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ptimization of One-step Extraction and Transesterification Process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the Marine Microalga Nannochloropsis sp. KMMCC 290 Cultivated in a Raceway Pond

        권민희,염승호 한국생물공학회 2015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0 No.2

        Biodiesel production from microalgal biomass by a one-step direct process was investigated, and optimal conditions for this process were determined. The one-step direct process comprises the extraction of lipids from microalgae and the simultaneous transesterification of the unpurified lipids with methanol. The lipid content of Nannochloropsis sp. KMMCC 290, which was cultivated in a raceway pond, was determined to be 16.1% by pretreatment using a bead beater and conventional lipid measurement by the Bligh and Dyer method. Among the combinations of catalysts and organic extraction solvents evaluated, sulfuric acid with chloroform showed the highest lipid extraction efficiency and biodiesel conversion. Contrary to previous reports, the effect of shaking on lipid extraction and biodiesel conversion during biodiesel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 The optimal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were determined to be 70°C and 90 min, respectively.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the biodiesel conversion based on the total lipid content and the convertible lipid content was 84.2 and 96.7%, respectively. The highest biodiesel production was 155.7 mg/g-dry cell.

      • KCI등재

        Biodiesel Production from Wet Marine Microalgae via a One-step Direct Process in the Presence of an Adsorbent

        권민희,염승호 한국생물공학회 2015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0 No.3

        To decrease the cost of biodiesel production from microalgae, biodiesel was produced from wet marine microalgae by a one-step direct process. In this process, simultaneous lipid extraction from the wet microalgae and transesterification of the lipid with methanol was conducted. Among the combinations of catalysts and organic extraction solvents that were evaluated, sulfuric acid and chloroform represented the optimum combination. The degree of water content for wet microalgae significantly influenced biodiesel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348.4% water content in intact wet microalgae, lipid extraction efficiency (LEE) was 73.2% and biodiesel conversion (BC) was 50.5%, but at a lower water content of 185.7%, LEE increased to 84.7% and BC to 69.9%. Increasing the amount of chloroform by 50% relative to the standard amount increased LEE and BC to 81.2 and 56.1%, respectively. Of the adsorbents evaluated, zeolite noticeably increased LEE to 98.7%. Increasing the amount of chloroform by 50% in the presence of zeolite caused a further significant increase in LEE and BC to 98.3 and 75.3%,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iodiesel production from wet microalgae could be enhanced markedly by the addition of adsorbents with increased amounts of organic extraction solvents.

      • Xception 과 영상처리를 이용한 분말 공정에서의 과립 분류 방법

        이현정(Hyeon Jung LEE),조혜연(Hye Yeon JO),양혜린(Hye Rin YANG),정의현(Eui Hyun JUNG)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세라믹 분말 공정 과정에서 과립의 품질은 세라믹 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체 과립에서 비정상 과립의 비율이 높을수록 제품의 품질이 떨어질 확률도 높아진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 공정 전에 전체 과립의 개수에서 비정상 과립의 비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미경으로 촬영한 과립 이미지에서 영상처리를 통해 개별 과립을 검출하고, 딥러닝 모델인 Xception 을 사용하여 과립의 품질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컨설턴트 역량이 기업의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권민희,이상복,유연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11

        경영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기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으며 특히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경영에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막중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경영성과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중요하다. 한편 컨설턴트란 기업과 조직이 당면한 다양한 이슈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의사 결정을 유도하여 경영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체로 정의된다. 컨설턴트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경영적 전문 지식,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통찰력, 리더십 등은 컨설턴트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기간 동안의 계약 유무를 제외하면 최고경영자가 기업의 경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역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최고경영자의 컨설턴트 역량으로서 4가지 변수인 직무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학습역량, 혁신역량으로 구분, 해당 변수가 각각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제조 및 서비스업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기법은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최고경영자의 직무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학습역량, 혁신역량은 각각 기업의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을 컨설턴트 역량과의 공통적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중소기업의 성과를향상할 때 필요한 최고경영자의 역량 특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Phenethyl Isothiocyanate Improves Lipid Metabolism and Inflammation via mTOR/PPARγ/AMPK Signaling in the Adipose Tissue of Obese Mice

        권민희,윤정미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24 No.6

        Obesity is defined as excess adipose mass that causes serious health problems. Phenethyl isothiocyanate (PEITC) is a major and relatively nontoxic compound of the isothiocyanates. Although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EITC is a potent substance with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ctivity, the precise mechanism for the effects of PEITC on inflamm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adipose tissue is not clear. Our study aimed to clarify the effects of PEITC supplements on the adipose tissue in obesity induced with a high-fat/cholesterol die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We induced obesity by feeding the mice with high fat with 1% cholesterol diet (HFCD) for 13 weeks.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diet (CON), HFCD, HFCD with 3 mg/(kg·d) gallic acid (HFCD+G), and HFCD with 30 and 75 mg/(kg·d) PEITC (HFCD+P30 and HFCD+P75, respectively). Using western blotting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nalysis of the adipose tissue, we determined the expression of lipid metabolism-related genes and inflammation-related genes. In the HFCD, the expression level of nuclear factor-κB (NF-κB), lectin-like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1 (LOX-1), and cyclooxygenase-2 (COX-2), was higher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 Moreover, in the HFCD, the expression of p-mechanical targets of the rapamycin (mTOR) was increased, whereas that of p-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 Nevertheless, these decreased expression levels of p-AMPK and increased levels of LOX-1, p-mT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NF-κB, and COX-2, were alleviated by PEITC supplementa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PEITC might be a potential preventive agent for ameliorating obesity-induced inflammation and adipogenesis by modulating the mTOR/AMPK/PPARγ pathway.

      • KCI등재

        국내 성인의 체지방지수 분석

        권민희,한병덕,조성중,조진희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1

        연구배경: 비만의 진단을 위해 WHO는 body mass index (BMI) 값을기준으로 삼는다. BMI는 lean body mass와 fat body mass를 구분하지못하므로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를 통해 percent body fat, fatfree mass, fat mass index (FMI) 등의 값을 이용하여 체지방율을 예측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BMI에근거한 비만의 분류별 FMI 값의 cut-off value를 제시하고 있다. 이번연구를 통해 성별, 연령대별로 FMI 값의 cut off value 값의 분포를살펴보고, 임상적 의의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방법: 2018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전국 7개 건강검진센터의 수진자를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BIA를통한 체성분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진자를 10년 단위로 나누어 20대부터 80대까지 연령별로 구별하여 FMI 값에 대한 분포도를 알아보고, 성별, 연령별로 BMI 기준값에 상응하는 FMI의 cut-off value를 도출하였다. 결과: FMI 분포는 남녀 모두 BMI 기준 정상에서 비만단계까지는평균 FMI 단순평균값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고도비만군에서는연령이 증가할수록 FMI 평균값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BMI에상응하는 FMI cut–off value는 남자에 비해서 여자가 평균값 BMI18.5에 해당하는 값은 남:여(3.2:4.5)로 1.3 높게 측정되었고, BMI 25에 해당하는 값은 남:여(6.1:8)로 여자가 1.9 높게 측정되었다. 비만진단기준에 상응하는 FMI 값은 연령대 증가와 함께 상승하였다. 결론: 비만진단기준인 BMI 25에 해당하는 FMI cut off value가 연령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남자보다 여자에서 그 차이가 더큼을 확인하였다. 연령별로 일률적인 기준값을 적용하는 데는 주의가 필요하며, 연령이 보정된 FMI 값의 적용이 필요하다. Background: Body mass index (BMI), a standard guideline us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o diagnose obesity, has limited ability to differentiatebetween lean body mass and fat body mass.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is commonly used to value body adiposity to calculate percentbody fat, fat free mass, and fat mass index (FMI). Numerous studies have published a population-based cut-off value of FMI corresponding to BMI tobetter assess obesity.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FMI cut-off value that is indicative of obesity and understand any limitations to its clinicalapplication. Methods: From Jan 2017 to Dec 2018, this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618,757 community-dwelling healthy Koreansaged 20 years or older. Body composition parameters were measured using BIA. FMI was calculated for each age group and obesity classificationgroup. Results: The mean reference values of the reference groups were as follows: FMI 6.1 for men and 8 for women for those with BMI >25 and FMI 3.2 formen and 4.5 for women for those with BMI <18.5. When subjects were divided by 10-year age groups, the FMI cut-off value for the diagnosis ofobesity varied and the value increased with aging. Conclusion: FMI reference values varied among age groups. FMI values for women were distributed in a wide range and had larger differences in thesame obesity group. It is essential to apply age-specific FMI reference values to patients to achieve optimum body composition analysis.

      • KCI등재

        교육콘텐츠 특성과 조직 특성이 학습전이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프랜차이즈 기업을 중심으로

        권민희,유연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5

        실제 교육훈련의 실적에 대한 기대가 충족되지 못하며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학습전이모형을 바탕으로 교육콘텐츠 특성 요인과 조직 특성 요인에 따라 학습전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학습전이를 통해 조직효과성인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고찰을 기반으로 이론적 연구 및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교육콘텐츠, 조직특성, 학습전이 및 조직효과성 각각의 요인에 대한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가치, 직무연관성, 조직보상이 학습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 으며 학습전이는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조직몰입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전이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성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연관성을 구체화하고 보 상시스템을 강화해야 조직몰입과 업무성과로 연결되어 기업의 교육훈련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 산업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한계점이 존재하므로 보다 대표성을 지닌 표본 집단을 추출하여 학습전이와 조직효과성에 대한 영향관계 를 세밀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of the need of actual performance of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factors of educational content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which are organizational effects, through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task value, job relevance, and organizational compens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learning transf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perform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transfer of education, when specifying the connection with the actual job and strengthening the compensation system of the members, the learning transfer can be increased and eventually connected to performance. Since limited variables are considered, a more representative sample or professional group should be extracted through future research.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possible to close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ransf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setting representative samples and specifying variables.

      • KCI등재

        교육콘텐츠 특성과 기업 조직특성이 교육전이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프랜차이즈기업 대상의 온-오프라인 교육 훈련에 따른 비교

        권민희,이상복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8

        Education for an organization is implemented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and each individual’s performance. However, the actual results are not as expected. Accordingly, this study is committ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related factors that hav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is defined by the train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Based on the acquired knowledge, we suggest things to consider when designing corporate training for performance creation. First,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task value and job relevance(educational content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support for education within the company(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learning-transfer of trainees. After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from the learning-transfer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analyzed. In this overall process, the effect of on-/off-line education is analyzed and compar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task value, the job relevance, and organizational compens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arning-transfer, and the learning-transfer has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n-/off- education is identified. This study is conducted only with franchise enterprises and as a future study, a more general sampling is required to extend this work. 기업 교육훈련은 조직구성원 및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 시행되나 실제 교육훈련의 성과는 기대한 만큼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 교육성과를 피교육자의 조직몰입도와 업무성과로 정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성과 창출을 위해 기업 교육훈련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것들을 제안한다. 우선 기업 교육훈련에서 제공되는 교육콘텐츠 특성으로서의 과제가치와 직무연관성, 그리고 기업 내 교육훈련에 대한 지원 정도인 조직특성이 피교육자의 교육전이에 영향을 끼치는 지 확인한다. 이후, 교육전이로부터 조직몰입 및 업무성과로의 인과관계를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온/오프라인 교육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여 교육 전달 방법에 따른 효과성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다. 연구결과, 교육의 과제가치, 직무연관성, 조직보상이 교육전이에, 교육전이가 조직몰입 및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오프라인 교육간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하여 표본의 한계가 존재하며, 향후 대표성을 지닌 표본이나 전문직종의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장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