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과 학생 간의 교환관계 인식이 몰입과 행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계약에 기반한 다차원적 접근

        권상순 한국경영교육학회 2009 경영교육연구 Vol.57 No.-

        Based on a psychological contract framework, this study conceptualizes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justice in education services and their consequent attitude and behavior within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For this purpose, three types of students' perceived service justice in college education services are proposed to affect students' perception of 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ies and students. And these perceived exchange relationships are, in turn, proposed to influence students' commitment and behavior. Furthermore, these perceived exchange relationships are proposed to mediate between students' perceived service justice and their response. Finally, students' behaviors are proposed to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part, theore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nd its limitations are discussed along with its implications for practice. 오늘날 대학들은 새로운 지식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경쟁력 있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교육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또한 교육서비스 생산 주체 인 대학과 교육소비자, 그리고 지역사회 간의 가치공유를 위해서 교육소비자 중심 의 대학 서비스로의 발상전환이 필요하다(박주성, 김종호, 신용섭, 2003). 즉 수요 자 중심의 대학교육정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교육서비스의 제공자인 학교와 소비자 인 학생의 입장에서 서비스 마케팅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는 대학교육서비스에 대한 학생들의 공정성 지각이 그들의 태도와 행동에 어떤 영 향을 주고, 이런 반응이 교육서비스품질 향상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를 보이는 개념 적 모형과 명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서비스마케팅 분야 연구들 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심리적 계약(psychological contract)의 개념에 바탕을 둔 다차원적 접근(multi-dimensional approach)을 시도하고 있다. 결론 및 토의 부분에서는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연구의 한계 그리고 추후 연구방 향 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학교 수학 수업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핵심역량 증진을 위하여

        권상순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1

        최근 교육 분야에서 핵심역량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학교교육에 반영하여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핵심역량인 기초학습능력, 정보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고려한 수업 과정의 전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학 교과에서 핵심역량에 관심이 있는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수업 관찰을 하였다. 연구 결과 기초학습능력의 증진은 이전 학습에 대한 언급이나 현 수업의 핵심부분을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수업 전략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정보처리능력의 증진은 주어진 많은 자료들 중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자료를 찾고, 그 자료들을 조합하여 자신에게 유의미한 형태로 만들도록 하는 수업 전략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의 증진은 수학적 아이디어나 수학 내용을 학생이 교사나 동료 학생 혹은 메타 인지적으로 자신과 소통하는 수업 전략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증진은 주도적으로 실험의 계획을 세우거나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풀이 방법을 계획하고 반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는 수업 전략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수학교과에서 학생들이 미래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핵심역량의 증진을 가져올 수 있는 수업 전략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핵심역량의 증진을 위한 수업 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erms such as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have been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controversial active discussions about applying them to public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e competencies in four teachers’classe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he four core competences consist of abilities of basic learning, data processing,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Basic learning ability refers to the understanding of basic mathematical quantitative relations and principles, which could be foun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graphs, similarities and polygons. Data processing ability means the applicable ability of holistic information and media which could be valuable for oneself which is beyond simply using computers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making a story board, classifying geometric figures or understanding of fractal using GSP. Communication skill refers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with metacognitive conversations which can be found in the understanding of using dominos and regular polyhedrons using geofix. Problem solving ability could be found in the process of thinking expansion in the problematic situation with domino activity an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f graphs. One could identify the lesson mode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through four lessons implemented by the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a guideline to increase competences which are necessary to live a better future life.

      • KCI등재
      • KCI등재

        보건교사의 서번트 리더십, 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과 변인 간의 관계

        권상순,강경석 한국학교보건학회 2017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0 No.3

        Purpose: Maintaining a lifelong health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health teacher recognized by the adolescent, the self - efficacy of the student,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he variables. Methods: This study used surveys of health teacher teachers' servant leadership, student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subjects were 128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in the analysis section.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ubject and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health teacher, student'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level of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public school and private school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n the servant leadership, student self-efficacy, <.05 ~ p <.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ender in terms of student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p <.01 ~ p <.001). In addition, correlation between health teacher 's servant leadership, student' s self -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 at significance level of .000.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must follow the human resources and policy support for th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the teacher leadership, and the health promotion of the students in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