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今昔物語集』の『日本靈異記』傳承に關する考察 : 傳承過程に現われた文學的な創意と誤謬を中心に

        琴榮辰 대한일어일문학회 2001 일어일문학 Vol.16 No.-

        『今昔物語集』의 編者는 『日本靈異記』를 傳承하는 過程에 있어서,受動的인 傳達者의 역할에만 만족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說話의 傳承過程에 있어서 傳承者가 積極的인 태도로 이야기의 표현과 내용을 改變하려는 모습은 물론 이야기를 보다 실감나고 재미있게 전달하려는 의욕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今昔物語集』의 編者는 先行說話의 傳承過程에서 이러한 의욕을 적극 표출하였고, 이는 결국 『日本靈異記』의 說話들의 作品性을 이전 보다 한 단계 끌어 올렸다고 보여진다. 『今昔物語集』의 編者는 『日本靈異記』의 話들을 『今昔物語集』에 새로 담아 내는 과정에서, 단순 묘사된 부분들을 생생하게 描寫하기도 하고, 妥當性이 다소 떨어지는 내용을 信憑性있는 내용으로 고치거나, 혹은 이야기의 主題를 자기 나름의 評語揷入을 통해 바꾸는 등, 積極的이고도 創意的인 傳承者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日本靈異記』를 傳承하는 과정에서 발휘한 今昔物語集 編者의 이러한 文的 創意는 『日本靈異記』의 話들을 傳承하는 과정에 있어서, 文學的 質의 高揚이라는 성과로 나타나게 되었고, 이는 다시 말해 『今昔物語集』라는 文學作品속에서 『日本靈異記』의 說話들이 作品性을 지닌 說話文學作品으로 再創造되었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물론 傳承過程에서 나타난 處世訓과 誤은 작품의 文學的 質을 떨어뜨려 『今昔物語集』의 文學的 成果에 다소 흠이 되었지만, 『今昔物語集』의 編者가 『日本靈異記』를 傳承하는 과정에서 발휘한 文學的 創意는 여전히 높이 평가할 만하다 하겠다.

      • KCI등재

        지명 즈쿠시(地名尽くし)의 배열방식 한일비교

        금영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7 No.-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지명즈쿠시와 한국의 지명풀이 노래에 보이는 지명배열방식의 차이점과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 지리적 연결성, 방향성, 언어유희성에있어서 한일양국간의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첫 번째로, 일본의 『구니 즈쿠시(国尽くし)』에 보이는 전통적인 지명배열방식에서는 인접한 지명과 지명을 마치 한 붓 그리기처럼 잇는 지리적 연결성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점은 부분적인 지리적 연결성이 보일 뿐, 전체적으로는 단절성이 보이는 『팔도읍지가(八道邑誌歌)』의 그것과 상이한 것이다. 두 번째로, 일본의 『구니 즈쿠시』에서는 모든 지명들이 교토에서 지방으로 멀어져 가는방향성(京→郷)과 더불어, 동일본의 모든 지명들은 서쪽의 교토를, 서일본의 모든 지명들은동쪽의 교토를 향하는 방향성(郷→京←郷)을 동시에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점은 국토를 남과 북, 동과 서, 좌와 우로 이분하는 한국의 지명배열 방식에서는 찾아보기힘든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도카이도 오라이(東海道往来)』에 보이는 일본의 지명배열에서는 53개의 숙박지 지명이 끝말잇기 형태의 언어유희를 통해 마치 렌가(連歌)처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반면, 『호남가(湖南歌)』 등에 보이는 한국의 지명배열에서는 동음이의어인 둘 혹은 네개의 지명들이 마치 한시(漢詩)처럼 대구를 이루며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명배열에서 보이는 한일 양국의 이러한 방식의 차이는, 비단 문학작품에서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행정구역, 시외전화 국번, 체전 입장순서, 우편번호에 대한 고려로 나타나고있다.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features the array system of Japanese and korean's toponymy(traveling) songs. And as a result, I was able to find the difference in three aspects, geographical connectivity, and directionality, to play on words in both Japanese and Korean's array system, First, We could see the method that Japanese kunizukushi(place name song) connects the cities and cities adjacent to a point and a line. Japanese kunizukushi has an overall uniformity and I defined that it is a geographical connectivity. But korean kunizukushi has a patial uniformity. It seems that the reason is came from korean's traditional idea that to divides country's administrative district into two. Paldo eupjiga is a good example. Second, Japanese kunizukushi has two types directionality, one is from Kyoto to country side, the other is from country side to kyoto. Japanese array system of toponymy directs all districts to countryside. But, on the other hand, every districts direct to kyoto. It does not conflict. Because every districts direct to their Emperor who live in kyoto. Third, Japanese kunizukushi has the method of to play on words, word chain game. This type's to play on words connect all place closely. It seems that this method similar to that Japanese continuous poem, lenga. But Korean kunizukushi connects every place name two by two, or four by four. This method looks like the couplet system of Chinese poetry.

      • KCI등재

        흰 색 십이지 동물 상징성의 한일비교

        금영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6 No.-

        Comparative studies of Korea and Japan about symbolism of the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have already been done but those classified by Obangsaek(五方色; The Five Cardinal Colors; the East Asian traditional five colors of white, black, blue, yellow and red) have never been examined. Hence this thesis focuses on white animals among the five types of colored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in the classical literature of Korea and Japan as the subject because white is the most commonly seen color of Obangsaek in classic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The symbolism of white animals had an auspicious image in ancient China. However, there is an evident difference in the symbolism of it between Korea and Japan. That is, white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usually have affirmative symbolism as messengers of god and they connect god and human, delivering good fortune from god to human. On the other hand, White animal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ave antithetic symbolism as ‘affirmative distinction’ and ‘negative strangeness’. Thus, on a scale of one to a hundred, the attitude of viewing white animals as affirmative is a hundred in Japan while being only fifty in Korea. This difference comes from different perceptions about the white color of animals as the Japanese view it as ‘purity’ or ‘sacredness’, and the Koreans take it as ‘affirmative distinction’ or ‘negative strangeness’. Images that the Japanese have towards white animals are mostly ‘affirmative’ while those that the Korean have towards white animals, ‘affirmative’ and ‘negative’ are mixed. White animals symbolize ‘good fortune’ to the Japanese but for the Korean white animals can be ‘good fortune’ or ‘misfortune’. Moreover, even in the case of taking the white animals as ‘affirmative’,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For example, the Japanese view the white snake as that which connects god and human and gives good fortune and mone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s recognize them as medicated food that provides good energy. In this case, the white animals symbolize ‘Good fortune’ to the Japanese and ‘Good energy’ to the Koreans. 백말 띠 해, 황금돼지 해, 빨간 돼지 해 라는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오방색과 십이지 동물의 조합은 60 년 주기로 돌아오며 우리 생활과 늘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오방색 혹은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 또한동아시아 각국에서 오래전부터 널리 행해져 왔으며 국가 간 비교 연구도 최근 많이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청적황백흑의 오방색으로 분류된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을 다룬 국가 간 비교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는 물론, 그러한 발상이 가지는 미신으로서의 부정적 측면이 너무 부각되어 온 탓이 크다. 하지만 그렇기에 더더욱 5가지 색깔의 십이지 동물이 만들어 내는 60가지 경우의 상징성이 동아시아 각 문화권에서 저마다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고찰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이다. 그리고 본논문에서는 그 첫 단계로서,한일 양국 고전에 보이는 흰 색 십이지 동물을 비교고찰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이유는 한일 양국의 고전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보이는 오방색이 흰 색이며,실제로 흰 색 동물이 적지않게 등장하기 때문이다. 흰 색 동물이 가지는 상징성은 나라마다 시대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상서로운 이미지로 통한다. 하지만 한일 양국 간에는 차이도 또한 존재한다. 즉, 일본 고전에서의 흰 색 십이지 동물은 신과 인간을 연결해 주고 복을 전해주는 신의 사자 내지는 화신이라는 긍정적인 상징성을 보이는 경우가많다. 반면에 한국고전에서의 흰 색 동물은 ‘긍정적인 특별함’과 ‘부정적인 괴이함’이라는 두 가지의 상반되는상징성을 보인다. 즉, 일본인이 흰 색 동물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는 대개 ‘긍정’이지만, 한국인이 갖는 이미지는 ‘긍정’과 ‘부정’ 이 혼합 교차하며 일본인에게 있어서 흰 색 동물은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면 대개는 ‘행운’을 상징하지만 한국인에게는 ‘행운’일 수도 ‘불행’일 수도 있는 것이다. 또 흰 색 동물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라 하더라도한국인에게 있어서 흰 색은 ‘양기(陽気)’를 주로 상징하며, 이 점 일본인의 그것과는 구별된다. 조선시대의 효자가 백사(白蛇)를 잡고, 오늘날의 한국인들이 백수오(白首烏)를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

      • KCI등재

        주사위 놀이와 우표 속 남녀 비율 및 여성 역사 위인 한일 비교

        금영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69 No.-

        In this paper, the male-to-female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characters appearing in dice board games and postage stamps in both Korea and Japan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First,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backgammon, which is a great historical figure in Korea, is 13.5:1, and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postage stamps is 5.5:1, which means that there are relatively fewer women than men. There were many virtuous women or anti-Japanese patriotic martyrs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Japanese backgammon is 8:1, and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postage stamps is 2.4:1, and similarly, there are fewer women. As for the female characters, there were many poets of waka (和歌) or female writers.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female figures in Japan i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in Korea, and this is related to the gender ratio gap (8:1 in Korea, and 4:1 in Japan) confirmed in keywords, such as filial piety, and classic databases in both Korea and Japan. In particular, the 9:1 male-to-female ratio in the Japanese culture postage stamp series is interesting, as it symbolizes gender inequality in modern Japanese politics. 본고에서는 한일 양국의 주사위 놀이와 우표에 등장하는 역사 위인의 남녀 비율 및 여성 역사 위인의 양국 간 차이에 관하여 양성평등 젠더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한국의 역사 위인 주사위 놀이에서의 남녀 비율은 13.5대 1이고 우표에서의 남녀 비율은 5.5대 1로 여성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우리나라의 여성 역사 위인들은『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관점에서 평가받는 열녀 내지는 항일 애국 열사가 많았다. 반면, 일본의 역사 위인 주사위 놀이인 에스고로쿠(絵双六)에서의 남녀 비율은 8대 1이고, 우표에서의 남녀 비율은 2.4대 1로 마찬가지로 여성이 적었다. 일본 여성 역사 위인들은 『햐쿠닌 잇슈(百人一首)』의 와카(和歌) 가인(歌人) 또는 여류 문학자가 많았다. 우리나라보다 일본의 여성 비율이 2배 정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한일 양국의 효자전(孝子伝)(한국 8대 1, 일본 4대 1)이나 고전 데이터 여성 키워드 비율(한국 여성 1.6배, 일본 여성 2.6배)에서 확인되는 남녀 비율 격차의 연장선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특히 「일본 문화인 우표 시리즈」에서의 남녀 비율 9대 1은 현대 일본정치 영역에서의 양성 불평등(중의원 남녀 비율)과 일치하는 수치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 KCI등재

        東アジア笑話に見る放屁譚 - 笑いとネタの共有をめぐって -

        琴榮辰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4 No.-

        중국과 조선소화를 포함한, 동아시아소화 전체를 시야에 놓고 에도 하나시본의 방귀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양상을 바라보았을 때, 우리는 이들 방귀이야기들 중 여럿이, 동아시아에서 일찍이 공유되어 왔을 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다. 즉, 중국의 어리석은 사위 이야기가 일찍이 동아시아에서 널리 유포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인데, 그 안에 보이는 「어리석은 사위와 장모의 방귀」를 다룬 이야기가, 사실은「며느리와시어머니의방귀」를 다룬 이야기와 쌍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놓고 볼때, 이러한「시어머니의방귀」를 다룬 소화가 중국에서 일본과 조선으로 각각 전래되었을 가능성을 충분히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유화 자료를 통해 우리는, 에도 하나시본에 보이는「하녀의방귀」를 다룬 이야기가동아시아에서 공유 되었을 가능성을 알 수 있으며, 에도 하나시본 속에 보이는「도둑의방귀」를 다룬이야기가 중국 소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 그리고 이러한「도둑의방귀」를 다룬 이야기를 구연하는 과정에서「성대연기」가행해졌을가능성과, 그것이에도 시대에 일본에 전래된 중국소화의 영향에 의한 것일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겠다. 끝으로, 에도 하나시본의 방귀이야기에는 유곽의「유녀와손님」 사이에서 벌어지는 방귀 관련 해프닝이 많이 보이는데, 이는, 『우지슈이모노가타리의방귀이야기나, 근세 초기의 남색관계에서의 방귀이야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랑하는 관계의 두 인물을 설정하는 기법이 일본의 방귀이야기에서는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고, 그러한 전통이 태평성대의 도래에 따른 유곽문화의 발달과 소화제공자의 환경변화에 따른 청중층의 변화라는 여러 가지 시대적 변화와 맞물린 결과, 유녀의 방귀」를 다룬 방귀이야기가에도 하나시본에 풍부하게 나타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그리고 물론, 「시어머니와 며느리」, 「하녀와 주인」, 「도둑과 집주인」등, 상대방 앞에서 방귀 소리를 내는 것이터부시 되는 긴장관계가「유녀와손님」사이에서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하겠다. 에도 하나시본의 방귀 이야기는 동아시아에서의 웃음과 소재의 공유의 실태를 여실히 보여 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겠다. The diffusion of comedic stories throughout East Asia influenced the Edo Hanashibon (Japanese funny tales of the Edo period) where fart stories became a major subject. We have considered the whole horizon of funny tales in East Asia, which includes Korean ones too. If we take a look at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fart stories” in general, we can find some of the features that are common to this particular genre all over East Asia (In our research this area includes only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Edo Hanashibon compilation we have the work titled “The mother-in-law’s fart” “The maid’s fart”(We can find the same theme in Aesop’s fables and “The tale of the wise Sinbad”. ), and “The burglar’s fart” which became a common tale to thos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between the 16th and 19th centuries. Lastly, we will center in another subject of the Edo Hanashibon. In this compilation we could also find many funny stories about the theme of fart’s happening in prostitution scenes, that is to say, between the prostitute and her client. The funny point of these stories is the same as the one in “the mother-in-law”, “the maid” or “the burglar”, namely the taboo represented by the act of farting before a partner to whom the relationship is quite strained. The abundance of these stories is probably the result of the particular moods of that period, which asked often for such kind of setting and such kind of strained-related characters. We postulated that the latter formation of tales is just the natural development of these concrete motifs.

      • KCI등재

        동파체(東坡体)・파자(破字)와의 비교를 통해 본 돈지(鈍字)의 문자유희방식

        금영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4 No.-

        본 논문에서는 에도 말 명치 초기에 간행된 돈지(鈍字)자료 2종을 중심으로 일본의 한자문자유희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중국의 동파체(東坡体) 및 파자(破字)와의 비교를 통한 유사점과 상이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만도 니기와이 바나시(万燈賑いばなし二偏))』(1848)에 실린 돈지를 통해, 1848년 당시까지 만해도 우소지(噓字・譃字)와 돈지(鈍字)의 개념 구별이 그다지 명확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문자의 증가라는 우소지의 ‘확장지향성(+)’과, 문자의 결여라는 돈지의 축소지향성(-)에 대한 개념 구별이 비교적 명확해진 시기는 그로부터 좀 더 시일이 흐른 뒤 부터였다. 즉, 에도 말에서 명치 초기에 간행된 『다이신판 돈지 즈쿠시(大新版鈍字尽くし)』에 보이는 돈지의 약 75%가 한자의 일부가 결여된 축소 지향성(-)을 보인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두 자료는 돈지의 초창기 및 과도기의 전개양상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겠다. 두 자료에 실린 돈지들은 기본적으로 동파체 및 파자의 형태가 유사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문자의 형태가 동파체나 파자와 유사하다고 해서 반드시 그 방식대로 돈지가 해독이 되는 것은 아니다. 양자의 해독 방식에는 차이가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한, 글자의 일부가 가타카나 문자로 보인다는 점을 이용한 이종문자 조합 및 미타테(見立て)의 방식은 일부 파자의 예외를 제외하면, 동파체나 우소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돈지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돈지의 이러한 복합적인 조자방식에서는 모지에(文字絵)와 에카키우타(絵描き歌)의 속성 또한 엿보이며, 일본에서 오늘날 발달한 은어나 간지(感字)에서도 이와 유사한 방식은 보인다. 일본의 한자문자유희는 동파체와 파자의 문자유희방식을 통하여 발달하였으며, 우소지와 돈지의 분화를 통한 두 가지 유형이 정립되었다. 패망 후 현재까지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는 간지나 갸루모지 역시 이러한 문자유희 전통의 계보를 잇는 산물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Donji(鈍字) during the early Meji (明治) to Edo (江戸) eras. These Chinese characters play throughout the two documents that were published from the early Meiji(明治) era to the end of the Edo(江戸) era.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ith Donji as seen through the comparisons of the plays and characters of Tungp'o (東坡体) as well as that of Paza (破字).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ncepts of Usoji(噓字) and Donji's were not clear at that time. From “Mando nigiwaibanashi 2(万燈賑いばなし二偏)” published in 1848, the characteristic of Donji, as a lack of the character's part was not clearly seen. About 75% of the Donji characters in “Daishinpan Donjizukushi(大新版鈍字尽くし)” seem to be published later which clearly showed the lack of the character's part. The characters of Donji and Tungp'o as well as that of Donji and Paza are visible in both documents and were often similar in shape to each other. However, their decoding methods did not match every time. Additionally, a conscious method of the fact that part of the letter looks like katakana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Donji's. Finally, combining different kinds of characters is a characteristic of Donji. Chinese characters in Japanese plays developed and improved in both Tungp'o and Paza characters and plays. It showed two tendencies of Donji that were separate from Usoji. The development of emoticons and pictorial songs in Japan, of course,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such character and play traditions.

      • KCI등재

        일본근세문예 속에 보이는 「오인녀(五人女)」인물구성의 기원과 계보

        금영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4 日本硏究 Vol.0 No.59

        This paper deals with the origin and gonealogy of five women character in Edo literature, which method of character construction can be see from Ukiyozosyi and Ukiyoe. And this time, I found this method(five women character construction) came from five men character construction. That is to say, changed from men to women by yatsushi, which method is very popular thing of Edo literature's. Next, I also found that the method of five men character construction came from five heros character, which composition is one man(one's lord) and his fore followers. We can see this patern from five statues of Buddha, or godaimyou of Japanese god. So, I have an assumption that the character construction method origined from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korea, we can see five people dancing from the same thing. Japanese five heros and korean five people dancing is not the same. but two thing's origin is the same. There are many five people dancing in korea, but there are not like korean dancing in Japan. In Japan, generally there are many dancing of one or two or fore people types. We also can see five women's dancing from korean drawing, for example Muyongchong's wall painting. And this one and Japanese drawing of five women is the same in that origin,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 KCI등재

        우소지(嘘字)를 통해 보는 에도(江戸)의 언어문자 유희문화 -한자(漢字)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금영진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翰林日本學 Vol.0 No.31

        In this paper, I tried to study the three method elements(Associative concatenation, Assigning animals, Temperament) of Edo culture in character play of Usoji(Non-existent Chinese characters)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 characters. First, I found that there is an intermediate stage in process of associative concatenation of Usoji's reading and proverbs and fairy tales of Edo period can be cited as an intermediary of the intermediate stage of Usoji's associative concatenation. Second, the method of assigning animals is developed in Usoji, which is the character representing the animals of different kinds,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assigning allogeneic animals is developed in kanji. In Kanji let's focus on animal characteristics, but Usoji let's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animals of Edo period's Fairytales. Third, Usoji has the method element that represent the human being's temperament, Which is called Katagi(気質) in Japanese. This, of course, is also related to the epidemic of the temperament in the Edo period. These three method elements of Usoji reflec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do culture well, and it shows a unique idea of Japanese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kanji's. 본고에서는 근세의 한자문일본근세 한자문자유희인 우소지(嘘字)에 보이는 에도(江戸)문화적인 방법요소 세 가지를 한자(漢字)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상연결과 동물조합, 그리고 가타기(気質)가 그것이다. 첫 번째로, 조합된 글자의 음과 훈을 회의(会意)하여 문자를 읽는 한자의 방식과는 달리, 우소지에서는 연상연결의 중간단계가 개입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매개체들은 에도시대의 동화나 속담인 경우가 많았는데 한 글자에 이러한 중간 매개체가 포함되는 것은 우소지만의 특징이다. 두 번째로, 한자에서는 동종 또는 이종의 동물들이 갖는 공통적인 특징에 주목하여 해당동물들을 나타내는 글자 둘, 혹은 셋 이상을 조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우소지에서는이종(異種)의 동물조합을 나타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발달하였다. 또, 세 가지 이상의 동물또는 동물과 사람의 조합이라는 우소지의 형태는 한자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징이라 할수 있다. 세 번째로, 한자에 비해 우소지에서는 인간의 신분이나 기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발달하였으며, 이 경우 한자와는 달리 일정한 읽기방식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것은 에도시대에 유행한 가타기모노(気質物)방식의 영향 때문이다.

      • KCI등재

        일본 속담(諺)속의 동물조합

        금영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일본학연구 Vol.46 No.-

        본고에서는 한 마리의 동물이 등장하는 속담 말고, 두 마리 이상의 동물이 동시에 등장하는 동물조합속담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고찰을 통해 동물 조합의 방법과 변용양상의 몇 가지 특징들을 알게 되었다. 먼저, 조합방법에 있어서 미타테(見立て)와 언어유희(言語遊戯)가 동물과 동 물을 연상 연결하는 방법적 요소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변용양상에 있어서, 등장동물의 변용, 속담의 복합과 분리, 등장동물의 추가와 같은 세 가지 패턴이 확인되었다. 등장동물의 변용에서는, 중국에서 비롯된 원래속담속의 두 동물이 일본속담 에서는 전혀 엉뚱한 다른 동물들로 바뀌는 이유를 검토하였다. 속담의 복합과 분리에서는, 두 개의 동물속담이 하나로 합쳐져서 1대 1 조합이 되고, 이런 동물 조합 속담끼리 다시 합쳐져 2대 2조합이 되는 속담의 복합과, 네 마리가 다시 두 마리로 줄어드는 속담의 분리(재생성) 양상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등장동물 의 추가에서는, 두 마리가 등장하는 속담이 세 마리 패턴으로 바뀌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features an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assortment of animals that seems to Japanese Proverbs. As a result, it found that the assortment of animal was born by the using of associative linking (mitate) and the play on words in animal’s assortment. Moreover, it has found that there are three patterns as a feature of the transformation. The first is that there is existed the changing of animals, new animals come into the proverb, and the native animals of proverb get out.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new two animals assortment pattern was derived. Second, animal’s assortment proverbs derived by that this animal’s proverb and that animal’s proverb are combined. or this two animal’s assortment proverb combined with that two animal’s thing. Some cases is obtained by playing a new two-party pattern by again separating it. The third, there are three animal’s pattern which is derived from the wo parties patt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