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동물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만족 - 지역별 IPA를 중심으로

        구혜경,최아라,김수연 가정과삶의질학회 2021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Vol.2021 No.10

        1,500만 반려인 시대의 개막과 함께 반려동물 관련 산업의 큰 발전이 전망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반려동물 연관산업의 규모가 오는 2027년까지 6조 원에 달할 것이라 전망하기도 하였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반려동물 양육의 필수 요소로서 동물의료서비스 역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산업이다. 실제 국내 수의업계의 연도별 전체 매출 규모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통계청, 2019). 한편, 의료서비스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특성상 방문을 해야 소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병원의 소재지는 중요한 요소이다. 동물의료서비스 역시 동물병원과 자택의 거리가 동물병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권숙영·조수영, 2016). 2021년 5월 기준 국내 인허가 된 동물병원중 49.1%의 소재지가 수도권인 것으로 나타났는데(행정안전부, 2021) 이는 의원급 이상 전국 의료기관이 수도권에 47% 편중된 것(더팩트, 2017)과 비교하였을 때 근소하게 높은 수치이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동물의료서비스 역시 지역불균형이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이와 관련된 학술적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물의료서비스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동물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을 살펴본 후 지역별 차이를 확인하고 우선 개선 영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의 「2019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를 활용하여 동물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의 데이터를 이용지역(수도권, 5대 광역시, 시군구)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동물의료서비스 시장의 중요도 인식을 살펴보았을 때 가격만족도를 제외한 ‘선택다양성’, ‘비교용이성’, ‘시장신뢰성’, ‘안선성’, ‘전환성’의 중요도에 대해 5대 광역시 소비자가 수도권 및 시군구 소비자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물의료시비스 시장의 성과도에 대해 살펴본 경과 ‘안전성’을 제외한 모든 속성들에서 시군구 소비자의 결과가 수도권 및 5대 광역시 소비자의 평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용 지역별로 동물의료서비스 시장의 IPA(중요도-성과도 분석)를 수행하여 지역별 우선 개선영역을 도출한 결과, 동물의료서비스의 이용 지역별로 우선 개선영역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만족도’는 이용 지역에 관계없이 공통적인 집중 개선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확대되는 반려동물 시장 속에서 소비자학적으로 동물의료서비스를 조망하며 동물의료서비스의 지역차를 실증하였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지역별 우선 개선 영역을 도출하여 동물의료서비스 사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공유가치로서 노인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 탐색 -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구혜경,김정은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과거와 달리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패턴이 다변화되고 있다. 향후 노인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시장의 안정적인 형성을 위해서는 노인 소비자들의 경제적 안정뿐만 아니라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 참여 및 일자리 보급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 창출 이슈를 민간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과 접목 가능한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위해 국내외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추출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이란 Porter and Kramer(2011)가 제안한 개념으로 사회적인 문제나 이슈를 해결하는 것을 통하여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추구, 실현하는 경영전략이다. 이 때 노인의 빈곤 혹은 노인 삶의 질은 사회적 이슈로 볼 수 있으며, 기업들이 노인 이슈에 관심을 기울이고 공유가치창출 전략 수립을 통하여 경제적 가치 실현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인 접근법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근거한 사례분석틀을 도출하고, 사례분석틀에 근거하여 코카콜라, 네슬레, 딜란세이 스트리트, 에울렌, 메트로, CJ제일제당, 유한 킴벌리 등 일곱 개의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 일자리 창출은 민간 기업의 관점에서는 미래 확대될 신시장의 창출 및 대비의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이며, 이를 위해 공유가치로 선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각 기업의 핵심적인 역량과 노인의 역량을 접목시켜야 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및 특성별 직무 요구, 요구와 부합하는 노인 적합 일자리 직종의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사례분석의 함의와 같이 노인 소비자에 대한 지역 기반의 교육 강화 등이 중요한 이슈로 도출되었다. 이는 소비자학의 관점에서 과거와는 다른 노인의 특성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요구하며, 노인 소비자의 증가 및 노인 시장의 확대를 대비한 기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는 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 on the aged. The society has already been aging nowadays. Unlike in the past, today’s seniors have active lifestyle, and various consumption patterns. It is possible to expect market expansion for senior people so that high quality jobs for senior are important issue to prepare effective demand and stable life of senior. To create high quality jobs for senior, government allocate budget and practice senior job creation policies, however, the senior welfare policy related jobs are not able to guarantee senior’s living because of the low level wage. It is possible to solve these problem through the business part. Corporations have to be involv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senior and it will be better way to sustain the company in the future by preparing the senior market expansion. This study suggest the concept of CSV(Creating Shared Value) for business part to participate job creation. CSV is the notion to sustain business in the market, being the strategy for management, and also suggests that the business can pursue both economic benefit and profit through solving social issues and problems. Senior’s stable job issue is suitable to be accepted for business to plan CSV strategy an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seven vdomestic and foreign CSV cases that was related to job creation issues as social problem to be solved. The seven CSV cases are Coca-Cola, Nestle, Delancey Street, Eulen Group, Metro Group, CJ CheilJedang, Yuhan-Kimberly.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se case studi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cases related job creation or reviving local economy focus on supply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recipient competency to be a good workers. Second, in the cases of business part focusing their core ability to manage CSV business, it is possible to meet the economic performance. Third, the clustering based on the local where the business activities are performed to manage CSV is the essential strategy to succeed CSV. Finally, to manage CSV business, the CEO’s leadership and the company’s culture are very important factors. CSV business is concerned with social issues and sometimes the economic benefits are not seen immediately so that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CEO is very important drive to manage CSV.

      • KCI등재

        우리나라 노인 정책 방향 제언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노인 연령규범과 희망활동의 융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구혜경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노인복지법 제5조에 근거하여 3년마다 실시되는 노인실태조사의 2014년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노인을 연령규범 인식에 따라 유형화 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삶의 만족도와 희망활동에 대한 요구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현재의 노인은 과거 20~30년 전의 노인과 건강, 교육수준, 경제수준 등이 더 높으며 과거 노인을 대상으로 수립한 노인 관련 정책들은 이제 사회, 문화, 산업, 복지, 고용, 참여 등 융합적인 관점에서 재논의 되어야 하는 시점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노인은 크게 체념형, 진취형, 체면형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노인의 연령규범 인식에 따른 구분이며, 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 및 희망하는 활동에 대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향후 우리나라 노인 관련 정책은 기존 취약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적 관점만이 아니라, 고용, 사회참여, 생활 만족, 자원봉사 등 다양하고 융합적인 관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노-노 케어 및 친분이 있는 소규모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정책을 접목하는 시도 등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With the result of Korean national senior's real life state survey analysis that is triennially conducted based on Article 5 of Welfare of the Aged Act, this study categorized the senior according to age norm cognition, and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 of each category, and analyzed their needs for life satisfaction and hoping activities. Because the senior at present are on higher level of health, education, and economy than 20 to 30 years ago, it is about time to repeat discussion about the policies established in the past in terms of society, culture, industry, welfare, employment, and participation as a convergence approach. As a result of analysis study, the senior divided into three groups:, resignation type, progressiveness type, and saving appearances type.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and hoping activities by senior segment groups are different. By results of this study, the preservation of income for senior will be needed, and they don't want volunteer activities so that there are another policy system will be needed to vitalize senior's social participation for their healthy physical and mental life. Korean senior were satisfied with family members relationship, -although Korean senior's life satisfaction level is not higher so that the new policy to care senior by senior system will be reviewed more actively.

      • KCI등재
      • 도심활성화를 위한 지역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 연구 - 독일 문화예술교육정책과 전주원도심교육공동체를 중심으로 -

        구혜경 유럽문화예술학회 2014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5 No.1

        The development-focused city planning that came with the rise of industrial society has caused a decline in urban centers (doughnut effectl which has lead to the movement of economic hubs and populations of existing city centers. To overcome this,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have undertaken urban revitalization strategies and are focused on new paradigms for creative urban regeneration. Cities that had been aiming towards globalization are now turning their eyes towards glocalization. Since 2000, in order to tackle the decline of the old city center, Jeonju has undertaken a city development program centered on traditional culture. While the city has taken a step towards glocalization with a policy of culture-based urban revitalization, the results have been purely an economic boost, with little consideration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local NGO organizations have worked to strengthen local communities through School-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this aim in mind, the ’]eonju Old Downtown Education Community' was established. An organic fusion of school-region-administration, the education community is organized with residency in the old downtown as its base,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the local community. It appears that the regional community wiU be revived within the process of combining school education with cultural arts education and reproducing and rediscovering the valu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through educational contents. An advanced example of a school-based cultural arts education that is actively linked with local regions can be seen in Germany' s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y, which includes cultural arts diversity in school education closely linked with local residents. Making this the base of this activity was possible due to the organic linking of various social classes and experts of the region through the forming of a network. 'Jeonju Old Downtown Education Community’, like the case from Germany, draws upon the common issue of region and school, and can contribute great meaning in the aspect of voluntary action by civil leadership. For the sustainable and abundant lives of local residents, local communities should be re、lived along with the regeneration of the old downtown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education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녹색소비 관점에서 수돗물 음용 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구혜경,최아라,강소연,유상화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미래에 지속가능 소비의 주체가 되는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녹색소비 관점에서 수돗물 음용 행동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생 소비자들에게 수돗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지식을 확산시키고, 수돗물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함양하여 수돗물 음용실천을 활성화 한다면 정수기나 먹는 생수를 줄이게 되어 개인적 측면에서의 경제적 혜택뿐만 아니라 물절약 및에너지 절약 등 환경적 혜택 모두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돗물 관련 자료 및 K-water의자료 등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돗물 관련 지식, 태도, 기술 등을 강화하거나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약 45분 수업 분량의 교육콘텐츠를 강의안(PPT 파일 형태)으로 제작하였으며교육 전과 후 소비자역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교육콘텐츠에 대한 검토와 교육 효과에의 영향 요인을 고찰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후 수돗물 음용 관련 소비자역량인 소비자의 객관적 지식, 주관적 지식, 수돗물 음용 태도, 수돗물 음용 기술 등이 모두 향상되어 교육 자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소비자의 수돗물 음용의 중요성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돗물 음용 녹색 소비 태도, 깨끗한 수돗물 음용 노력, 수돗물 관여도 변수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후 수돗물 음용 실천 의사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돗물 긍정 태도, 수돗물 관여도 수준, 깨끗한 수돗물 음용 노력 변수가 긍정적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수돗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 및 수돗물 음용 방법, 신뢰 회복 방안에 대한 구체적자료들을 효율적으로 교육하여 수돗물 음용 인식을 제고할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은 일방적인 정책 홍보보다 직접적인 소비자 교육이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접근은 수돗물 안전, 신뢰 확보를 위한첫걸음으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며 소비자접점에서 수돗물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 태도, 기술 향상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ap water drinking behavior in terms of green consumption of the undergraduates who are the subject of sustainable consumption in the future. If we encourage university students to spread their positive perceptions and knowledge about tap water and cultivate the correct attitude toward tap water to activate tap water drinking practices, water purifiers and bottled water will be reduced, which will not only provide economic benefits in terms of personal benefits, and other environmental benefits. Therefore, in this study, about 45 minutes of instructional content (PPT file format) was produc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view of tap water data and K-water data, which is focused on contents that can enhance or improve positive consumers' knowledge, attitude and skill about tap water. After that, we measured the change of consumer competence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reviewed the content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knowledge, subjective knowledge, tap water drinking attitude, and tap water drinking skill, which are consumer competence related to tap water drinking after education, are all improved.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effect of educational materials. Second, th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ap water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are ‘green consumption attitude of tap water drinking’, ‘effort of drinking clean tap water’ and ‘involvement of tap water’. Third,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practice tap water drinking after education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positive attitude of tap water’, ‘involvement of tap water’, and ‘effort of drinking clean tap water’. This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awareness of tap wat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and that direct consumer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one-sided policy promotion by educating efficiently specific data about the accurate information of tap water, measures of drinking tap water and a way to restore tap water trust. This type of approach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ep for securing tap water safety and trust, a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umers' knowledge, attitude and efforts to improve the skill of drinking tap water at the consumers' touch 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