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드러밍 운동이 과체중 여성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권정인,이재훈,조준용,오유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1 No.2

        이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와 드러밍 운동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30-50대의 성인 여성10명을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집단(Low BMI, LBMI <23kg/m2)과 과체중 이상인 집단(High BMI, HBMI>23kg/m2)으로 나누어 드러밍 운동을 실시하였다. 드러밍 운동은 1회 50분,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후 신체조성과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심박변이도는 선형분석인 시간 영역 분석과 주파수 영역 분석을 통해 SDNN(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RMSSD(Root Mean Square of the Successive Differences), HF(High Frequency), LF(Low Frequency), TP(Total Power)를 측정하였다. 비선형분석인 푸앵카레 플롯(Poincaré plot)을 통해SD1(Standard Deviation of the distance of each point from the y = x axis), SD2(Standard Deviation of each point from the y = x + average R–R interval), SD2/SD1을 측정하였다. 자율신경계 지수로 부교감신경계지수(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ndex; PNS Index)와 교감신경계지수(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Index)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 전 심박변이도에서 HBMI 집단과 LBMI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8주간의 드러밍 운동 후에는 HBMI 집단이 LBMI 집단에 비해 체중(p=0.034), 체질량지수(p=0.044), 체지방량(p=0.032), 허리둘레(p=0.013)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심박변이도에서 HBMI 집단은 LBMI 집단에 비해 선형 분석에서 RMSSD (p=0.018)와 TP(p=0.033), 비선형분석에서는 SD1(p=0.018), 자율신경계지수에서는 PNS Index(p=0.040)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MSSD, SD1 및 PNS Index는 부교감신경계의 활동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드러밍 운동이 과체중 이상 여성의 자율신경계 중 부교감신경계의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body mass index (BMI) and drumming exercise on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n adult women. Ten adult women (aged 30-50)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BMI: a normal BMI group (Low BMI, LBMI < 23 kg/m2) and an overweight BMI group (High BMI, HBMI > 23 kg/m2).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drumming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50-minute sessions, three times a week, for a duration of 8 weeks. Body composi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8-week exercise period. Heart rate variability was evaluated using linear analysis in the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Additionally, non-linea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Poincaré plot.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dex was determined by measuring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ndex and sympathetic nervous system index. Following the 8-week intervention, the HBMI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weight (p=0.034), BMI (p=0.044), body fat mass (p=0.032), and waist circumference (p=0.013) compared to the LBMI group. Furthermore, the HBM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s in RMSSD (p=0.018) and TP (p=0.033) in linear analysis, as well as SD1 (p=0.018) in non-linear analysis and PNS Index (p=0.040) compared to the LBMI group. RMSSD, SD1, and PNS Index serve as indicators of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linear and non-linear analyse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rumming exercise significantly enhances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n overweight women.

      • KCI등재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개인 정보 보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권정인 한국융합보안학회 2020 융합보안 논문지 Vol.20 No.4

        Convergence ethics education for digital culture in cyberspace is limited to specific area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and copyright. Education on the ability to accept inform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in cyberspace in which digital natives communicate, share and exchange is inadequate. As a result, the dysfunction of abu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others withou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has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problem. In this study, among digital netizen who communicate and exchange information the most in cyberspace, digital literacy education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university, and then they investigated the change in information security perception. Based on this, we intend to prepare fundamental measures for systematic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necessary for the Digital Cultural Society. 사이버공간 속 디지털문화의 융복합 윤리교육은 개인정보, 저작권 등 특정 영역에만 국한되고 있어 사이버 공간의 사용자인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소통하고 공유하고 교류하는 사이버공간 속 정보수용능력과 정보 제공능력에 관한 교육은 미비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정보보안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를 남용하는 역기능이 최근 사회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 가장 많이 정보를 소통하고 교류하는 디지털네티즌들 가운데 대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정보보안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화사회회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양성의 근원적인 대책의 마련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계열별 학습자 분석 기반의 컴퓨팅사고력 연구

        권정인 한국전자거래학회 201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4 No.4

        The rapid development of a software-core societ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ftware competence as a basic condition for all academic discip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among students of basic software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university. The results of applying the nine core elem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Problem Solving to the learners of the each majors are as follows. In humanities, learners mainly applied the elements of Data Collection, Problem Decomposition and Automation. On the other hand, natural science department learners mainly applied the elements of Data Analysis, Algorithm and Automation. In addition, arts learners mainly applied elements of Data Representation, Abstraction, and Automation. To apply Computational Thinking to the development of software, humanities learners mainly applied elements of Data Collection, Algorithm, Automation. On the other hand, natural science department learners mainly applied the elements of Data Analysis, Algorithm and Automation. In addition, arts learners mainly applied elements of Data Representation, Abstraction, and Auto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learner will be maximized by including the learner analysis with each majors in the design of the basic software curriculum that each university is conducting. 소프트중심의 급속한 사회변화로 인해 모든 학문분야 인재상의 기본 조건으로 소프트웨어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기초소프트웨어교육의 계열별 학습자들의 소프트웨어교육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문제해결을 위한 컴퓨팅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의 9가지 핵심요소 적용에 계열별 학습자들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였다. 인문계열 학습자들은 자료수집, 문제분해, 자동화의 요소를 주로 문제해결과정에 적용하는 반면, 자연계열 학습자들은 자료분석, 알고리즘, 자동화의 요소를 주로 적용하였다. 또한, 예술계열 학습자들은 자료표현, 추상화, 자동화의 요소를 주로 적용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컴퓨팅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적용할 때 역시 인문계열 학습자들은 자료수집, 알고리즘, 자동화의 요소를 주로 적용하는 반면, 자연계열 학습자들은 자료분석, 알고리즘, 자동화의 요소를 주로 적용하였다. 또한, 예술계열 학습자들은 자료표현, 추상화, 시뮬레이션의 요소를 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초소프트웨어교육 과정의 설계에 계열별 학습자 분석이 반드시 포함되어 학습자의 교육적 효용성이 극대화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산업기술보호에 관한 연구개발 및 지원방안 연구

        권정인,안성진,신혁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8 No.3

        Today, The Economy and National Security is affected by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high value-added according to high-tech industry technology directly or indirectly. Industrial technology and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s an integral part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an ever.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for the current status ofthe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on the basis of survey is issued. It isproposed tha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reate a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or Industrial Technology Security and Industrial Security. Second,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National Core Technology. Third, makes the industry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Fourth, establish a policy to Industrial Technology Security about support training and workforce. The research propose joint improvement response system for the national key technologies leaking. This will become basis on not only preemptive response system of illegal disclosure of national core technologies in the future, but also research for future-oriented new technologies and Convergence Security technologies. 오늘날 첨단산업기술의 개발에 따른 고 부가가치의 지식재산은 한 국가의 경제와 안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산업기술이 전략적 경제 자원으로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산업 생태계의 보호를 위한 국가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산업기술 유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첨단기술 보호 문제는 산업분야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국토의 양분화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국가안보에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상황이다. 즉 상대국의 수집범위가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산업, 군사 등 전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정보뿐만 아니라 경쟁업체의 조직·운영상의 정보, 혹은 개인 신상정보 등 모두를 수집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에 대해 입증이라도 하듯이 우리나라의 산업기술 해외 유출 건수는 2005년 29건에서 2013년 49건으로 두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게다가 2011년 경찰청의 해외 기술유출 검거 실적 중 절반 이상이 기술 이전의 과정 중 생긴 유출로 기술 이전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기술 보호 제도에 대한 다양한 법률이 존재하지만 사전예방에 대한 운영보다는 사후해결에 대한 운영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제도 개선 속도 또한 산업기술 유출의 심각한 상태를 반영하고 있지 못해 실질적인 기술 보호 효과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게다가 기술유출부터 사후 법적 대응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기업의 유기적 관리 체계 또한 미비한 실정이므로 기술유출에 따른 피해사례가 날로 커지고 있는 결과는 어찌 보면 예측된 결과 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정부는 58개 국가핵심기술에 대한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하고자 정부 지원을 받아 개발된 국가핵심기술 보유기관 등록을 의무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산업기술 유출 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일부 개정안을 입법에 포함할 것을 발표하였다. 이는 산업기술 보호 및 국가핵심기술 보유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엄격히 규정해 해외 기술유출을 사전에 막겠다는 취지이다. 그러나 무조건 법률을 강화하고 기업을 관리·감독하는 것만이 최선의 방책은 아닐 것이다. 강한 규제는 언제나 또 다른 문제점을 일으킬 소재를 제공할 뿐 산업기술유출에 대한 근본적인 예방책이 될 수는 없다. 특히, 산업기술보호에 대한장치나 인식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의 경우 강한 정부의 관리 감독 및 엄격한 규정은 활발한 산업기술 개발의 취지를 약화 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안겨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귀찮은 절차라는 인상을 주어 해당 기업의 자체적 기술 보유의 여부를 부인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 할 수도 있다. 강한 관리·감독의 체계화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기업 스스로가 산업기술 유출에 심각성을 인지하고 산업기술 개발에서부터 관리 보호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현행 우리의 산업기술 유출에 대한 현황 및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산업기술 유출 방지의 연구개발과제를 도출하여 산업기술 유출에 대한공동 대응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국가핵심기술의 불법적 유출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적인 신기술 및 융합보안 ...

      • KCI등재

        사회현상학 관점에서의 인터넷역기능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권정인,이성철,안성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6

        급속한 정보사회의 발달에 따른 사용자 윤리의식의 문제점을 논하는 기존의 많은 정책과 연구보고서에서는 그에 따른 해결책을 논의하고 있지만 이는 사후방법론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역기능의 문제점을 사후 해결책이 아닌 예방차원에서의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역기능분류의 표준안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제시하는 역기능 분류의 표준 모델은 사회적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현재까지 역기능의 피해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1·2차 전문가 설문을 통해 미디어중독, 유해콘텐츠, 사이버폭력, 권리침해, 사이버테러, 판단장해 등의 6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표준안 모델은 현재의 정보화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의 문제점까지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이를 통해 역기능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 혹은 예방할 수 있는 사회적 또는 교육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Since IT technology grow rapidly, our ethic of consciousness has become big issue with adverse effect. Many scholar has discussed and tired to solve this problem, but it is still helpless to fix. Therefor in this paper, author will not suggest the solution, but will present model list of adverse effects and cases to prevent accidents. The model list of adverse effects, what author will present is about media addiction, harmful content, cyber-violence, right infringement, cyber terror and decision obstacle. This model list is made by primary and secondary survey. This model will show adverse effect of present day, but also will show future adverse effects that can be prevent. Through out this paper, this model list could use for education plan.

      • KCI등재

        글로벌 역량강화를 위한 커리어 개발프로그램 운영 연구 - IoE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권정인,유인태 한국공학교육학회 2015 공학교육연구 Vol.18 No.6

        Nowadays, IT that leads information era is closely connected to our lives. The importance of training human resources for global empowerment on IT is being emphasized all over the world. With the growth of international society, the cultivation of global human resources now includes the cultivation of future human resources and the educations related with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However, the programs that colleges are operating for the cultivation of global human resources have been limited only to supporting the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training program, operating camp and conferences, etc. On the contrary, to give many learners chances of experiencing courses for global empowerment and employment capability, We are operating the Internet of Everything online education program with Cisco Networking Academy Korea. Based on the management cases of Internet of Everything online education program, this thesis is suggesting a career program on global empowerment that many learners can experience, different from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