 기능으로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해상도 조절 부분에서 짧은 과제수행 시간, 적은 헛갈림 반응 수와 오류 횟수를 보였다. 반면 색 조절 과제에서는 매킨토시 OSX의 경우 해상도 조절 메뉴에서 한눈에 색상 조절 메뉴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OSX가 윈도우7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나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각 운영체제의 장점을 살리고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한 새로운 시스템은 윈도우 시리즈에 기반하고 있는 친숙한 메뉴 접근 단계, 색 조절 메뉴와 해상도 조절 메뉴의 근접성, 색 조절 메뉴가 제공하는 기능의 병렬적 제시로써 구성되었다. 제안한 기능을 구현한 결과 기존의 운영체제를 이용했을 때와 유사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운영체제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오류와 문제점들의 보완을 통해 수행에서의 향상을 보여 그 기능이 효율적임을 보여주었다. As computer displays in the market become more diverse and sophisticated, it became an important task for every users to adjust the setting in order to make the display optimal for his or her own purpose.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existing problems with the display setting UI and procedure of the current operating systems and propose/evaluate an alternative UI which improves them. Our analyses showed that Windows 7 resulted in fastest task time, fewer confusion responses, and error in resolution setting task probably because it is by far the most widely used OS highly familiar to our users. In contrast, Macintosh OSX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color setting task because the system shows color control menus upfront in the resolution setting stage. Hence, in order to emphasize each system"s strength and compensate their weaknesses, we designed an alternative windows-based UI where familiar menu, resolution setting options, and color control options are presented in parallel. Evaluation of our new scheme resulted in similar setting outcome yet participants showed better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ime and accuracy compared with previous Windows 7 or OSX UIs for display setting.

      • KCI등재

        귀농·귀촌인의 농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경호(KIM, Kyungho),정성호(CHUNG, Sungho) 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학 Vol.19 No.1

        귀농·귀촌인의 성공적인 정착은 이주 후 적응 과정에서 노력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농촌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들과 농촌 생활만족도를 분석하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귀농·귀촌인의 농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귀농·귀촌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귀농·귀촌인의 사회경제적 변인들과 함께 마을주민과의 관계 및 지역사회 활동이 농촌 생활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귀농·귀촌인의 사회경제적 변수 중 소득만 농촌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귀농·귀촌에서 소득이 농촌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귀농·귀촌인들에 대한 사후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을 주민과의 관계 및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등을 포함한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농촌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마을 주민과의 관계와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이 귀농·귀촌인들의 초기 정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역귀농·귀촌 가능성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urban to rural migration increased around in the late 1990s in Korea. The urban to rural migration is important in terms of providing the vitality and securing the supply of farm labor in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rban to rural migrants’ socioeconomic variable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o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rural area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and 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the rural migrants and 108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bivariate analysis shows that most of migrants’ socioeconomic variables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ural life satisfaction. However, rural 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have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rura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also show that rural 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still affects rural life satisfaction while most of socioeconomic factors does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rural 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migrants’ successive settlement and to reduce re-migration rate to city. In addition, community participation is expected to improve the social capital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s.

      • KCI등재

        감성의 표현 : 선비의 감성 -고봉의 “낙(樂)”을 중심으로-

        김경호 ( Kyungho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이 글은 전통시대의 지식인이자 예비적 관료였던 선비의 감성을 고봉 기대승의 “낙(樂)”의 추구라는 관점에서 논구한 것이다. 선비 혹은 선비의 인격, 선비정신에 대한 논의는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져 왔는데, 이 글에서는 “완결된 인격의 모범”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선비”를 논의하려는 것은 아니다. 선비는 학문과 수양을 통해 자신의 내면적 도덕성을 유지하면서 타인에게 따듯한 정을 베풀 줄아는 성숙한 인격적 존재라고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선비”라고 하는 존재와 인격은 그 의미를 표상하는 문자적 변화[儒ㆍ士ㆍ士大夫ㆍ鄕紳士君子ㆍ士林ㆍ士類ㆍ士族]처럼 시대와 공간에 따른 문화적 이상과 사상적 지향을 함축하기 때문에 “보편틀”로 이해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글이 의도하는 바는 “선비”라는 인격의 한 측면을 고봉의 감성을 통해 조망해 보고, 이를 통해 “선비”라는 개념이 함축하는 “의미영역”도 다양한 삶의 시간과 다층적인 개념적 지층을 통해 “구성된용어”임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고봉은 기존의 통념으로 알고 있던 우아한 도덕적 품격과 이상적 지향만을 지닌 선비만은 아니다. 고봉은 도학자이기 이전에 불완전한 인간으로서 현실의 부조리함에 분개하고 좌절하며, 주어진 현실의 규율을 예민한 감성으로 넘어서려한 정감적이고 격정적인 인물이었다. 그러나 고봉은 자신의 기질적인 한계와 조절되지 않는 감정을 솔직히 인정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학문과 실천을 통해 끊임 없이 노력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즉 주체로서의 자아뿐만 아니라 타자로서의 대상세계의 본질[性]을 진실하게 느끼려 하고(感), 그리하여 중화된 감정을 통해 자신뿐만 아니라 세계와의 소통 가능성을 찾고 있다. 고봉의 선비로서의 감성을 만날 수 있는 경계가 바로 이 지점이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선비”라는 용어를 검토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인지하고 사용하는 “선비” 개념의 지층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곧 이것은 우리시대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감성”이란 용어의 “지층”을 구획해 보려는 작업의 연장이다. 둘째,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고자 한 고봉을 통해서 선비의 감성 표현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호남유학의 한 지점을 확인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n an alternative with which one can seek for co-existence and symbiosis with others overcoming anxiety and alienation in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Seonbi`s Gamseong(感性), especially Gobong(高峯) Gi Dae-seung(奇大升)`s pursuit of Rak(樂). However, this is not a request for following Seonbi``s character idealizing or assuming it a certain class of Joseon Dynasty as a complete model. It is, neither, to re-discuss the positive meaning of Seonbi, popularly used. Seonbi implies a cultural identity and the orientation of ideas of the times, being transformed variously both in time and space like the change of the letter representing its meaning. The term, Seonbi is a “constructed word” with multi-layer that has been formed through various time of life and web of significance. In this sense, Seonbi or Seonbi Jeongshin(精神, spirit) used commonly needs to be used restrictively. I tried to find a boundary through Gobong. The human maturity of personality through Rak(樂) is achieved not in the process of dualistic segmentation between coolness and passion but by concentration through the extremely difficult interrelation between “body and mind,” two inseparable elements. This process is an action of seeking for the essence(性) of the world and human being through feeling(感) as a whole, since man searches for a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ruly feeling the essence of others as objective world not only ego as subject but also objective world as the other, which can be expressed in the term, Gamseong(感性). This essay has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it has confirmed the conceptual layer we commonly perceive and use through the term, Seonbi. This can apply to the term, Gamseong(感性), directly; and second, I examined the aspects of Seonbi`s expression of Gamseong(感性) through Gobong who tried to live freely like wind that is not caught by a net. This is also a work of confirming a point of Confucianism in Honam(Jeolla Province).

      • KCI등재

        고봉 기대승의 낙향과 삶으로서의 철학 : 비애의 정조를 넘어서

        김경호(Kim Kyungho) 한국인물사연구소 2012 한국인물사연구 Vol.17 No.-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cause of Gobongs 'rustication' in his later years, and explores the meaning of life and philosophy. 'Rustication' is part of his life, but forms a trace in the layers of his life time. The wholeness of accumulated life and times recalls old memories. His rustication was directly originated by the political conflict with other ministers. However, in essence, it means his 'justification of fidelity5 or Nationalization of loyalty' was frustrated by the irrationality of his times. Such loss of moral philosophical value causes moral sorrow and grief. However, the emotional context of frustration, loss and grief prepared a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reality. Gobong started a study to 'find out himself, which is his 'life-long dream', Finally he could find the essence of his life. This study tries to find what Gobong attempted to realize in the realities of his time as a scholar and bureaucrat before and after his 'rustication' period. And, it also examines what made him get frustrated and despair and what kind of philosophical base of grief and sorrow he had. By figuring out his philosophical matters and speculation in his later period, it may elucidate what he actually sought in the truth of life and what is the essence of his Neo-Confucianism. In this paper, I will read a layer of Gobong's philosophy through the process or lire, which is rustication.

      • 시맨틱 웹에서 RDF 데이터 저장구조들의 성능비교

        김경호 ( Kyungho Kim ),백우현 ( Woohyoun Back ),손지은 ( Jieun Son ),김경창 ( Kyungcha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는 시맨틱 웹의 기초로서 웹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표준이다. RDF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접근하는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RDF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기본 저장 구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RDF 데이터가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 대용량 database 의 질의(단순 조회)에 최적화된 칼럼-지향(column-oriented) 데이터베이스가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RDF 데이터의 저장 구조로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칼럼-기반 데이터베이스를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Berlin SPARQL Benchmark 를 이용한 성능분석 결과 RDF data 의 저장 구조로서 칼럼-기반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녀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진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경호 ( Kyungh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진학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방식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2016) 초4패널의 제6차 및 7차 자료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민주적 양육방식은 공격성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지각된 통제적 양육방식은 공격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지각된 민주적 양육방식과 공격성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나 지각된 통제적 양육방식과 공격성 사이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가설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 전환기 청소년의 공격성 문제 해결을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자아존중감 증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parenting styles on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school transitions and to ascertain whether self-esteem functions as a significant modera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doing this,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6th wave and 7th wave data of the 4th grade panel of elementary school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democratic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ggression. Second, perceived controlling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ggression. Thir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was moderated by self-esteem, where a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perceived controlling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contribute to solving adolescents’ aggression as well as improving parenting styles were also provided.

      • 수치해석과 모형실험을 이용한 연안개량안강망 어구의 저항 분석

        김경호(Kyungho KIM),박수아(Sua PARK),이지훈(Jihoon LEE) 전남대학교 어업기술연구소 2022 어업기술연구소보고지 Vol.15 No.1

        The coastal stow net is a fishery in which a net without wing nets is installed as an anchor in waters with a large tidal difference, allowing the target species to enter the net by tide current. Especially, Safety accidents like rollovers frequently occur because of the inappropriate anchor weight used during operations. Here, This study is tried to analyze and calculate the resistance force on the coastal stow net with different flow velocities in terms of numerical methods and model gear experiments. The 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different flow velocities as 0.1, 1, 1.5Kn, and the simulations were performed with five different flow velocities as 0.6, 1, 1.4, 1.8, and 2.2Kn. The difference of resistance forces between model gear and simulation is within 10%. The results will be helpful to improve the coastal stow net and figure out the proper anchor weight.

      • 게임에서의 3D자극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감성적 영향

        김경호(Kyungho Kim),이형철(Hyung-Chul O. Li),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3D디스플레이의 보급과 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3D디스플레이와 엔터테인먼트간의 결합이 늘어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게임과 결합된 3D디스플레이인 닌텐도 3DS를 통해 3D자극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감성적 영향을 분석하고 그 효용성을 알아보았다. 게임을 플레이 하는 과제를 마친 후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구성하였고 실험 결과 어렵지만 충분히 극복 가능한 난이도를 가진 과제를 수행 할 경우 휴대용 3D기기로 인해 부각되는 3D자극으로 인한 낮은 수행과 불편감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은 과제를 수행 할 때 보다 몰입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려운 과제가 정확하고 많은 조작과 집중을 요구하여 깊이정보의 변화를 더욱 자주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이후로 개발되는 3D자극을 활용하는 게임은 불편감을 최소화 하는 디스플레이를 채택하고 적절한 난이도의 과제를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Increase of 3D display and public interest resulted in application of 3D to entertainment. Among other applications, this research investigated affective effects and its usefulness of 3D stimuli in game using Nintendo 3DS. In the experiment, users answered survey questions after they performed multiple games at different 3D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spite inconvenience of 3D users experienced greater immersion when they played game at difficult yet possibly surmountable level. This might be because when task is challenging users perform more operations which in turn increase depth perception which then is used for game task performance. Further 3D games should minimize inconvenience induced by 3D display and present games at the level at which depth is useful for gam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