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교사양성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업과 진로에 대한 어려움 탐색

        권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敎員敎育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nd enhance quality of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courses by investigating the difficulties 3-year training course. For the purpose, the study proceeded journal writings and interviews with 6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A university (4years), and implemented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Its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their aptitudes and careers because of the difficult studies. They also experienced stress, reduced desire on study, and employment anxiety through competitiveness with colleagues and tough environments. Seco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re concerned about high competition, so they were not able to have positive attitude to prepare the employment examination for the stable occup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교사양성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업과 진로에 대한 어려움을 탐색해봄으로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를 높이고 질 높은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 저널쓰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직에 대한 불확신과 갈등 속에서 어려움과 불안을 나타내었다. 여기에는어려운 전공 공부, 좋은 교사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포함되며 이로 인하여 자신이 유아교육과의 적성에 맞는지, 다른 진로는 없는지 고민하고 갈등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바쁜 일상과 경쟁 속에서 어려움과 불안을 나타내었다. 여기에는 발표와 과제 압박, 취업 경쟁 사회적 분위기가 포함되며 이로 인하여 초조함과 갈등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전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유아들의 자유놀이에서 나타난 개방성의 다차원

        권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leading and enjoyable play environment for children through exploring the play patterns that appeared in free play. For this,child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and outdoor play time in ‘A’ kindergarten, and this included collecting the following: child observation records, observation video transcripts and field notes. Following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the patterns of diversity in the children's play process appeared to be a combination of the categories of exploration and improvisation. exploration, experimentation, and challenge. The children presented their findings to friends during various explorations and suggested exploring other ways. By combining exploration and improvisation and combining two materials a new improvisation was invented. The children were seen exploring, experimenting and challenging themselves as they explored boards and made roads. Second, the pattern of play deformation and openness shown in the play of children appeared in the categories of quick decision making, reciprocal negotiation,flexible rules and play methods. Rapid decision making and reciprocal negotiation emerged during the children's play transformation process and reflected the shared hypothetical concerns of the playparticipants. Activities were also carried out with the rules that children made by themselves whileplaying, and the players showed flexibility and acceptance in their play rules and methods.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 양상을 탐색함으로 유아의 주도적이고 즐거운 놀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자유놀이와 바깥놀이 시간에 대한 유아관찰을 실시하였다. 유아관찰기록, 관찰영상 전사본, 현장약기(field notes)가 수집되었고 수집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과정에서 나타난 탐색의 다양성과 개방성의 양상은 탐색과 놀이 결합, 탐색과 실험, 도전의 범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다양한 탐색과정에서 자신이 발견한 점을 친구들에게 선언하고 다른 방법의 탐색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탐색활동은 놀이와 결합되었고 두가지 놀잇감을 결합하여 새로운 놀이가 즉흥적으로 창안되었다. 널빤지 탐색을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길을 만들어 가면서 탐색, 실험,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난놀이변형과 개방성의 양상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 융통적 규칙과 놀이방법의 범주로나타났다.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은 유아의 놀이 변형과정에서 나타났으며 놀이 참여자들의 공동의 가상적 관심사가 반영되었다. 또한, 유아의 놀이에서 ‘자신이 만든 규칙’에 의해 진행되었고, 놀이 참여자들은 이러한 규칙을 수용함으로 놀이규칙과 방법에서 융통성의 모습을 보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와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제재곡 비교․분석

        권혜진,전병운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총 Vol.39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와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제재곡에 제시된 내용 요소(음악 요소)와 개념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 2015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와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와 지도서 각각 2권씩 4권에 제시된 제재곡의 내용 요소(음악 요소)를 추출하여 선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락’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 모두 장조가 주를 이루고, 단조의 비중은 낮았으며. 내림마장조와 가장조의 곡은 중학교에서만 다루어졌다. ‘화성’은 음악의 화음 사용이 많을수록 악곡의 난이도가 높아지는데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화음 사용이 적은 단순한 멜로디의 곡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형식’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 모두에서 주로 두도막 형식(16마디)의 곡이 많았다. ‘셈여림’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모두 셈여림에 대한 표기가 드물게 나타났다. ‘빠르기’는 대부분의 곡에서 빠르기가 표기되었다. ‘국악’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장단과 지역별 민요 종류가 다루어진 반면,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세마치와 중중모리장단 2가지만 제시되었다. 결론: 대체적으로 중학교 교과서가 고등학교보다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제재곡의 적절성에 대한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 이에 따라 기초 연구를 통해 교과서의 제재곡이 적용 대상 학생들에게 적합한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content elements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pres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prescribed songs according to the revised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Method: We extracted content elements (musical elements) from a total of four books, including two middle school and two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based on the 2015 Basic Education Curriculum. These elements were then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chosen analytical criteria. Result: In terms of “melody,”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primarily featured major keys, with a lower proportion of minor keys. E flat major and A major sclae were only discuss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Regarding “harmony,” it was found that as the use of harmonies increased in a piece, the difficulty level also rose, with high school textbooks containing simpler melodies with fewer harmonies. “Form” showed that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mostly featured binary form (16 bars). “Dynamics” notation for time signatures was rare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empo” markings were present in most piec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high school textbooks covered a wider range of scales, regional folk songs, whereas middle school textbooks only included “Semachi” and “Jungjungmori” scales. Conclusion: Overall, it has been observed that middle school textbooks are generally more challenging than high school textbooks. There is a lack of clear evidence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grade-level curriculum standards. Consequently, founda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tent of textbooks is suitable for the target student audience.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어머니표상 및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권혜진 한국인간발달학회 2006 人間發達硏究 Vol.13 No.4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mother as perceived by school-aged children have indirect effects on their interpersonal stress through ego-resiliency. The subjects were 318 sixth grade children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Statistical techniques were Pearson's correlation,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were that (1)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mother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rpersonal stress in school-aged children; (2)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mother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ego-resiliency in school-aged children; (3)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mother had an indirect impacts on interpersonal stress in school-aged children, which was mediated by their ego-resiliency.

      • KCI등재

        유아교육 전공 체험 학습을 통한 고교생의 진로 인식 탐색-유아동작교육을 중심으로-

        권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공 체험 학습을 통한 고교생의 진로 및 전공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5월 2주 충청남도 소재 C 대학교의 'Open University' 프로그램 유아교육과 체험 학습에 참여한 S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공 체험 학습 후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과 및 전공 체험에 대한 저널쓰기를 실시하였다. 수집 자료는 범주화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 전공 체험 학습 참여 고교생들은 유아교육과 전공 학습에 대한 놀라움, 당혹감을 느끼면서 유아교육에 대한 재인식의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 전공 체험 학습 참여 고교생들은 자신의 적성 및 성향과 특성에 맞는 진로를 진지하게 성찰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들은 현재 희망 진로는 아니나 자신의 성향을 발견하고 유아교육의 특성과 전공과 잘 맞을 수 있다는 인식을 보였다. 또한, 자신의 학창시절 체육 시간의 부적절한 훈육과 교육 경험을 반추하면서 의미 있고 적절한 동작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었다. 결론 첫째, 유아교육을 전공하고자 하는 고교생이 유아교육과 유아교사직에 대한 실제 이해를 도울 수있도록 고교와 대학이 연계된 전공 체험 기회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교생의 진로 의식을 발달을 위해 자신감 증진, 학교 현장의 적절한 지도가 요청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nd major recognition through major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S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pen University” program at C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were targeted.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 journal about their departmental and major experiential learning.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content analysis wasconducted. Results: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ajor experiential learning expressed both astonishment and perplexity while re-evaluating Childhood Education. Seco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examined their propensities and careers in earnest. Although Childhood Education was not their current desired career path, students discovered their interests and the recognition that it could fit with their individual propensities emerged. Furthermore, student sreflected on their past inappropriate discipline and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recognize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ppropriate movement education. Conclusion: First, opportunities for experiential majors linked to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o develop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confidence enhancement and appropriate guidance at school are required.

      • KCI등재

        A Predictive Model for Distant Metastasi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ased on Machine Learning

        권혜진,이민형,주수연,이관범,이승아,김승기,김이삭 한국유방암학회 2023 Journal of Breast Disease Vol.11 No.2

        Purpose: Breast cancer starts as a local disease, but can metastasize to distant organs. In this study, we described an easy-to-use tool for predicting distant metastases based o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326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nderwent surgery and CancerSCAN<sup>TM</sup>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14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Additional retrospective data for 83 patients during 2015 were used for internal validation. CancerSCAN<sup>TM</sup>, a next-generation sequencing-based targeted deep sequencing analysis, was used for gene analysis, and Azure Machine Learning (ML) was used for the ML processes. Results: The no-distant metastasis group comprised 267 patients, while the distant metastasis group comprised 59. Using the Azure ML platform, a predictive model was developed with 326 cases.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for predictive value was 0.917. Based on the internal validation performed using 83 patients, the true-negative was 81 and the true-positive was two when a threshold value of 0.5 was applied. Conclusi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re at risk of metastasis and experience fear throughout their lives. Our predictive model is a valuable and easy-to-access tool for identifying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and it presents a way for each institution to achieve optimal results using its variables. Further evaluation with a larger patient population will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is model.

      • KCI등재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차나무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권혜진,송호경,김무열 한국식물분류학회 2008 식물 분류학회지 Vol.38 No.3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from the nuclear ribosomal ITS regions were examined to reevaluate the taxonomic position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e). Comparing to its morphologically closely related S. pseudocamellia Maxim, S. koreana has diagnostic characters including a larger leaf blade (10 cm length and 5.5 cm wide) and a longer pedicel (2.5 cm length). In addition, S. koreana formed a different clade from S. pseudocamellia in the ITS trees. The morphological and ITS sequence data supported S. koreana as a Korean endemic species distinct from the closely related species, S. pseudocamellia. 한국 특산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해, 노각나무와 근연 분류군의 외부형태와 ITS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노각나무는 일본에 분포하는 S. pseudocamellia와 외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나, 노각나무는 잎이 대형이고 소화경의 길이가 2.5 cm 이상인 점에서 S. pseudocamellia와 구별되었다. ITS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노각나무는 S. pseudocamellia와 별개의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외부형태 및 ITS 염기서열 결과는 노각나무가 S. pseudocamellia와 다른 별개의 한국 특산종임을 지지해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