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젠더 관점에서 본 커피 소비의 에스노그라피

        권희정(Kwon, Hee-j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23 No.1

        커피 소비를 둘러싸고 여성은 전형적으로 카페의 ‘여급’이나 다방 ‘종업원’으로 언설화되거나,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이 대거 등장하는 1990년대 이후엔 주 고객층으로서 부상하며 적극적인 커피 소비자로서의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식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젠더 관점에서 커피 소비의 에스노그라피를 쓰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시기적으로는 인스턴트커피의 등장으로 커피 대중화가 시작된 1970년대부터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이 대거 들어오는 1990년대까지 약 20여 년간이다. 이 기간 동안 여성과 커피 소비를 둘러싼 기억과 기록들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들은 커피를 파는 ‘여급’과 ‘다방 아가씨’에서 1990년대 이후 갑자기 주요 소비자층으로 등장한 것은 아니다. 여성은 공/사 영역에서 언제나 커피를 타는 노동자였을 뿐 아니라 주체적으로 커피를 소비한 계층이었다. 즉, 여성의 커피 소비를 둘러싼 행위성은 민주화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라고 하는 시대적 맥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공/사 영역에서 작동하던 성별 권력관계에 균열을 가져오며 1990년대에 진입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gender dynamics surrounding coffee consumption in 1970s and 1980s. It was a period when Korea was propelling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In terms of gender equality, it was regarded as a transition period for women, from the era of being oppressed to that of being liberated. This concept leads to understanding women as passive workers selling coffee in dabang (coffee house) or providing services for male customers as café girls in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as independent consumers after that.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concept as above simplifies realities in consuming coffee and blinds gender dynamics. Based on the collected articles from newspapers, magazines and interviews of that time, I would like to show how women, as social agents, appreciated the space of coffee shop as workers and also as customers. Besides, how they acted strategically facing to or evading from the discourse of gender stereotype of that time.

      • KCI등재

        경계면 요소를 사용한 강ㆍ콘크리트 혼합 거더의 비선형 거동 해석

        권희정(Kwon Hee-Jung),김문겸(Kim Moon Kyum),조경환(Cho Kyung Hwan),원종화(Won Jong Hwa)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9 No.4A

        혼합구조체의 강-콘크리트 경계면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합성작용 저하, 미세균열, 슬립 및 분리 등으로 비선형 거동을 나타내어 부분합성에 적합한 해석기법이 필요하다. 스터드의 상세해석을 통하여 이를 실현할 수 있으나 이는 해석 결과의 실효성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투입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의 경계비선형과 강-콘크리트의 재료비선형을 고려하여 더욱 정확한 강ㆍ콘크리트 혼합구조 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접합부의 경계면의 비선형성은 인터페이스 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한다. 이를 위해 먼저 경계면의 비선형 거동 물성치를 산정하여야 한다. 경계면의 물성은 push-out test 등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데 이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실험결과를 이용하였다. 강과 콘크리트의 재료비선형을 고려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압축부는 Drucker-Prager 모델을 이용하고, 강재는 von-Mises 모델과 2개의 직선으로 이상화한 응력-변형률 관계를 적용하였다. 해석의 검증을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혼합구조를 갖는 혼합거더의 정적 휨 거동에 관해 해석하여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제안된 혼합구조 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경계면의 비선형 모델을 변화시켜가면서 해석을 수행하여 강 -콘크리트 혼합구조체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이후 경계면의 선형 해석방법과 완전부착을 가정하는 해석방법의 결과와 비교ㆍ분석하여 제안한 비선형 해석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In this study, an analysis technique of hybrid girder considering nonlinearity of steel-concrete contact surface is presented. Steel-concrete hybrid girder shows partial-interaction behavior due to the deformation of shear connectors, slip and detachment at the interface, and cracks under the applied loads. Therefore, the partial-interaction approach becomes more reasonable. Contact surface is modeled by interface element and analyzed nonlinearly because of cost of time and effort to detailed model and analysis. Steel and Concrete are modeled considering non-linearity of materials. Material property of contact surface is obtained from push-out test and input to interface element. For the constitutive models, Drucker-Prager and smeared cracking model are used for concrete in compression and tension, respectively, and a von-Mises model is used for steel. This analysis technique i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est results. Using verified analysis technique, various analyses are performed with different parameters such as nonlinear material property of interface element and prestres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linear analysis result and analysis result with the assumption of full-interaction.

      • KCI등재

        객실 승무원과 승객 간의 관계 배태성 형성 및 항공사 신뢰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권희정(Hee Jung Kwon),이승창(Seung Chang Lee) 한국유통학회 2019 流通硏究 Vol.24 No.1

        항공 서비스는 공간과 인적 서비스, 물적 서비스 등이 복잡하게 융화된 서비스로 일반 서비스와 다른 특성이 있다. 특히 항공 서비스 중 객실 서비스는 서비스 종업원(객실 승무원)과 승객 간의 서비스 접점 시간이 가장 길고 제한된 공간과 시간 동안 승객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 서비스 중 객실 서비스 측면에서 서비스 종업원과 고객 간의 관계 배태성(Relational embeddedness) 형성에 대해 알아보고 형성된 관계 배태성이 항공사 서비스의 신뢰도(Trust)를 통해 충성도(Loyalty)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기존의 관계 배태성 관련 연구에서 대 부분 초점을 맞추고 있는 관계 혜택 요인을 제외하였다. 왜냐하면 객실서비스(cabin service)는 다른 일반 서비스와 다르게 한정된 시간과 밀폐된 공간에서 서비스가 반복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객실 서비스에서의 관계 혜택이 일반 서비스와 비교 시 크지 않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서비스 연구 문헌의 주요 요인들(종업원의 친 사회적 행동과 종업원의 고객 지향성, 신뢰도, 충성도)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다른 변수들(친 사회적 행동, 고객 지향성, 신뢰도, 충성도)과 관계 배태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관계 배태성과 신뢰도 자체의 매개역할에 대해 확인 하고자 하였다. 서베이 자료의 통계분석 결과, 객실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에 비해 관계 혜택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종업원(객실 승무원)의 행동 및 태도가 고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관계 배태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선행 연구에서 증명한 관계 배태성, 신뢰도, 충성도 요인 간의 인과 관계 역시 객실 서비스 측면을 통해 증명하였다. 또한 각 요인들과 관계 배태성 및 신뢰도와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매개 효과역할에 대해 추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종업원의 고객 지향성과 신뢰 사이에서의 관계 배태성의 영향력과 관계 배태성과 충성도 사이의 신뢰도의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즉, 이것은 고객에 대한 종업원의 일방적인 행동과 태도가 항공사에 대한 고객의 신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관계 배태성과 충성도 사이에서 신뢰의 영향력은 고객 간의 정서적, 사회적 유대감만으로는 고객의 기업에 대한 충성도에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관리자적 의미로는 항공사는 객실승무원에게 무조건적인 일방적 봉사서비스 자세를 지침하기 보다는 고객과의 관계 배태성 형성을 위한 직무훈련 해야 하며, 고객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서비스 접점 및 운영설계에 대한 세밀한 지원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항공사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낳을 것이다.

      • KCI등재

        입양실천에서 나타나는 정상가족 담론과 미혼모 자녀의 ‘고아’ 만들기

        권희정(Kwon, Hee-Jung) 한국여성연구소 2015 페미니즘 연구 Vol.15 No.1

        그동안 미혼모성은 여성의 임신과 출산이란 측면보다 성문제로 인식되어 임신과 출산 담론에서 주변화되어 왔고, 제도화된 결혼관계에 의한 임신과 출산만을 합법적인 것으로 규정해 온 사회규범 속에서 미혼여성의 성경험과 이로 인한 자녀 출산은 여성에게 불명예의 낙인을 안겨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정부 수립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입양과 정상가족 담론, 그리고 그것이 미혼모의 모성에 끼친 영향관계를 살피고 있다. 비혈연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근대적 입양은 1960년대 후반까지 전쟁고아 및 혼혈아동을 주로 그 대상으로 하다가 1970년대에 들어서는 미혼모의 자녀가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되고 1980년대에는 더욱 많은 미혼모의 자녀들이 국내외로 입양보내지게 된다. 이렇게 된 데에는 자본주의 경제발전과 함께 등장한 중산층 가정이 이상화되고 보편화된 시대적 맥락이 있다. 게다가 입양은 점차 이윤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는 산업으로 발전함에 따라 미혼모는 자신의 모성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내적/외적 구조 안에 포획된다. 결국 ‘미혼모’는 자신의 아기를 길러서는 안 되는 불우하고 부도덕한 여성으로 언설화되며 근대 ‘모성의 장’에서 사라지고, 그들의 자녀는 ‘입양’ 보내고 자신은 ‘갱생’되어야 할 사회복지사업의 클라이언트가 되었다. 1980년대 이후 미혼모 지형의 변화를 살피고, 미혼모의 경험을 좀 더 미시적으로 드러내고 근대 모성사에서 이들의 경험을 복원해야 함은 향후 남겨진 과제이다. In public discussion on motherhood, the experience of unwed mothers has been silenced. In a society where the norm is to have babies only within institutionalized marriage, an unwed mother’s giving birth is regarded as an unfortunate and shameful incident that cannot be discussed in public. This study examines public discourse on adoption and the normal family and their impact on unwed mothers’ motherhood from the 1950s to 1980s. In the 1950s and 1960s, the majority of adoptees were war orphans and mixed race children. In the 1970s and the 1980s, the majority were children of unwed mothers. I will argue that the shift of adopted children from war orphans and mixed race children to those of unwed mothers were mainly due to the idealization/romanticizing of middle class family, which became stronger and popularized as its heading to 1980s. Moreover in 1980s, adoption agencies started to seek the possible adoptive babies more aggressively as adoptions generated large revenues for adoption agencies. In this social context, the stigmatization on unwed motherhood became more severe and motherhood of unwed mothers were slowly deprived from them. As a result, unwed mothers who used to be regarded as mothers, started to lose their social statues as mothers and categorized as unfortunate women. Along with the lost of motherhood of unwed mothers, their children were also categorized as orphans and sent to adoption. Further microscopic research on unwed mothers’ experiences based on personal history is warranted to reconstruct the modern history of motherhood.

      • KCI등재
      • KCI등재

        외상 후 발생한 안와 생괴사 황색육아종 1예

        최현준,권희정,김혜영,Hyun Joon Choi,Hee Jung Kwon,Hye Young Kim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4

        Purpose: To investigate the role of nitric oxide (NO) on the migration of cultured human Tenon’s capsule Purpose: Necrobiotic xanthogranuloma is a very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yellow subcutaneous skin lesions and systemic paraproteinemia. We report a case of post‐traumatic necrobiotic xanthograuloma that presented with a preseptal mass. Case summary: A 31-year-old man presented with ptosis and a mass on the left superior orbit that developed after trauma 3 weeks prior to admission. A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a contrast-enhancing preseptal mass, and surgical exploration was performed. Conclusion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tumor that had all the major features of necrobiotic xanthogranuloma, including fat necrosis with granulomatous inflammation, giant multinucleated cells, foamy cells, and several lymphoid follicles with germinal centers. Hematologic evaluation revealed polyclonal gammopathy.

      •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 환자의 정신신체 의학적 치료 : 자문정신의학을 중심으로

        류성곤,권희정,Ryu, Seong-Gon,Kwon, Hee-J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8 정신신체의학 Vol.16 No.1

        With the rapid growth of geriatric population, geriatric psychiatric consultation has come to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recent year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consultation-liaison in elderly and applicate practical guideline of consultation in medical setting. Management of medically ill elderly in psychiatric consultation requires different guideline from that of other age group patient. Because aging and each organ-specific diseases change the pharmacokinetics of psychotropic drugs variably. These pharmacokinetic changes should be considered in psychosomatic treatment in medically ill elderly. The relatively low consultation rates for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elderly indicate that research is needed into factors that both prevent and facilitate elderly patients with psychological symptoms from consulting their general practitioners. 최근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정신과에서 노인에 대한 자문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임상에서의 노인에 대한 정신과 자문의 특징과 지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타과적 질환을 갖는 노인에 대한 정신과적 자문은 다른 연령층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노화에 따른 장기 기능의 변화와 약동학 및 약력학의 변화에 대한 숙지가 노인에 대한 정신약물학적 접근에 매우 필수적이다. 타 연령층에 비해 노인에 대한 정신과적 자문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실제 정신과적 자문이 노인질환의 재원기간이나 기타 사망률 등을 낮출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노인에 대한 자문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교정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정신보건문제와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연구

        지은희(Eun Hee J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최수련(Soo Ryun Choi),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산시 지역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아산시 정신보건사업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 법 2007년 2월 아산시 온양3동과 도고면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만 70세 미만 성인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최종 대상자는 31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Community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CAMI)를 사용하였다. 결 과 아산시 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는 덜 권위적이고 동정적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정신보건문 제와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는 굉장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력, 불교, 도고면 주민, 농업에 종사, 월수입 300만원 이상, 정신질환자와 접촉이 많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특히 저학력층과 농업에 종사하는 집단은 정신보건 문제와 사업에 대한 인식도도 낮았다. 결 론 정신질환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대상을 우선적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교정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신보건문제 및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가 낮으므로 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의 제공 및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get basic data to develop plan and strategy of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services in Asan city. So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and the knowledg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among the residents of Asan city.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310 persons aged between 20 and 69 who live in Onyang 3-dong and Dogo-myeon, Asan-si, Chungcheongnam-do. Tool of the study is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 (CAMI). Results:The residents of Asan city showed generally positive attitudes to mentally ill. But they lacked the knowledg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The lower educated, buddist, farmers, persons who live in Dogo-myeon, persons whose monthly income are above three million won, persons who have experience for contacting mentally ill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The lower educated and farmers lacked overall awareness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too. Conclusion:The community education to reduce th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gainst the mentally ill should be actively and intensively concentrated upon the person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 Furthermore, systematic public education and information should be constantly delivered to community resident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