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화 거동에 따른 다기능 구조 전해질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연구

        권숙진 ( Suk Jin Kwon ),최우혁 ( U Hyeok Choi ),정병문 ( Byung Mun Jung ),김양도 ( Yang Do Kim ),이상복 ( Sang Bok Lee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6 Composites research Vol.29 No.6

        최근에는 이온 전도도의 감소없이 높은 기계적 물성을 가진 구조 복합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에폭시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하여 전해질을 함유한 다기능성 구조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구조 전해질의 최적 함량 및 소재 선정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고 있는 반면, 경화 거동에 따른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 성능과 에너지 저장 성능을 동시에 가진 고체 전해질을 함유한 에폭시 기반의 구조 전해질을 다양한 경화 시간 및 온도에 따라 제조하고 기계적 특성 및 이온 전도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하여 전해질의 열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에폭시가 충분히 경화할 수 있는 경화 조건을 통해 115 MPa와 6 × 10<sup>-5 </sup>S/cm의 값을 동시에 가지는 구조 전해질을 얻었다. Recently, many research groups have studied on the epoxy-based multifunctional electrolyte to develop the structural composite bearing high mechanical properties without sacrificing the ionic conductivity at the same time. The studies on the optimal content and material selection for structural electrolyte have been published, while its curing behavior has not much analyzed yet. In this study, epoxy-based structural electrolyte containing solid electrolyte was prepared by varying the curing temperature and time. In addition, the ionic conductivi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pecimens were measured. We also find out the optimal hardening condition where the epoxy domain enables to be hardened within the range of temperature at which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electrolyte does not occur. Finally, we propose the multifunctional structural electrolyte showing achievabl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282 MPa and 9 × 10<sup>-6 </sup>S/cm@25℃.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을 위한 학습이력관리시스템 활용 현황에 대한 연구

        권숙진(Kwon, Suk J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평생학습계좌제 학습이력관리시스템 사용 활성화 및 발전방향 탐색을 위하여 첫째, 사용자들이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을 활용하는 주요 목적, 둘째, 사용자들의 학습이력관리시스템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셋째, 사용자들이 학습이력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온라인으로 사용자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477명의 시스템 실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하여 설문결과를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들은 주로 교육경험 관리를 위하여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사용목적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 가입 이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 연령, 지역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활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필요성 결여’ 및 ‘사용 불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스템 사용에 대한 사용 효능감과 만족도 인식 또한 저조한 편이었다. 설문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능적 개선과 더불어, 적극적 활용을 유도하는 가치 제공 및 유용성 인식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National ePortfolio system in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We examines the main purpose of using the National ePortfolio system and the users’ perceived level of usability and satisfaction by conducting online survey. In total of 477 system users responded to survey, an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users mainly use the system with the purpose of managing their personal learning experience,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pose of using system by age. Also, it seemed most users do not use the system actively after creating the account for lack of needs and inconvenience of usage, and there i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d of system use by sex, age and region. In addition, users showed low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the system. Overall results implied the need for functional improvement,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provision of value which induces an active usage as well as the user’s awareness of system’s usefulness are critical to stimulate the usage.

      • KCI등재

        학습자 중심 학습설계를 위한 e-포트폴리오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권숙진(Suk jin Kwon),정효정(Hyo jung Jung),조항철(Han chol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suggest short &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s of e-portfolio system for supporting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self regulated learning. For this, the learning design factors were drawn by using Delphi survey technique and Delphi panel constituted by 16 scholars and industry professionals. As a result of Delphi surveys, the definition of learning desig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e-portfolio system, and introduction time of e-portfolio model were drawn. The 9 development strategies for e-portfolio system were as follows: self diagnosis, one-stop service, portal service for searching, exploring and recommending education program, customized coaching, analyzation using big-data, etc. According to priorities and needs, these are assigned to the short, mid & long-term development roadmap. Although we propose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cused on e-portfolio system in this paper, these are also useful to universiti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felong education to adopt the e-portfolio system.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e-포트폴리오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고 중장기적인 발전 로드맵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관련 전문가 16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를 통해 e-포트폴리오의 주요한 역할인 ‘학습 설계’의 정의와 e-포트폴리오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를 통해서는 1차 설문을 통해 수렴한 내용을 토대로 e-포트폴리오가 지향해야 할 학습 설계의 정의와 e-포트폴리오 발전 모형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 3차 조사에서는 2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수립한 발전 전략에 대한 동의 정도와 도입 시기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자가진단 시스템, 평생교육 one-stop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검색/탐색/추천을 위한 포털 기능 도입, 맞춤형 코칭 시스템 도입,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도입 등 9개의 발전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단기·중기·장기발전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발전 전략은 학습 지원 e-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대학·기업 등의 기관에서도 제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도성 그리드를 활용한 전자파 흡수차폐/방열 복합소재 필름

        박병진,류승한,권숙진,김수련,이상복,Park, Byeongjin,Ryu, Seung Han,Kwon, Suk Jin,Kim, Suryeon,Lee, Sang Bok 한국복합재료학회 2022 Composites research Vol.35 No.3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mmWave frequency bands, there is a high deman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and heat dissipating materials to avoid device malfunctions. This paper proposes an EMI shielding composite film with a high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 To achieve this, a conductive grid is integrated with a polymer-based composite layer including magnetic and heat dissipating filler materials. A high shielding effectiveness (>40 dB), low reflection shielding effectiveness (<3 dB), high thermal conductivity (>10 W/m·K), thin thickness (<500 ㎛) are simultaneously achieved with a tailored design of composite layer compositions and grid geometries in 5G communication band of 26.5 GHz.

      • KCI등재

        사이버 대학에서 학습자 특성 및 학습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3P 모형을 활용한 학습분석적 접근

        한재훈 ( Jae Hoon Han ),권숙진 ( Suk Jin Kwon ),박종선 ( Jong Sun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A 사이버 대학에서 Biggs의 3P 모형을 기반으로 전조(Presage), 과정(Process), 결과(Product)요소들에 대한 상호 연관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이버 대학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분명하게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학습자 특성 요소들과 학습 결과에 대한 연관성을 꾸준히 탐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 분석적 접근 방법을 통하여 전조, 과정, 결과 요소들이 사이버 대학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어떤 연관성을 내포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Biggs의 3P 모형을 프레임워크로 설정하고, 모형의 각 세 가지 요소, 전조, 과정,결과 요소들의 상호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2013학년도 2학기와 2014학년도 1학기에 총 14,105명 학습자들의 교수-학습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로지스틱 순차적 회귀 분석을 통하여 적절한 모형 핏(Model Fit)과 높은 예측성을 내포한 로짓 모형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는 여섯 가지의 학습자 특성 -전공, 성별, 나이, 학력, 직업, 학년 - 과 두 가지 학습과정 요소들 - 콘텐츠 접속 비율, 게시판 참여수-가 학습 결과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하게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 요소들은 학업 성취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학업 결과가 단순히 하나 혹은 두가지의 학습자 특성 혹은 학습 과정 요소로 예측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니라 교수-학습을 이루고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현상임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esage, process, and product factors drawn from Biggs’ 3P model in one cyber university. Although previous studies thoroughly and clearly fou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one or two student characteristics factors and learning outcomes, the current study aimed at extending those findings into holistical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factors by using learning analytics (educational data mining) approaches. The framework was drawn from Biggs’ 3P model; each P factor was examined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esage, process, and product factors. A total of 14,105 aggregated student data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ing to student learning outcomes during the last two semesters-Fall, 2013, and Spring, 2014. Logit model from logistic sequential regression showed a sound predictability and model fit. The results showed that six student characteristics-academic discipline,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jobs, and year-and two learning process factors-content-to-access ratio and the numbers of participation in the course bulletins-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 learning outcomes. Specifically, student learning process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ones that mostly affected student learning outcomes. These findings implied that student learning outcomes were not simply predicted by one or two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processes, but rather were the complicated interaction of factors in a cyber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격대학의 교육혁신지원사업 성과관리 지표 개발 연구

        장은정(Eun Jung Jang),권숙진(Suk Jin Kwon)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현장수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원격대학 재정지원사업의 성과관리 목표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구체적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의 성과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세부적인 성과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대학혁신지원사업,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LINC+,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국립대학 육성사업 등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성과관리 지표와 대학의 성과분석 모형 등과 관련된 문헌을 분석한 후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모형에 근거하여 성과지표 초안을 도출하였다. 『원격교육혁신모델 개발-적용-확산』으로 구분하여 연차별 사업 추진 성과를 관리하기 위해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 성과관리 지표를 개발하였다. 원격대학 관계자 및 4인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초기에 제안한 6개 영역이 일부 통합되어 최종적으로 5개 영역(융합형 원격교육혁신모델 개발실적, 융합형 원격교육혁신모델 적용, 융합형 원격교육혁신모델 확산, 사업성과관리, 사업비 집행 및 관리)과 11개의 지표 및 23개의 세부 지표(단계 평가지표 1개 포함)로 재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혁신지원사업의 연차 컨설팅 및 단계평가의 시행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specific directions for establishing goals and strategies for performance managemen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cyber universities. The focus is on developing performance management indicators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 in cyber university.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literature related to performance management indicators fo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Drawing on the CIPP model, the study derives a draft of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on university performance analysis models. The performance indicators are categorized into “Development-Application-Diffusion of Education Innovation Models” to manage the annual project progress. Following reviews by cyber university stakeholders and four experts, the initially proposed six areas were partially integrated, resulting in a final restructuring into five areas with 11 indicators and 23 detailed indicators.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nnual consulting and stage evaluation in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innovation projects.

      • KCI등재

        ‘인간-AI’의 협력학습 환경에서 대화 생성형 AI의 역할과 대학생 경험 분석

        권선아(Sun A Kyun),권숙진(Suk Jin Kwon) 교육종합연구원 2024 교육종합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과 AI의 협력학습 환경에서 생성형 AI의 역할을 탐색하고 인간과 AI간의 관계를 확인함과 동시에, 이 두 주체(인간, AI)의 관계에서 인간의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고등교육기관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학습 상황에 대한 적절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화 생성형 AI 활용이 허용된 팀기반 문제해결 활동을 수행하게 하였고, 이들이 작성하여 제출한 사전검사, 팀활동 수행내용이 담긴 팀활동 보고서, 사후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학습에서 대화 생성형 AI의 역할은 ‘아이디어 브레인 스토밍’, ‘사고의 체계화’, ‘팀원 간의 효과적인 의견 통합’, ‘팀의 의견을 담은 글의 초고 작성, 수정 및 검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학습에서 대화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생들의 경험은 복합적이고 상반된 입장이 공존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생성형 AI에 대한 학생들의 느낌은 크게 ‘긍정 느낌’과 ‘우려’로 나뉘었고, 생각과 주장을 담은 글쓰기에 대한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 의견이 공존하였다. 그러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모두 긍정의견 제시하였으며, 교육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우선 고려할 점으 로, i)사용자의 활용역량 강화, ii)보조 도구로서의 활용 범위 규정, iii)생성형 AI 자체의 기술적 결함 보완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between humans and AI,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analyze human experiences within this relationship. The goal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n appropriate support system for the use of generative AI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involved 11 university students in team-based problem-solving activities that allowed the use of conversational generative AI. The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pre-tests, team activity reports that included the content of the team activities, and post-tests submitted by thes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collaborative learning, the role of conversational generative AI was identified as 'idea brainstorming,' 'structuring of thoughts,' 'effective integration of opinions among team members,' and 'drafting, revising, and reviewing the team's opinionated writings.' Second, the experiences of students using conversational generative AI in collaborative learning showed a complex and coexisting pattern of contrasting positions. Specifically, students' feelings towards generative AI were divided into 'positive feelings' and 'concerns,' and there were coexisting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regarding its use for writing essays containing thoughts and arguments. However, all participant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about its educational utility, and suggested focusing on enhancing user competency, defining the scope of its use as a supportive tool, and addressing technical flaws of generative AI itself as priorities for educational use.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