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RM 기반 임베디드 리눅스를 위한 정밀한 시간 측정 방법

        권영우(Young-Woo Kwon),최준영(Joon-Young Cho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We propose a method to accurately measure relative time intervals in ARM-based embedded Linux systems using CCNT (Cycle Count) register of the coprocessor. The program execution time is measured by reading and storing CCNT register value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program to be measured and calculating the difference. Since the CCNT register counts synchronized with the processors high-speed clock, it can accurately measure high-resolution time. Moreover, the real-time measurement performance is improved by implementing the function that reads the CCNT register value in assembly language to minimize the time measurement latency. The performance comparison experiment with the getnstimeofday function, which is commonly used for time measurement in embedded Linux, verifies that time measuremen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10 times faster and more precise.

      • KCI등재

        헤겔철학의 왜곡사에 관한 소고

        권영우(Kwon, Young-woo)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5 No.-

        헤겔이 죽은 이후 당시 독일의 정치·역사적 상황 속에서 헤겔학파는 좌우로 분열한다. 그리고 그 분열로 인해 헤겔은 그들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왜곡되었다. 당시 좌·우파 모두 헤겔을 프로이센의 국가철학자로 곡해했다. 이는 헤겔철학에 대한 철저한 철학적 검토에서라기보다 좌·우파의 정치적 입장으로부터 기인한다. 그리고 이 왜곡 과정은 헤겔 사후부터 20세기 초까지 있었던 전체 왜곡사 가운데 첫 번째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있었던 헤겔철학의 왜곡과정을 밝힘으로써 헤겔철학에 대한 정상적인 접근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1부 헤겔 논문 : 헤겔 논리학에서 존재와 본질의 동일성에 관하여

        권영우 ( Young Woo Kwon ) 한국헤겔학회 2015 헤겔연구 Vol.0 No.37

        이 논문의 목표는 헤겔의 논리학에서 존재와 본질의 동일성을 해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명의 단초는 헤겔이 본질논리학의 시초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질에 대한 개념에서 발견된다. 왜냐하면 헤겔에 따르면 본질은 ?무시간적으로 지나간 존재“ 또는 ?자기 자신으로 내면화된 존재 자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질논리학의 시초는 근본적으로 존재논리학의 마지막 부분 이후에 위치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존재논리학의 시초와 닿아 있어야만 한다. 이를 통해 존재논리학적 이행 발전은 존재 자신의 배후근거로 되돌아간다는 점이 밝혀진다. 왜냐하면 본질은 존재의 배후근거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어떻게 순수한 존재가 규정된 존재가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본질이 실존으로 등장하기 위해 스스로를 매개하는지는 존재와 본질이 다르다는 점에서 서로 다른 논리적 과정처럼 나타난다. 하지만 이 글은 존재와 본질이 절대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존재와 본질이 서로 동일하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Dieser Aufsatz erzielt, die Identitat des Seins und Wesens in der Hegelschen Logik zu erlautern. Der Ansatzpunkt beruht auf Hegels Erklarung vom Wesen am Anfang der Wesenslogik. Denn ihm zufolge ist das Wesen ?das zeitlos vergangene Sein“ bzw. ?das sich in sich erinnerte Sein selbst“. Also muss der Anfang der Wesenslogik ursprunglich nicht nach dem Ende der Seinslogik, sondern dem Anfang der Seinslogik nahe stehen. Daraus folgt, dass sich der seinslogische Fortgang zum Hintergrund des Seins ruckwarts richtet, da das Wesen den Hintergrund des Seins bedeutet. Wie das reine Sein zum bestimmten Sein wird, und wie sich das Wesen um Hervortreten zur Existenz willen vermittelt, scheinen unterschiedlich zu sein im Sinne des Unterschieds zwischen dem Sein und Wesen. Aber dieser Text behauptet, dass die Beiden identisch miteinander sind im Sinne der absoluten Identitat des Seins und Wesens.

      • KCI등재후보

        증례 : 외과적 클립의 이동으로 초래된 총담관 폐색 1예

        권영우 ( Young Woo Kwon ),허병원 ( Byung Won Hur ),오웅식 ( Woong Sik Oh ),이정환 ( Jung Hwan Lee ),김해경 ( Hae Kyung Kim ),박성우 ( Sung Woo Park ),류성태 ( Seong Tae Ryu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

        복강경 담낭 절제술은 담낭 결석 및 용종 등의 담낭 질환의 치료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드물게 이 수술의 합병증으로 클립의 총담관, 십이지장 및 폐동맥으로 이동이 보고되고 있다. 복강경 담낭 절제술 후 복통, 황달, 발열, 오심, 구토 등의 담관염 증세가 있으며, 추적 단순 방사선 소견에서 우상복부에 존재하는 클립의 위치 변화가 있을때, 클립의 이동에 의한 총담관 폐색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저자들은 내원 7개월 전 복강경 담낭 절제술을 시행받았던 환자에서 외과적 클립의 이동으로 초래된 총담관 부분 폐색을 내시경적 역행성 담관조영술로 진단하고 제거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in Europe, is now gaining wide acceptance due to a less painful surgery, a shortened hospital stay and less scarring. But th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ere reported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gallbladder bed hemorrhage, bile duct injury, jejunal perforation and rarely dislocation and migration of the surgical clips. We report a 61-year-old man with obstructive jaundice that was generated surgical clips migration into the common bile duct, who had undergone a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because of acute calculous cholecystitis 7 months ago. Abdominal CT scan revealed multiple clips into the distal CBD and mild dilatation of intrahepatic biliary tree. The clips were removed using basket after endoscopic sphincterotomy. (Korean J Med 69:S772-S776, 2005)

      • KCI등재

        다목적 선굴(禪窟):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 제285굴(第285窟)의 기능에 대한 재고

        권영우 ( Young Woo Kwon ) 중앙아시아학회 2015 中央아시아硏究 Vol.20 No.1

        Dunhuang Mogao cave 285 has been considered as the cave that is highly likely to be sponsored by Yuan Rong (r. 525-542), who was the provincial governor of Guazhou at that time, because of well-preserved inscriptions including the absolute date(538, 539 C.E.) on the north wall. Regarding the function of cave 285, however, most scholars have not been able to come up with specific and critical solution more than this cave closely related with meditation practices for Buddhist monks. This speculation was certainly derived from the visual elements of cave 285. First and foremost, the cave is assumed to be modeled after Indian vihara caves. In addition to this, there are two statues depicting monks in meditation enshrined in niches on the west wall, and thirty-five painted monks in meditation in the lower limit of the ceiling. This paper re-examines the original function of cave 285 at the time of its foundation, which begins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was the initial intention for the occupants at that time to construct this facility. To this end, I will rebuild the intrinsic uniqueness inherent in this cave by comparing with vihara caves and meditation caves in China, Central Asia, and India which exhibit structural resemblance to that of cave 285 firstly. The uniqueness of the cave is found in two aspects. First, its structure seems to be intended more as a ritual space than just ‘dwelling’ and ‘meditative practice’ space. Second, the motifs of meditative monks, expressed in an exaggerated way, emphasized the sanctity of the monks. Finally, I would like to maintain that it was highly possible for cave 285 to be considered as ‘the multipurpose meditation cave’ to practice the ritual ceremonies, such as ordination and repentance ceremony, including meditative practices as well. The two facts that these ritual ceremonies had indivisible relation with meditative practices and the sanctity of the monks, which is emphasized on cave 285 as I pointed out above, also had close link with these two ceremonies in medieval Chinese Buddhism support this assumption. To be more specific, the implicative meaning of hunting motifs on the ceiling and the south wall as well as Buddhist narrative paintings on the south wall also represent the ordination and repentance ceremony. Furthermore, these motifs and paintings might also be understoo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eriod. From late Beiwei period, it was chaotic period for Buddhist community throughout the country that most, if not all, monks and nuns were violating precepts and regulations. Thus,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facility to hold the ritual purifying monks, such as cave 285, was needed in the monastic community of Mogao at that time: the community’s will to renovate the precepts is actually shown by texts such as Dunhuang manuscript titled Regulations for the Local Religious Body (Dunhuang ben jiao tuan zhi gui).

      • KCI등재

        "함께-삶"의 테제와 상호문화의 조건

        권영우(Kwon Young woo)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1 No.-

        이 글은 주광순 교수가 제안하는 상호문화의 세 가지 반성적 기재인 "이해", "대화", "상호변혁"이 본 필자가 주장하는 "함께-삶"의 세 가지 테제와 일치한다는 점을 딜타이의 "이해" 개념을 매개로 해명하고자 한다. 필자가 생각하는 "함께-삶"의 세 가지 테제는 첫째 '관계에 대한 의식', 둘째 '관계 맺기의 상호성', 셋째 '상호관계에 대한 같은 표상 공유'다. 딜타이의 "이해" 개념을 살펴 볼 때, 첫째 "이해가 정신의 구성물들에게만 해당된다는 점"과 둘째 "이해가 표현과 피표현체의 간의 관계"라는 점, 그리고 셋째 "이해가 [체험자와 추체험자의] 하나의 온전한 함께-삶을 이룸"을 의미한다는 점이 확인된다. 이런 맥락에서 딜타이의 "이해" 개념은 "함께-삶"의 테제들과 상호문화의 반성적 기재를 묶어 줄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한 매개개념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함께-삶"의 테제와 상호문화의 조건을 딜타이의 "이해"개념을 매개로 해명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articulate, via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that the three reflectiv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are compatible with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The former was proposed by Prof. Joo Kwang Sun and the latter is my assertion. In my point of view,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are firstly 'consciousness of relationship to others', secondly 'reciprocity of relating', and thirdly 'sharing of same representation of mutual relationship'. Considering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we can confirm that his concept includes firstly 'understanding is only for something constructed by spirit', secondly 'it is relation between expression and something expressed', and thirdly 'it means construction of one whole living-together'. Therefore I think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could be regarded as a medium concept which enables us to integrate the three reflectiv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with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So I try to explain compatibility between the thre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and the theses of "living-together".

      • KCI등재

        인식적 구분불가능성과 존재적 구분불가능성의 구별에 관하여

        권영우(Kwon, Young-woo)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3 No.-

        이 논문의 목표는 인식적 구분불가능성과 존재적 구분불가능성에 대한 구분에 있다. 전자는 인식적 오류로부터 생긴 구분불가능성이고, 후자는 모든 개별적 존재자의 자기동일성으로부터 온 것이다. 두 가지 종류의 구분불가능성 개념을 살피기 위해서는 개념으로서 동일성과 주체의 활동성으로서의 동일화함을 구분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인식적으로 구분 불가능한 것은 필연적으로 동일한 것이 아니지만 존재적으로 구분 불가능한 것은 필연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이런 구분을 통해 라이프니츠의 구분 불가능한 것의 동일성 명제(principium identitatis indiscernibilium)의 의미를 더 명료히 함과 동시에 비판적으로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내적 속성이 같은 서로 다른 존재자가 생각가능하다는 점은 라이프니츠의 동일성 명제에 대한 반론이 된다. 그러나 시공간적 관계속성을 통해 그런 두 사물은 다시 구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라이프니츠의 동일성 명제는 유효하다. 그리고 시공간적 관계속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가장 근본적인 조건으로서 주체성의 필수불가결한 역할이 부각될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성개념과 라이프니츠에 대한 헤겔의 논의를 살펴 볼 것이다.

      • KCI등재

        헤겔철학에서 반성적 자기관계의 무한성과 비대칭성에 관하여 -규정하는 반성과 모순을 중심으로

        권영우 ( Young Woo Kwon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연구 Vol.0 No.52

        이 글의 목적은 규정하는 반성과 모순을 중심으로 헤겔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반성개념과 반성운동의 중요한 특징을 해명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반성은 광학적인 의미에서 지속적인 동일한 반사와 반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반성은 동어반복적 반복과 순환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러한 반성에 따라 이념이 자기운동을 한다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변화와 운동은 오로지 동어반복적 자기동일성 안에만 갇혀 있게 될 것이며 새로운 것이 없이 무한히 반복되는 단조로운 운동이 될 것이다. 하지만 헤겔이 말하는 반성운동은 이러한 단조로운 반복순환운동이 아니다. 헤겔의 반성이 자기동일성에서 자기외화를 거쳐 자기로 복귀하는 무한한 과정임에도 그것이 동어반복적 동일성에 함몰된 단순한 순환과 반복이 아니라 끝임 없이 새로운 것으로 스스로를 규정하는 운동이 될 수 있는 이유는 헤겔이 말하는 반성적 자기관계의 비대칭성 때문이다. 그리고 헤겔은 타자로의 이행이 부정적 자기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운동, 즉 반성이라는 점을 해명하고 있다. 따라서 반성적 자기관계는 유한성 속에서는 결코 멈춰질 수 없는 무한한 역동성을 지니게 된다. 바로 이러한 반성적 자기관계성 속에서 이념은 논리적인 개념으로 그리고 실제적인 자연과 ‘역사와 학문을 포함하는 정신’으로 전개하고 발전한다는 것이 헤겔철학의 중요한 핵심적 요지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반성적 자기관계의 무한성과 비대칭성에 초점을 맞춰 반성개념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Das Ziel dieses Aufsatzes besteht darin, mittels der Erklarung der bestimmenden Reflexion und des Widerspruchsbegriffes die wichtige Charakteristik des Reflexionsbegriffes als des wesentlichen Begriffes in Hegels Philosophie und die der reflektierenden Bewegung zu erlautern. Reflexion wird zumeist im Sinne der Optik als Wiederspiegelung verstanden, in der das gleiche Licht unendlich ab- und zuruckstrahlt. Also konnte die Reflexion als ein tautologisch wiederholender Zirkel angesehen werden. Wenn sich die Idee auf die Weise der tautologischen Reflexion bewegte, waren alle Verwandlungen und Bewegungen jedes Seienden nur die banal unendlich sich wiederholende Bewegung, in der nichts neues entsteht und die in der tautologischen Identitat eingeschlossen ist. Aber die Reflexion bei Hegel ist keine solche tautologische Wiederholungsbewegung. Die Hegelsche Reflexion ist doch eine sich von sich unterscheidende und zu sich ruckkehrende Bewegung. Trotzdem fallt sie nicht in die tautologische Identitat, sondern sie wird die sich endlos als Neues bestimmende Bewegung wegen der asymmetrischen Charakteristik d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Hegel erlautert, dass der Ubergang in Anderes im tieferen Sinne die Selbstbewegung respektive die Reflexion ist, die auf der negativen Selbstbezuglichkeit beruht. Die reflexive Selbstbewegung hat die unendlich sich dynamisierende Fahigkeit. Der Hauptpunkt der Hegelschen Philosophie besteht darin, dass sich die Idee kraft ihr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als Begriff, Natur und Geist, in den Wissenschaft und Geschichte gehoren, entwickelt. In Hinsicht auf die Unendlichkeit und Asymmetrie d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wird dieser Text die Bedeutung der Reflexion bei Hegel erlautern.

      • KCI등재

        12주간의 훈련프로그램이 생리주기에 따른 난소 및 성장 관련 호르몬, Cortisol에 미치는 영향

        권영우 ( Young Woo Kwon ),김진해 ( Jin Hae Kim ),김진형 ( Jin Hyung Kim ),권광선 ( Kwang Sun Kwon ),김한철 ( Han Cheol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첫째, 12주간 훈련프로그램 처치가 여성의 체지방률과 생리주기, 난소호르몬, 성장관련호르몬, cortisol 분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둘째 12주간의 훈련프로그램이 생리주기 (월경기, 분비기)에 따라 이러한 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성인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훈련군 11명(age 22.5±1.5 yrs), 대조군 11명(age 22.7±1.2 yrs)으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하였다. 훈련프로그램은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유산소운동(달리기), 웨이트 트레이닝을 포함한 운동을 개인에 따라 45-55분간 주 5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처치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처치 전후로 생리주기, 체구성 성분, 난소호르몬(estrogen, progesterone)과 성장관련호르몬(growth hormone, testosterone), cortisol을 검사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반복측정에 의한 3원 변량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주간의 훈련은 체중과 체지방률을 감소시키고(각각 p<.05, p<.01) 성장호르몬은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Cortisol의 경우 월경기의 변화는 없었으나 분비기에서 훈련 후 유의하게 감소되어(p<.05)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훈련은 여성의 생리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성장호르몬을 증가시켰으며 생리주기에 따른 cortisol의 변화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training program to menstrual cycle (mense and luteal phase) on VO2max, percent body fat,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ovarian hormone (estrogen, progesterone), cortisol and growth related hormone (growth hormone; GH, testosterone). Twenty-two female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and were divided control (n=11) and training groups (n=11). Venou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during luteal (21day after mense), and early follicular phase (during mense) before and after training. Training consisted of treadmill running (15-25minutes) and resistance training which include leg curl, leg press, full down, curl up, sit up with 10 repetition maximum (3set) respectively. 12 weeks training programs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and body fat(%). but VO2max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aining. After 12 weeks training program GH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mense and luteal phase but cortis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luteal phase. Estrogen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luteal phase in contrast of mense in all group but exercise training did not induce any significant change. Serum cortiso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luteal phase in contrast of mense after 12 weeks training but GH, testosterone concentration did not induce any significant change with menstrual cycle. In conclusion, 12 weeks training program enhanced growth related hormone and cortisol response and this training induced change differed between mense and luteal phase.

      • KCI등재

        자유주의의 내재적 문제와 헤겔의 법철학

        권영우(Kwon, Young-woo)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이 글의 목적은 헤겔의 법철학이 자유주의에 대한 변증법적 비판이라는 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 글에서의 변증법적 비판이란 형식논리학적 부정이 아닌 자기부정적 자기복귀라는 헤겔적 의미의 변증법적 부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헤겔 법철학이 자유주의에 대한 변증법적 비판이라면 헤겔 법철학은 자유주의에 대해 비판적이면서 동시에 자유주의를 거부하지 않고 오히려 자유주의적 측면을 갖게 될 것이다.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개인의 자유로운 행위를 통해 주관적으로 실현될 수 없고 반드시 사회적 매개를 통해 상호주관적으로 실현된다는 점을 함축한다. 그리고 이는 현대 자유주의자들의 논쟁에서도 발견된다. 왜냐하면 현대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의 실현을 위해 정부의 역할이나 제도적 마련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헤겔 법철학의 자유주의적 측면은 헤겔이 인륜성 속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가 결국 개인의 자유와 권리의 구체적 실현과 확장이라는 점에서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Hegel’s philosophy of right is a dialectic critique of liberalism. The dialectical criticism in this article does not mean the formal logical denial, but a return to self by self-negation. Thus, if Hegel’s philosophy of right is a dialectical critique of liberalism, Hegel’s philosophy of right will be critical of liberalism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not reject liberalism, but rather have aspects of liberalism. The criticism of liberalism implies that individual freedoms and rights can not be realized subjectively through individual free acts, but are realized intersubjectively through social mediums. And this is also found in controversies among modern liberalists because modern liberalism requires the government’s role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the realization of individual freedoms and rights. We can find the aspects of liberalism in Hegel’s philosophy of right since Hegel’s ethical life entails ultimately the concrete realization and extension of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