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CSCL에서 학습용 에이전트의 조절전략 유형에 따른 협력과정의 의미연결망 분석

        기수현 ( Ki Suhyun ),류지헌 ( Ryu Jeehe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CSCL(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에서 학습용 에이전트가 제공하는 조절전략의 유형(자기조절 vs. 공유조절)에 따른 학습자 간 의사소통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자기조절은 학습자 스스로 개인의 학습내용과 과정을 점검하는 인지적 전략이다. 반면 공유조절은 자기조절을 토대로 타인과 인지 과정을 공유하고 학습활동을 조율하는 전략이다. 초등학생 16명을 4명씩 4개 집단으로 나누어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협력학습을 실시했으며, 이 때 자기조절전략과 공유조절전략이 적용된 학습용 에이전트를 제공하였다. 협력학습 중학습자들의 대화에서 키워드를 추출했으며, 의사소통 패턴을 도출하기 위해 키워드의 중심성지수분석과 군집분석을 적용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자기조절과 공유조절에 따른 협력과정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공통점은 학습자들이 각자 의견을 중심으로 개념을 인지하고 대화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자기조절에 따른 의사소통은 주제와 관련된 주요 개념으로 그룹의 의견이 수렴되는 형태를 보였으며, 공유조절에 따른 의사소통은 좀 더 다양한 주제의 의견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보였다. 이를 통해 CSCL에서 초등학생은 학습용 에이전트의 지원을 통해 자기조절 및 공유조절전략을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의 협력 방식과 사고과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regulation of learning by an animated pedagogical agent can affect the conversation within learner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elementary students. Two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applied: 1) self-regulated learning, and 2)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this study, 16 elementary students in the 4th grade participated. They were assigned in 4 groups with four students. The learning tasks were to collaboratively learn the concepts and discuss abou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ablet PCs were given to each group, and the animated pedagogical agent was embedded to explain and facilitate the learning tasks. The pedagogical agent with the self-regulated strategy provided directive questions and helped learners to find the answers, while the other pedagogical agent fostered collaborative questions and enhanced group-reflec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monalities were found in both conditions that the animated pedagogical agent fostered the collaboration while the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condition produced flourished discussion. Moreover, the group with a shared regulation learning strategy engaged in more various keywords.

      • KCI등재

        학습용 에이전트가 적용된 멀티미디어 자료에서 화면크기와 텍스트 제시방식이 주의집중 및 중복효과에 미치는 영향

        기수현(Suhyun Ki),양은별(Eunbyul Yang),류지헌(Jeeheon Ryu)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용 에이전트(animated pedagogical agent: APA)를 활용한 멀티미디어자료에서 화면크기와 텍스트의 제시방법에 따른 학습자의 주의집중 정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와 내레이션이 동시에 제공되는 상황에서 중복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복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과제난이도나 학습영역의 특징에 따라서 오히려 긍정적인 학습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 핵심어나 설명요약과 같은 텍스트 제시방법이 중복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 중복효과에 따른 주의집중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선추적 분석기법을 활용해 시선고정시간과 빈도를 측정했다. 연구대상은 4년제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7명이었다. 이들은 멀티미디어 자료가 제시되는 화면크기(모니터, 프로젝터)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멀티미디어 자료는 텍스트 제시방법에 따라서 세 개의 세션(텍스트 없음, 핵심어 텍스트, 설명요약 텍스트)으로 구분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관심영역(AOI)은 APA 영역과 학습내용 영역(No text와 Text영역)으로 설정하여 시선추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면 크기와 텍스트 제시방법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텍스트가 없는 경우에는 큰 화면에서 학습내용 영역에 더 많은 주의집중을 하지만, 텍스트가 많아지면 작은 화면에서 더 높은 주의집중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이 없는 APA에 대한 주의집중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신 텍스트에 대한 주의집중이 나타났다. 셋째, 핵심어 텍스트만 제시하면 이미지를 더 많이 주시하고 텍스트에 주의집중을 못하는 부정적인 중복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설명요약 텍스트에서는 이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레이션과 시간적 근접성을 고려한 텍스트 설계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함 study is to examine how a learner’s level of attention can be changed based on screen size and text display methods in multimedia with an animated pedagogical agent (AP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checking how redundancy effects would occur in a situation where the text and narration were provided simultaneously. Additionally, text display methods such as core text or explanatory summary can influence the redundancy effects. In order to measure a level of attention caused by the redundancy effects, the time and frequency of eye fixation were evaluated using the eye tracking analysis method. Twenty-seven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eparated by which type of screen (monitor or projector) they would use displaying the multimedia resource. The resource was separated into 3 sessions (no text, core text, explanatory summary text) by the text display methods. Also, eye tracking data was collected by areas of interest (AOI): APA area, learning content area (No text area vs. text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reen size and text display methods. If there was no text, more attention was paid to the learning content area on the large screen. However, if there was more text, more attention was given on the smaller screen. Second, less attention was paid to the APA without social interaction, instead, there was more focus on the text. Third, presenting only core text resulted in negative redundancy effects, which focused more on the image and failed to focus on the text. However, the explanatory summary text didn’t show these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were discussions about text design strategies to consider the narration and temporal contiguity effects.

      • KCI등재

        실감형 게임에서 가상캐릭터의 감정 표현이 자기효능감 및 과제수행시간에 미치는 영향

        기수현 ( Suhyun Ki ),윤헌철 ( Heoncheol Yun ),류지헌 ( Jeeheon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게임에서 가상캐릭터의 감정 표현이 사용자의 자기효능감 및 과제수행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1)과 연구(2)를 실시했다. 연구(1)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가상캐릭터 설계를 위해 예비캐릭터의 유형별로 연구참여자들이 지각한 감정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23명의 연구참여자들은 기쁜 표정의 예비 캐릭터 유형과 화난 표정의 예비 캐릭터 유형 각 3개 중 어떤 표정의 캐릭터가 특정 감정 전달에 가장 효과적인지 평가했다. 연구(1)에서 최종 결정된 기쁜 표정 캐릭터와 화난 표정 캐릭터를 활용하여 24명의 연구참여자들과 연구(2)를 실시하였다. 연구(2)에서 상반된 얼굴 표정의 캐릭터들은 일련의 물체를 찾는 세 개의 탐색과제와 함께 제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가상캐릭터가 삽입된 탐색과제를 하나씩 완료할 때마다 자기효능감과 과제수행시간을 측정하였고, 실험 데이터는 다변량분산분석의 반복측정방법을 적용했다. 자료 분석 결과 기쁜 표정의 가상캐릭터를 제시했을 때 사용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제수행시간은 화난 표정의 캐릭터 제시 조건보다 더 적게 소요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캐릭터의 얼굴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의도하는 감정을 유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상캐릭터로부터 전이된 긍정적인 감정이 사용자의 자기효능감과 수행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감형 게임에서 사용자의 긍정적 감정과 정서적 상호작용을 촉발하기 위한 다양한 감정 설계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 of virtual characters on users' self-efficacy and task performance in the immersive game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this end, Study (1) and (2) were conducted. Study (1) was to evaluate the level of emotion perceived by participants by type of preliminary character to design the virtual characters that effectively communicate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wenty-three participants evaluated which of the three preliminary characters was the most effective in conveying certain emotions, with the character type with a happy expression and the reserve character type with an angry expression. We conducted a study (2) with 24 participants utilizing the finalized happy and angry facial characters in Study (1). In Study (2), characters with conflicting facial expressions were presented with three exploration tasks to find a set of objects. The participants measured their self-efficacy and task performance time each time they finished one task, and experimental data applied a MANOVA with repeated measures. Data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nts'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s when presenting happy-faced virtual characters, and task performance time took less than character presentation conditions with angry facial expressions. These findings show that just presenting nonverbal representations, such as facial expressions of virtual characters, to users can cause the intended emotions. It was also shown that positive emotions transmitted from virtual characters can contribute to user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emotional design factors to trigger positive emotions and emotional interactions of users in the immersive games.

      •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인식 연구: 교직 희망 여부와 교육실습에 따른 변화

        기수현 ( Ki Suhyun ),김국현 ( Kim Kukhyeon ),류지헌 ( Ryu Jeehe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 희망 여부에 따라서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원양성 과정에 있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교직을 희망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교직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직을 희망하는 예비교사들과 비교했을 때, 교육실습이나 수업시연과 같은 수업활동에 대한 인식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교원양성 과정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수업경험을 하게 되는 교육실습 기간을 중심으로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서 수업역량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수업역량 인식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확인한다면 유능한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4년제 국립 대학교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10명(교직희망자: 5명, 비교직 희망자: 5명)으로 교육실습 이전에 대상자를 선정했다. 예비교사가 수업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교육실습 전 ·중·후에 걸쳐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3회씩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은 녹취하여 전사하였으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경험 및 수업역량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것은 수집된 자료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배제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와 구조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 교육실습 전의 수업경험에 두는 의미를 달리하지만, 교육실습 경험은 교직희망 여부와 관계없이 수업의 실제적인 요인들에 대하여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교육실습의 결과는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직 희망자는 수업내용 전달을 강조한 반면에, 비교직 희망자는 재미있는 수업 구성과 학생과의 관계에 더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통하여 교육실습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의 요인 파악과 수업역량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 differently their teach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whether they want to be a teacher or not. Depending on their desire to be a teacher for future, their cognition on lesson experience and teaching practice could differ. Especially the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as real classroom experiences, could influence most powerfully on their concept formation on teaching competency. Thu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elps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for training competent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transition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was analyzed through three chronological periods: before, during, and after their teaching practice. A total of 1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before, during, and after teaching training programs (teaching profession in the future: 5, no teaching profession in the future: 5).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based on the keyword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and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As a result, after teaching practice, all the participants could expand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But there was a different perception on teach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pursuit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pre-service teacher focused on the content, student understanding, and methods of instructional delivery.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nts who do not want to work as a teacher in the future paid attention to the interests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

      • KCI등재

        진로교육에서 중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개선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수용의도 탐색연구

        윤헌철 ( Heoncheol Yun ),기수현 ( Suhyun Ki ),류지헌 ( Jeeheon Ryu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중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결과기대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진로체험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렇지만 가상현실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본격적인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진로체험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사용의도 등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가상현실 기반의 진로교육 실행을 위한 기초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가상현실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대 연구로써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기술수용의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역시 소재의 중고등학생 453명을 대상으로 진로개발역량, 진로결과기대감, 가상현실기술 수용의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결과기대가 인지된 기술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가상현실 기술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은 좋은 적합도를 나타냈다(RMSEA = .042; SRMR = .058; CFI = .957; TLI = .952). 둘째, 가상현실 기술수용에 대한 외적변인과 매개변인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개발역량이 인지된 용이성에, 진로결과기대감은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 진로개발역량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진로개발역량이 인지된 용이성을 통해 사용의도에 미치는 간접 효과와 인지된 유용성이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 역시 유의미하였다. 셋째,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은 가상현실 사용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생의 가상현실 기술의 유용성과 용이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reer experiences using virtual reality (VR) are recognized as a new method for improv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outcome expectation.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cceptance of VR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designing effective VR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 survey recruited a total of 453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in Gwangju, South Korea, to determin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intention to accept VR.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 of students can predict acceptance of VR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technology.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indicated a good fit (RMSEA = 0.042; SRMR = 0.058; CFI = 0.957; TLI = 0.952). Seco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positively predicted perceived ease of use, whereas career outcome expec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directly influenced (a) intention to use VR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b) career outcome expectation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technology directly predicted intention to accept V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for career education programs using immersive VR simulation based on positive perceptions of VR technology.

      • KCI등재

        ChatGPT를 활용한 텍스트 데이터에서 키워드 추출: 수동방식과의 유사도 비교를 중심으로

        임태형 ( Taehyeong Lim ),양은별 ( Eunbyul Yang ),기수현 ( Suhyun Ki ),김국현 ( Kukhyeon Kim ),정유선 ( Yuseon Jeong ),이선옥 ( Sunok Lee ),류지헌 ( Jeeheon Ryu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imilarity between human and ChatGPT methods in keyword extraction for text mining, focusing on short-length text data, specifically course titles in AI convergence education. A total of 442 course names from AI convergence education academic programs were previously manually analyzed and extracted in a prior study. The data included results of up to three keywords from each course name, extracted by three field experts. Utilizing the ChatGPT API, three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se 442 course titles using both GPT-3.5 and GPT-4.0 models. Similarity among the manual method, GPT-3.5, and GPT-4.0 was gauged using the Jaccard Coefficient, considering coefficients greater than 0.50 indicative of similarity. In a three-way comparison, a similarity of approximately 0.69 was observed between GPT-3.5 and GPT-4.0, approximately 0.50 between the manual method and GPT-3.5, and approximately 0.48 between the manual method and GPT-4.0. Various characteristics in keyword extraction results between the manual and ChatGPT methods were repor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revealing that, although the ChatGPT approach may not yet replace human manual methods for keyword extraction from short Korean texts, it demonstrates considerable pot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