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권민,박천수,함영일,Kwon, Min,Park, Chun-Soo,Hahm, Young-Il 한국응용곤충학회 199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6 No.2
우리나라에서 감자의 장려품종으로 지정된 7개 품종(남작, 수미, 대지, 세풍, 조풍, 남서, 대서)에 대한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강릉과 대관령 포장에서 살충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기간동안 해충종류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흡즙성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과 감자수염진딧물(Marcrosiphum euphorbiae Thomas)이,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유충이, 땅속으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땅속에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각각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품종별 진딧물 밀도는 대지, 남작, 세풍 품종에서 50엽당 평균 22.7, 30. 7, 32.3 마리로 낮은 반면, 수미와 남서 품종은 46.3와 42.3마리로 높았다. 파밤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엽은 세풍과 조풍 품종이 시험구당 평균 11.0과 14.3엽으로 적었고, 대지와 남서 품종이 153.3과 134.7엽으로 많았다. 정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괴경피해율은 남작, 수미, 대지, 조풍 품종이 8.1, 10.3, 13.9, 14.0%로 낮았으나, 남서와 세풍 품정은 50.5%, 46.8%로 매우 높았다. Occurrence pattern of major insect pests on 7 recommended potato cultivars in Korea was investigated from sowing to harvesting time at Kangneung and Daegwallyung experiment fields in 1996. Green peach aphid (Mym persicae Sulzer), potato aphid (Macrosiphum euphorbiae Thomas)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nigua Hubner) were the major insect pests on potato leaves, and wireworm (Selatosomus puncticollis Mot.) was the major pest on tubers.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of average number of aphids per 50 leaves among cultivars; ranged from 22.7 on cv. Dejima to 46.3 on cv. Superior. Numbers of leaves damaged by beet armyworm larvae on cv. Shepody and cv. Jopung were 11.0 and 14.3, and these cultivars are thought to be resistant against the larvae infestation. However, degree of damage on cv. Dejima and cv. Namsuh was higher 10 times than cv. Shepody and cv. Jopung. In wireworm, the percentage of damaged tubers on cv. Irish Cobbler was lowest of 8.1%, and followed by cv. Superior, cv. Dejima, cv. Jopung, and cv. Atlantic. Whereas, those on cv. Namsuh and cv. Shepody were significantly high of 50.0% and 46.8%.
메타버스의 군 홍보 분야 활용 유형 및 전략 분석 연구 - PC와 Mobile 기반을 중심으로 -
권민,한정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군 홍보 분야에서는 지속 적으로 외부의 공중과 관련 소식들을 모니터링하며 관계를 개선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메타버스의 활용을 통해 홍보 대상이 되는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적인 개념의 범위를 확장하여 소통하며 접근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과 자유권이 실현되기 위한 전제조건이자 국민의 안전권과 국가의 보호 의무에 대한 연장선상의 알 권리로 군 홍보는 기존의 홍보 수단과 매체 및 국군 홍보 환경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군 홍보 분야에서 메타버스의 분류에 따라 활용되는 유형과 해당 되는 홍보 분야의 전략적인 분석 및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연구에 대한 소기의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메타버스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모병, 보훈, 복지, 정훈 분야의 국군 홍보 분야의 활동이 진행된 메타버스로 재분류하여 연구의 범위를 정하였다. 메타버스의 군 홍보 분야 활용 유형과 각각의 모병, 보훈, 복지, 정훈 분야의 활동이 진행되는 사례를 선정하여 해당 메타버스와 PC와 Mobile이 연계된 웹 소셜 환경을 이용한 홍보 전략을 포함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버스의 분류에 따른 군 홍보 분야의 활용 유형과 전략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거울 세계 메타버스는 모병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커뮤니티 사이트를 활용하여 홍보 대상에 관심과 충성도가 높은 커뮤니티 사이트의 구전 효과를 이용하는 전략을 보였다. 가상 세계 메타버스는 보훈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홍보 목적과 의도에 맞는 뉴스와 인터넷 뉴스 지면 지분을 활용하는 전략을 나타내었다. 증강 현실 메타버스는 복지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적극적인 정보 탐색과 사용자를 위한 홍보 대상 행동 동선을 제공하는 VR 체험, 뉴스와 시청각 홍보 자료 시청과 같이 관심 이용자들의 보조적인 정보 이해를 돕는 목적의 시청각 자료 사용하는 전략을 차용하였다. 라이프 로깅 메타버스는 정훈 교육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다수의 이용자 그룹 참여를 도입하여 사전에 체험하고 이용 후 사용자 그룹의 체감적인 인상 부여하는 형태의 전략을 사용하였다. (결론) 홍보하고자 하는 내용과 함께 동시성, 실재감, 연속성, 상호운용성과 같은 메타버스의 특징을 담고 있는 경험이 함께 전달되며, 웹 소셜 기반의 홍보 환경을 기능으로 일방적인 공보 기능에서 활용보다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쌍방향 소통을 제공하는 것에 효과적이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field of military public relation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related news with the external public and improve relationships, so through sought ways to communicate and access the public through the metaverse, which utilizes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space perceived through individuals' diverse experiential perceptions. In addition, as a prerequisite for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the right to freedom, and the right to know as an extension of the people's right to safety and the state's protection obligation, the existing publicity methods, media, and the publicity environment for the armed forces were studied. In this field of military public relations, through strategic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types us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metaverse and the corresponding public relations field, this study seeks to provide the desired direction for research on building and utilizing the metaverse.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was determined by classifying the metaverse by type and reclassifying it into the activities of military recruitment, veterans affairs, welfare, and military education in the field of public relations for the armed forces. Case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type of use of metaverse in the military public relations fiel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the content of activities in the field of public relations, and promotional strategies using the web social environment linked to the metaverse and PC and mobile. (Results) The types and strategies of use in the field of military public relatio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metavers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mirror world metaverse was utilized in the field of military recruitment. By using community sites, a strategy was shown to utilize the word-of-mouth effect of community sites with high interest and loyalty to the promotional target. The virtual world metaverse was used in the field of veterans affairs and represented strategic publicity using news and internet news space that fit the promotional purpose and intention. Augmented reality metaverse is used in the welfare field and is part of promotional activities to help interested users understan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VR experiences that provide a route to users actively seeking additional information, watching news, and watching audio-visual promotional materials. Lifelogging metaverse used a strategy of experimenting in advance by providing flexibility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providing user experience before use. (Conclusions) An experience that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such as simultaneity, presence, continuity, and interoperability, is delivered along with the content to be promoted, and the function of the web social-based public relations environment was effective in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 with positive interaction rather than one-sided public information.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에 의한 감자 품종별 피해도 검정과 저항성 관련요인 분석
권민,박천수,함영일,안용준,Kwon, Min,Park, Cheon-Soo,Hahm, Young-Il,Ahn, Yong-J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9 No.3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유충에 의한 50종 감자(Solanum tuberosum L.) 품종의 피해정도를 검정한 전보의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품종(수미, 조풍, 남작, 대서, 대지, 세풍, 남서, Anco, Bintje, Denali)의 괴경피해율과 피해도를 포장과 실내에서 검정하였다. 또한 품종별 피해도 차이에 대한 원인을 구명하고자 괴경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들(glycoalkaloids, 당, 전분, 전질소, Ca, K, M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10개 품종의 포장 피해괴경율은 19~72%로 높았다. 실내검정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구멍수는 남서 품종에서 많았으나, 수미, 대서, Anco, Bintje, Denali 품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lpha$-tomatine의 활성을 실내에서 검정한 결과, 2,500 ppm 농도에서 어떠한 활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괴경의 glycoalkaloids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수미품종은 18.83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나, 남작 품종은 6.39%로 가장 적었다. 괴경중 화원당과 총당 함량은 남서 품종에서 각각 0.71%와 2.95%였으나, 대지 품종은 0.26%와 1.77%였다. 전분 함량은 대지, 남작, Bintje 품종이 많았던 반면 조풍과 세풍 품종에서는 적었다. 괴경중 전질소, K를 가장 많이 함유한 품종은 Anco 품종이었고, Ca는 대서 품종에 Mg는 조풍 품종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품종별 해충의 피해도와 저항성 관련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는 괴경중 전질소 함량과는 부의 상과(r=-0.71435*)이었으나, 괴경중 총당 함량과는 정의 상관(r=0.78018*)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충종합방제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또한 새로운 내충성 품종의 육성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a previous report, 50 potato cultivars were screened for infestation levels by the coppery click beetle (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in the field. Subsequently, we selected 10 potato cultivars (Anco, Atlantic, Bintje, Dejima, Denali, Jopung, Irish Cobbler, Namsuh, Shepody, and Superior) to evaluate feeding preferences by wireworms, and to analyze some factor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he injury rates and number of holes in potato tubers damaged by larvae of S. puncticollis were checked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dditionally, some of their chemical characters (contents of glycoalkaloids, total-nitrogen, Ca, K, Mg, sugars, and starch) were quantified. And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whether there is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damage level. The tuber injury rates by S. puncticollis larvae were generally high showing 19% to 73% of damage level. The highest number of tuber hole damaged by S. puncticollis larvae was found on cv. Namsuh, but generally fewer on cvs. Anco, Atlantic, Bintje, Denali and Superior. No activities for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nd $\alpha$-tomatine at a concentration of 2,500 ppm were found to S. puncticollis larvae. The contents of glycoalkaloids in tuber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ultivars. In tubers, cv. Superior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18.8 mg%, but cv. Irish Cobbler had the lowest level of 6.39 mg%. Concentrations of reducing sugars and total free sugars in tubers of cv. Namsuh were 0.71 % and 2.95%, but 0.26% and 1.77% in those of cv. Dejima, respectively. For the content of potato starch, cvs. Bintje, Dejima and Irish Cobbler showed higher level, but cvs. Jopung and Shepody lower.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nitrogen, Ca, K and Mg in tuber were found on cvs. Anco, Atlantic, Anco and Jopung, respectively. From correlation analyses, injury rate by S. puncticollis larvae was correlated with total nitrogen content (r = -0.71435*) and total sugar content in tuber (r = 0.78018*). Such information will become essential in develop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s and also in breeding new potato cultivars resistant to the wireworms.
대관령지역의 연도별 진딧물 비래 및 PLRV 보독률 변동
권민,박천수,함영일,이승환,Kwon, Min,Park, Chun-Soo,Ham, Young-Il,Lee, Seung-Hw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1 No.4
본 시험에서는 ´77년에서 2001년까지 대관령지역 비래진딧물의 발생을 조사한 성적을 바탕으로 진딧물의 비래변동을 분석하였고, 2000-2001년간의 비래진딧물의 PLRV 보독률을 구명하여 ´89-´91의 보독률과 대조하였다. 각 연도별 자료는 5년 단위로 묶어서 평균 비래량을 계산하였고, 2000년까지 비래량을 비교하였다. 최초 ´76-´80 시기의 비래량은 평균 575.2마리였으나, ´91-´95에는 2959.4마리, ´96-2000 시기에는 2281.6마리로 비래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91-´95시기에 많은 비래량을 보인 것은 ´94, ´95년에 가뭄이 연속되어서 진딧물의 발생에 좋은 조건을 제공한 것으로 추측된다. 비래진딧물의 비래최성기는 6월 상-중순 사이로 아직까지 연도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지만,비래최성기의 우점종은 연도별로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는 복숭아혹진딧물이 우점 비래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목화진딧물의 비래가 가장 많았다. ´89-´91년에 수행한 PLRV 보독률 조사에서는 비래진딧물의 6.7-10.0%가 PLRV를 가지고 있는 보독진딧물로 밝혀진 바 있다. 그렇지만 2000년, 2001년 조사에서는 각각 10.1%, 11.0%로 조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과거 10년 전보다 진딧물의 비래량이 2배 이상 증가하고 있고 비래 진딧물의 종류도 다양해졌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보독률의 변동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Based on accumulated data during 1977-2001, seasonal fluctuations of migrated aphids at Daegwallyeong highlands were analyzed. In addition, rates of PLRV transmission by migrated aphids were investigated by inoculation on indicator plant, Physazis floridana, and ELISA in 2000-2001, and the change of PLRV transmission rates by aphids was compared with that of 1989-1991. The average migrated aphid population densities in 1976-1980, 1991-1995, and 1996-2000 were 575.2, 2959.4 and 2281.6, respectively, showing gradual increase in recent years. The average peak time of aphid migration was from early to mid June during 1977-2001, showing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the years. The dominant species, however, changed slowly; before mid 1980s M. persicae flied dominantly, but after mid 1980s Aphis gossypii did. Hahm et al. (1991) reported that PLRV transmission rate of migrated aphids during 1989-1991 was 6.7-10.0%. In 2000-2001, however, migrated aphids at Daegwallyeong highland showed 10.1-11.0%. Although present PLRV transmission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10 years ago, taking increased population densities and diversity of migrated aphids into accoun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PLRV transmission rate over the years.
권민,이진화 한국학교보건학회 2017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gender in South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is designed 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tatistics from the 12th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sample comprised 62,5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primarily 12 to 17. Results: The rate of engaging in physical activity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was 39.6% for boys and 28.8% for girls and the rate of suicide ideation was 9.35% for boys and 14.9% for girls. Male students were 1.42 times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when they did not engage in physical activity than when they do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but i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students. Conclusion: Physical activity should be encourag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school health area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are required according to gender.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involving physical activity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for male students and intervention programs centering on obesity and smoking prevention be implemented for female stude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남녀 청소년의 신체활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단면적 조사연구로,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 대상자 62,558명을 이차분석하였다.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x2-tes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일주일에 3회 이상 신체활동을 하는 비율은 남학생은 39.6%, 여학생은 37.2%였고, 자살 생각을 하는 비율은 남학생은 9.5%, 여학생은 14.9%였다. 남학생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 일주일에 3회 이상 신체활동을 하는 경우보다 자살 생각을 1.42배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청소년의 자살 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체육교과 및 학교보건 영역에서 신체활동이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중재가 필요하며 특히 남학생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신체활동 관련 중재, 여학생의 경우 비만 및 흡연 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학교 내 손상에 미치는 영향 요인 : 학교 폭력 경험을 중심으로
권민,남은정,이진화 한국학교보건학회 2020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3 No.3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unintentional injuries at school focusing on violent experiences i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used the raw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9). A total of 60,040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5.0.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school, academic achievement, living with family, socioeconomic status, vigorous physical activity, perceived stress, sleep satisfaction, high caffeine drinking, risky alcohol drinking, smoking, sexual experience, drug use, and safety education, were adjusted f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ntentional injuries and violence was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2.4% of the adolescents had experienced violence and 24.7% had suffered unintentional injuries. Violent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adolescents. Injuries were 1.93 times higher among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Gender, school levels,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stress, sleep satisfaction, high caffeine drinks, dangerous drinking, drug use, and safety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adolescents. Conclusion: Adolescents at high risk of suffering violence and injuries should be identified and assessed preemptive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ystematic school health-centered safety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event violence and injuries.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청소년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의 변화: 2018년과 2020년도 국민건강영양 조사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
권민,이진화,남은정 한국학교보건학회 2022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8 and 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ut of a total of 15,351 participants in the surveys, 971 adolescents aged 12 to 18 years were includ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ao-scott x2 test and t-tes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adolescent metabolic syndrome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changes in high blood pressure were confirmed from waist circumferenc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When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ist circumferenc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boys. Concerning the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 blood pressure in both boys and girls and in abdominal obesity in girls. Conclusion: Hypertension and abdominal obesity, which are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should be managed by including them in the school health area. Communities and schools should take an active role in preparing the youth for healthy adulthood.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로컬 브랜딩 사례 연구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권민,한정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의 역사문화환경 보호제도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화재 반경 500m 이내의 건축물 고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그 초점은 주로 문화재의 물리적 보존에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주민의 생활환경과 지역 발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따라 『역사문화권 정비법』과 『고도육성법』등은 보상 체계를마련하여 지역 주민의 불이익을 보완하려 하고 있으나, 여전히 실효적인 지역 활성화 방안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로컬 브랜딩 전략에 주목하여, 문화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조화롭게 연계하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경제 진흥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화재 원형 보존과 지역 정체성 유지를 위한 국가적 예산 집행과 정책 기조를 바탕으로, 국내 역사 고도 지구인 경주, 부여, 익산, 공주를 사례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지역은 현재 체험 프로그램, 답사, 축제 등 다양한 참여형 콘텐츠를 통해 역사문화자원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로컬 브랜딩 사례 분석 프레임을 설정하여 각 도시의 브랜딩 성과와 지역 활성화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경주는 고유한 도시이미지와 풍부한 문화유산으로 로컬 브랜딩 효과가 가장 높은 도시로 평가되었다. 부여는 2023년부터 로컬 브랜딩 사업을 본격추진하며 관광객 수가 103%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익산은 마한 및 백제 유산을 중심으로 연구와 관광을 연계하여 2024년500만 관광도시 달성이라는 구체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주는 중앙정부의 지원 아래 로컬 크리에이터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브랜드를 형성하고 있으며, 충남 평균 대비 1.6배 높은 개별 방문객 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결론) 역사문화재에 관한 허가에 관하여 위원회 심의를 통과하거나 지역 파급 효과가 높은 자원에 관하여 지역 사회에 부가가치를 고려한 특례 사업을 지정하는 방법모색이 필요하며 전통적인 지역 정체성 확립과 보존의 방향성에서 다양한 접근성과 보다 적극적이고 개선된 형태의 프로그램 개선과 민생 치안을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과 민간의 전문 인력 추가 배치의 확장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확대되고 개선된 참여 범위를 위하여 민간 주도 로컬 플랫폼 운영 지원을 통한 참여와 투자가 요구되며, 이를 사회 경제적인 효과를 지표를통하여 산출할 수 있고 배분할 수 있는 개선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이 단순한 과거의 유산에 그치지 않고, 지역 사회의 브랜드이자 경제 자산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관련 정책의 실질적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Historical-Cultural Environment Protection System restricts the height of buildings within a 500m radius of the cultural property standard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historical-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 refers to the area around the cultural property, and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resident's living environ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bu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 Improvement Act and Development Act supplemented and implemented preparedness measures by introducing an organizational compensation system for residents. Accordingly regarding local branding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e sought ways to protect and utilize the environ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the local economy. (Method) In order to preserve the original form of cultural assets and regional identity while maintaining traditional landscapes, efforts are being made to restore and protect cultural assets by allocating regional budgets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spatial scope was set around Gyeongju, Buyeo, Iksan, and Gongju, which are domestic historic district regions that provide participatory programs such as regional experiences, tours, and events by discover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effect of regional branding was derived through a standard framework for regional branding case analysis. (Results) The city with the highest local branding image was Gyeongju City, and Buyeo City, which is supporting the local branding project for five years from 2023, is seeing a 103% increase in tourists. Iksan City is achieving 5 million tourism cities by 2024 and is producing research achievements on Mahan and Baekje, and Gongju City, which forms a local brand through th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mmunication with local creators, has 1.6 times more individual visitors than the average visit of the entire Chungcheongnam region.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designate special projects that consider added value to the local community by passing committee deliberation on permits for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or by considering resources with high regional ripple effects, and to improve accessibility, more active and improved forms of programs, and approaches to ensure public safety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nd preserving traditional regional identity. In addition to expanding the additional deployment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professionals, participation and investment are required through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private sector-led local platforms for expanded and improve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it is possible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s that can calculate and distribute socio-economic effects through indic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