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今昔物語集』の『日本靈異記』傳承に關する考察 : 傳承過程に現われた文學的な創意と誤謬を中心に

        琴榮辰 대한일어일문학회 2001 일어일문학 Vol.16 No.-

        『今昔物語集』의 編者는 『日本靈異記』를 傳承하는 過程에 있어서,受動的인 傳達者의 역할에만 만족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說話의 傳承過程에 있어서 傳承者가 積極的인 태도로 이야기의 표현과 내용을 改變하려는 모습은 물론 이야기를 보다 실감나고 재미있게 전달하려는 의욕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今昔物語集』의 編者는 先行說話의 傳承過程에서 이러한 의욕을 적극 표출하였고, 이는 결국 『日本靈異記』의 說話들의 作品性을 이전 보다 한 단계 끌어 올렸다고 보여진다. 『今昔物語集』의 編者는 『日本靈異記』의 話들을 『今昔物語集』에 새로 담아 내는 과정에서, 단순 묘사된 부분들을 생생하게 描寫하기도 하고, 妥當性이 다소 떨어지는 내용을 信憑性있는 내용으로 고치거나, 혹은 이야기의 主題를 자기 나름의 評語揷入을 통해 바꾸는 등, 積極的이고도 創意的인 傳承者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日本靈異記』를 傳承하는 과정에서 발휘한 今昔物語集 編者의 이러한 文的 創意는 『日本靈異記』의 話들을 傳承하는 과정에 있어서, 文學的 質의 高揚이라는 성과로 나타나게 되었고, 이는 다시 말해 『今昔物語集』라는 文學作品속에서 『日本靈異記』의 說話들이 作品性을 지닌 說話文學作品으로 再創造되었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물론 傳承過程에서 나타난 處世訓과 誤은 작품의 文學的 質을 떨어뜨려 『今昔物語集』의 文學的 成果에 다소 흠이 되었지만, 『今昔物語集』의 編者가 『日本靈異記』를 傳承하는 과정에서 발휘한 文學的 創意는 여전히 높이 평가할 만하다 하겠다.

      • KCI등재

        유라시아 비교의 관점에서 본한일신화(韓日神話) 속의 좌(左)와 우(右)

        금영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4 No.-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symbolicity and relationship of ideas of left and right of Korean-Japanese myth from the viewpoint of Eurasia comparison. First, compared with the Western “rightward advantage”, in Japan and Korea, it was confirmed that myths that can be seen as “left dominant” exist commonly. Unlike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left and right in western Europe, the ideas of Korea and Japan was complementary. Second, lack of right part of the body is representing loss of masculinity or strength in western Europe’s myths, but, lack of left part of the body is representing unusuality or sanctity in Korea and Japanese myths. And, I found that the favorable idea of the Japanese to the leftward and the favorable idea of the westerner to the rightward are the same. It is due to the relative orientation of the direction. 한일 신화 속에 보이는 왼쪽과 오른쪽의 상징성 및 상호 관계성을 유라시아 신화비교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그리고 고찰의 결과, 한일신화에서는 왼쪽 우위의 서열 상징성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서구권의 전통적인 오른쪽 우위 관념에 반하는 것이다. 다만, 한일 신화에서의 왼쪽 우위를 서구의 오른쪽 우위에서 보는 것과 같은, 좌우간의 적대적이고도 상호대립적인 관점으로 이해하여서는 곤란하다. 한일 신화에서의 왼쪽은 단지 오른쪽보다 순서가 먼저라는 서열우위와 더불어, 상보적이고도 조화로운 관계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신화에서 보이는 왼쪽 우위와, 서구 지중해 권(그리스, 로마, 이집트) 및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보이는 오른쪽 우위의 관념은, 결국 같은 태양을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았는가 하는 보는 방향과 방위의 상대성의 문제일 뿐, 그 근본은 같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한일 신화에서 보이는 왼쪽 신체의 결여 내지 불구는, 서구권에 있어서의 오른쪽 신체의 결여 및 불구와 그 성격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왼쪽 신체의 불구는 비록 부정적이긴 하지만, 점차 긍정적으로 상황이 변화해가는 비 일상성과 신성성의 발현이지만, 서구권의 오른쪽 신체의 결여는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면 본래의 남성적인 강한 힘(급소, 선)의 상실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동파체(東坡体)와 우소지(嘘字)의문자변형・배열방식 비교 ―글자 개수별 조합을 중심으로―

        금영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3 No.-

        In this paper, I tried comparing and examining the method of character deformation and arrangment of Tungp‘o’s characters play and Usoji’s Chinese character play. First, in case of the method of character deformation of Tungp‘o’s characters play, I have found that partial deformation of letters and rereading, partial abbreviation of combined letters and replacement of letter, and divide the letters into two to create a space and put new spelling into the space. Next, in case of the method of character arrangement, I have found to surrounding the middle letter by othere letters in Usoji. And it is very interesting to stack letters vertically stacked like a tower. But I couldn’t it’s some regularity from Usoji. 두 개 이상의 글자를 새로 조합하여 세상에는 없는 가짜 한자를 만든다는 점에서는 중국의 한자문자유희인 동파체(東坡体)와 일본의 한자문자유희인 우소지(嘘字, 또는 譃字)는 서로 같지만, 조합되는 글자의 개수에 따라 문자변형 및 배열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우소지에서 보이는 문자변형 및 배열방식의 특징을 중국 동파체와의 비교를 통하여 살펴보았는데, 특히 조합되는 글자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어떠한 변형과 배열이 이루어지는지에 주목하였다. 왜냐하면,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의 문자유희의 전개에 대한 이해는 한자를 구성하는 글자개수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변화에 대한 이해로 연결되는 측면이 있으며 중국 창작한자와 일본국자간의 방식상의 상이점에 대한 이해와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동파체의 두 글자 조합에서 보이는 세 가지의 문자변형방식(부분변형재독, 부분교체생략, 띄우고 끼워 넣기)과, 우소지의 두 글자 조합에서 보이는 한 가지 문자변형방식(좌우대칭반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세 글자 이상 조합에서 보이는 문자배열방식의 경우, 가운데 글자를 감싸듯이 둘러싸는 우소지 특유의 문자배열방식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동파체와 우소지에서 보이는 문자변형 및 배열방식의 이러한 특징은, 획수가 많은 고자나 이체자, 부적 글자, 또는 현대중국의 창작한자 및 현대일본의 문자 수수께끼 등에서도 또한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고찰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수께끼의 방식 한일비교

        금영진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5 외국학연구 Vol.- No.33

        This paper compares and points to differences between the configuration and representation methods of Japanese and Korean riddles. First, Korean riddles use a symmetrical configuration method, but Japanese riddles a complex configuration method. Korean riddles provide a hint with two related words, such as old and young or father and son. Japanese riddles provide a hint that can be interpreted in two ways based on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e Japanese riddle configuration method is similar to syllogism. Second, Japanese riddles can also follow another configuration method which separates the words of the riddle. This method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inserting, removing, or reversing the words in the riddle. As well, a character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om a word, and a word can be read in reverse or turned over, resulting in th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f the word. Third, Korean riddles also use two methods: metaphors and anthropomorphism. Japanese riddles use a different expression method, for example, to describe a person’s professional or identification temperament with quibble. This feature of Japanese riddles largely stems from the popularity of this genre in Edo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