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직 임용의 폐쇄성과 부패

        권일웅 ( Kwon Illoong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3

        공직 임용의 개방성을 확대하자는 주장은 많지만, 개방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성과를 달성할 것인지에 대한 실증적 증거는 많지 않다. 반면 개방성의 확대가 기존 공무원의 동기와 몰입도를 감소시키고 특혜 시비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직 임용의 폐쇄성에 대한 이론적 기반으로 내부노동시장 이론을 제시하고 이론에 기반한 공직 임용 폐쇄성 지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100여개 국가들의 공직 임용 폐쇄성이 공직 부문의 부패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부패수준이 역으로 임용의 폐쇄성에 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내생성의 문제를 도구변수법으로 통제하여 보다 엄밀한 인과관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 공직 임용의 폐쇄성은 공공부문의 부패수준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공직 임용의 개방성을 실질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에 대한 실증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ere exist growing arguments for improving openness of hiring in public administration. However, rigorous empirical evidence for the merits of openness of hiring in public administration is scarce. There also exist concerns that openness of hiring may reduce the motivation of existing civil servants and lead to favoritism and corruption. This paper proposes the theory of internal labor market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openness/closedness of hiring in public administration. Then,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how closedness of hiring in public administration affects the level of corruption using cross-country data. In particular, instrument variable estimation is used to control for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The evidence suggests that closedness of hiring in public administration leads to higher level of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평등성과 공정성을 중심으로 -

        권일웅 ( Illoong Kwon ),한승희 ( Seung-hui Ha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5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2 No.2

        여성 공무원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위직급 중 여성 공무원 비중은 여전히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승진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차별과 유리천장은 여성의 승진 동기를 저하시키고, 이러한 승진 동기의 저하는 여성이 리더십 역할에 열등하고 소극적이라는 선입관을 증대시켜 여성차별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생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남성보다 낮은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를 높이기 위해 남녀 간 동일한 대우를 강조하는 형식적 평등성과 여성이 가진 지식·기술·능력을 활용하는 공정한 조직운영방식을 구분하고, 어떤 방식이 더 유의미한지 분석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정책지식센터의 중앙공무원 인식조사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공무원이 가진 지식과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공정한 조직운영방식이 여성의 승진 동기를 높이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대와 30대 여성 공무원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오히려 단순한 성별을 기준으로 한 평등대우는 오히려 남성공무원들의 승진 동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성별을 기준으로 한 동등한 대우를 넘어서 여성공무원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며 여성의 능력개발과 연계된 공정성을 강조한 인사정책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Even though the number of female civil servants has been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female civil servants in high-ranking positions is still low.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promotion (glass ceiling) would reduce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and increase prejudice that females are inferior and passive in leadership positions. Furthermore, the lack of motivations for promotion could cause a vicious circle which may strengthen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civil servants. To increase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this study distinguishes formal equality which focuses on equal treatment between men and women, and equity which makes use of knowledge, skill, capacity of female. Also, this paper investigates which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Using a survey data on central government civil servants in Korea, this paper shows that equita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efficient use of knowledge, skill of female has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Interestingly, we can observe more significant effect in female civil servants on the age of 20s and 30s. Also, this paper shows that formal equality decreases motivations of 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paradigm shift of personnel policy from equal treatment between men and women to equita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use of knowledge, skill, capacity and focuse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female.

      • KCI등재

        Interaction Effects of Internet and ODA on Economic Growth

        권일웅(Illoong Kwon)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21 미래성장연구 Vol.7 No.2

        Based on a panel of 135 countries from 1994 to 2015, this paper shows the interaction of ODA amounts and the internet user shares in the ODA recipient countries has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efficient for both GDP per capita and its growth rates. The main results are robust even when I control for region-specific time trends or use instrumental variables. The results also do not change when I control for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mobile phone user shares and ODA amounts, between landline phone user shares and ODA amounts, or between the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and ODA amou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net has a uniqu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ODA, distinct from the impact of ICT or institution in general.

      • KCI등재

        근로장려금과 복지함정 및 역선택

        권일웅(Illoong Kwon),한서영(Seo-young Han)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 2022 미래성장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근로장려금이 복지함정 및 역선택을 유발하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는 근로장려금의 소득증대 및 경제활동참여 효과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본 연구는 근로장려금을 계속 수령하기 위해 소득요건을 벗어나지 않으려는 복지함정이나, 소득요건 이상의 소득 가구가 전략적으로 소득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소득을 줄이는 역선택 현상에 대해 분석하여 차별화된다.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근로장려금이 도입된2008년부터 제도 개편 전 2011년까지 소득을 분석한 결과, 복지함정 현상은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역선택 현상은 일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논란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has induced the welfare trap and/or the adverse selection problem. In contra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EITC on labor income/hours or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EITC, some households may strategically maintain their income below the income threshold level of EITC, called the welfare trap. Also some households may even reduce their income to move below the income threshold level, called adverse selection. Based o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this paper does not find the welfare trap, but does find the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adverse selection problem.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sights on the recent policy debates between the universal welfare and the selective welfare.

      • KCI등재

        정부신뢰에 대한 연구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 비교를 중심으로-

        전대성 ( Daesung Jun ),권일웅 ( Illoong Kwon ),정광호 ( Kwangho Jung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2

        민주화 이후 정부신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대통령 개인에 대한 신뢰와 정부의 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정부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한 실증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Miller(1974)와 Citrin(1974)의 논쟁에서 Miller(1974)는 정부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평가가 정부신뢰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고 있다. 반면 Citrin(1974)은 대통령에 대한 이미지와 지지가 정부신뢰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부신뢰를 구성하는 함수에 있어서,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서로 경쟁적 관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양자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평가한 국내연구는 아직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종합 사회조사(KGSS) 자료를 활용하여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시민들의 정부정책 평가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한국의 경우정부정책에 대한 평가보다 대통령 개인에 대한 신뢰가 정부신뢰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Citrin의 논의가 상대적으로 더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ing post-democratization era in Korea, few comparat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the major determinant of trust in government between trust in President and citizen’s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y. Based on Miller-Citrin debate, Miller claimed that citizen’s evaluation of government poli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 However, Citrin argued that trust in President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rust in government. Therefore, trust in President and citizen’s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y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in determining public trust in government. Using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10, this paper found that Citrin’s argument seems better suited for Korea. Namely, trust in President is the major determinant of trust in government in Korea.

      • KCI등재

        여성 공무원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

        권혜연(Hye Yeon Kwon),권일웅(Illoong Kwon)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3

        대표관료제(representative bureaucracy)의 실현, 사회적 형평성 제고, 그리고 고급 여성인력의 노동 시장 참여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등의 논리에 힘입어 여성의 공공부문 참여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이 정부의 질(quality of government)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부문 인력구조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정부의 질을 크게 네 가지 측면 -공정성(impartiality), 투명성(transparency), 부패수준(corruption), 효율성(efficiency)- 으로 나누어 여성공무원의 비율이 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159개 국가를 대상으로 한 the Quality of Government Expert Survey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 ‘고위’ 공무원의 비율이 증가하였을 때 4가지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여성공무원의 비율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오지 않았다. 이는 단순히 여성공무원의 수를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정부의 질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없고, 고위직 여성 공무원의 비율을 증대하는 것이 효과적이 라는 것을 시사한다. 즉, 공공조직에서 유리천장 문제의 해결이 대표 관료제를 통한 형평성 확보뿐만 아니 라 정부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도 필요한 정책임을 시사한다. Female participation in the public sector is growing to improve representative bureaucracy, social equ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quantit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this trend on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on public sect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using the quality of government expert survey data on 159 countries, we estimate the effects of female civil servant ratios on impartiality, transparency, corruption, and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The analyses show that overall female civil servant ratio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but that female civil servant ratios in high-ranked job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eaking glass ceiling for females in the public sector would not only improve social equity and representative bureaucracy, but also increase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