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와의 관계

        구양희,김희진,원희정,이경희,조윤선,하주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96 이화간호학회지 Vol.- No.29

        청소년 약물남용은 전세계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남용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성장에 장애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각종 사고 및 비행등의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청소년기는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이 시기에 약물을 남용하게 되면 심각한 위기에 처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약물남용 청소년에 대한 간호 적용을 위한 접근이 활발하지 않으므로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남용 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접근을 위하여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자아존중감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약물남용 청소년 집단과 비남용 청소년 집단의 자아존중감 수준을 비교해 보고, 약물별 남용 시기 및 빈도는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해 보았으며 더불어 약물남용 청소년 집단과 비남용 청소년 집단의 건강신념과 관련되는 건강통제위 수준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 4개 고등학교 1·2·3학년 남녀 학생 510명이었다. 약물남용의 기준을 WHO에 의한 정의를 채택하여 1달에 1-2번으로 규정할 때, 146명이 약물남용 청소년으로, 364명이 비남용 청소년으로 구분되었다. 대상 남용 약물로는 각성제, 본드, 부탄가스, 진해거담제, 진통제, 신경안정제, 수면제로 제한하였다(이유림, 1992).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전병재가 Stuart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번역한, 각 5개의 긍정, 부정적 1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척도였다. 건강 통제위 측정 도구는 Wallston에 의한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Frequency, 백분율, t-test, Oneway ANOVA를 사용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물남용 청소년 집단과 비남용 청소년간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남용 청소년의 경우, 약물별 남용 빈도가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해 보았으나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결과로 볼 때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약물남용 빈도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지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개별적인 약물로 해석을 할 때, 진통제를 매일 먹는 청소년의 경우 1달에 1~2번 먹는 청소년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5). 신경안정제의 경우 1주일에 1~2번 사용하는 청소년이 1달에 1~2번 사용하는 청소년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5), 2. 약물남용 청소년 집단과 비남용 청소년 집단의 건강 통제위에서 내적 통제위의 경우 약물남용 청소년이 비남용 청소년보다 점수가 낮았다(P<5). 이 결과 건강 신념에 대한 내적 통제위가 낮은 청소년이 약물남용을 하는 것을 해석할 수 있다. 3. 연구대상자들에게 약물남용과 건강에 관해 관심있는 내용을 질문한 결과 총 대상자의 8.4%가 약물남용의 결과로 신체에 미치는 부작용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내용을 토대로 볼 때, 약물남용 청소년 집단과 비남용 청소년 집단의 자아존중감은 별 차이가 없었으나 약물남용 빈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비교에서 전체적으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개별적인 약물로 해석을 할 때 진통제와 신경안정제의 경우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약물남용 청소년 집단과 비남용 청소년 집단간의 건강 통제위의차이에 대한 조사에서 내적 통제위 점수가 낮은 청소년들이 약물남용을 하는 것을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연구대상이 연구자의 임의 추출로 수집 분석되었으므로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일반 청소년들의 약물남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사를 예방적 차원에서 지식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전문적인 간호학적 측면에서의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만5세 행복반 유아들이 경험하는 미술-놀이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연구

        구양희(Gu, Yang Hee),김고은(Kim, Ko E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0 육아지원연구 Vol.15 No.2

        연구는 유아가 경험하는 미술-놀이의 의미를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A유치원의 만5세 학급인 행복반의 교사이자 연구자(제1저자)가 17명의 유아들이 자유놀이시간 중 행하는 미술-놀이를 관찰하여 현장일지와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이 경험하는 미술-놀이의 의미는 ‘즐거움’으로 통하는 놀이와 미술, 자유와 제한의 공존, 새로움과 인정에 대한 필요, 유아가 초대할 때 의미있어지는 교사의 존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집단미술활동과 유아의 미술-놀이를 분리하여 어느 한 쪽을 강조하기보다는 유아의 미술경험이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실행되도록 돕는 교사의 접근방식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들의 미술-놀이 세계를 이해하고 신뢰하면서 교사의 역할을 유아들과 함께 정립해나가는 교사의 태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meaning of children’s art-play experiences with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that end, the teacher as researcher (first author) collected qualitative data from the participant observation of 17 children’s art activities during their free play time in Haengbok class of A kindergarten in Seoul. Researchers us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analyze the fieldnotes and reflective journals. The research findings include four main themes that account for the meaning of children’s play-art experiences: the pleasure that connects children’s art and play; the coexistence of freedom and limitation; the need for novelty and recognition; children’s invitation that gives meaning to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e need for supporting children’s art experiences through their play instead of having to make a choice in the false binary of a teacher-planned group activity versus child-initiated play.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to understand and trust children’s art-play world and co-construct teachers’ roles with the children.

      • KCI등재

        빠른 심실유도를 이용한 흉부대동맥류의 혈관 내 스텐트 그라프트 치료

        공준혁,구양희,이윤지,허진,김덕실,김성완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6

        Systemic hypotension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facilitate deployment of thoracic stent grafts. Decreasing blood pressure with vasodilating agents further increases cardiac output and, consequently, the cardiac output-mediated windsock effect during deployment. Use of rapid ventricular pacing reduces the windsock effect during stent graft deployment and allows the graft to appose to the aortic wall under zero cardiac output, thus minimizing aortic wall shear stress. In this case we report the use of transvenous rapid ventricular pacing, a safe and reproducible technique to allow precise deployment of a Valiant Captivia stent graft in the distal thoracic arch for a saccular thoracic aneurysm. 전신저혈압은 흉부대동맥질환의 스텐트 그라프트 치료에 전통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혈관확장제를 이용한 혈압강하는 심박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텐트 그라프트의 전개 시 바람자루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빠른 심실유도는 자동제어방식으로 일시적인 심박출량의 정지를 유도하여 심정지 지속시간이 제어 가능하고, 스텐트 그라프트 전개 시 대동맥 손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원에서는 흉부대동맥궁 하방에 발생한 주머니동맥자루 환자에게 빠른 심실유도하에 Valiant Captivia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혈관내 스텐트 그라프트 시술을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Thiopental 마취 흰쥐에서 출혈시 심박수 및 혈압 변이도의 스펙트럼 분석

        김형진,이기흥,홍정길,구양희 대한마취과학회 199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33 No.3

        Background : This study was aim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thiopental anesthesia on circulatory response to hemorrhage in rats by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variability. Methods : Sixtee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350∼475 g were divided into thiopental(50 mg/kg, ip)-anesthetized(T, n=10) and conscious(C, n=6) groups. Hemorrhage was induced with a withdrawal pump from the femoral artery at 3 ml/kg/min for 5 min. Arterial pressure was measured with a pressure transducer connected to the contralateral femoral artery for 5 min before, during and after hemorrhage. The blood pressure signal digitized at 500 Hz through a data acquisition system was analyzed with fast Fourier transform algorithm to yield power spectra of sytolic(SP) and diastolic(DP) blood pressure and instantaneous heart rate(HR). Powers of very low frequency(VLF, 0.02∼0.26 Hz), low frequency(LF, 0.26∼0.75 Hz) and high frequency(HF, 0.75∼5.00 Hz) band were expressed as percent of total power. Results : BefHemorrhage blood pressure was lower in T(113 6/83 6 mmHg) than in C(157 4/101 2) rats, but was not changed by hemorrhage in both groups. Before Hemorrhage HR was lower in T(331 22 beats/min) than in C(378 27) rats. H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412 26 beats/min in C, but was not changed in T during hemorrhage. Total powers of Before Hemorrhage blood pressure and HR variability were lower in T than in C. During hemorrhage, total power of blood pressure variability tended to increase in both groups, and that of D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hemorrhage in T. Total power of H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 but was not changed in T. T rats showed lower LF and higher HF power of blood pressure, and lower VLF and LF and higher HF power of HR than C rats. During hemorrhage,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spectral distribution of HR power, except for a significant increase in LF of HR after hemorrhage in C. Spectral distribution of blood pressure power was not changed by hemorrhage in C. In T rats, VLF of D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HF of DP was decreased during hemorrhage. Conclusions : It suggests that autonomic activity, especially cardiac sympathetic activity is increased in response to hemorrhage in C. Thiopental anesthesia depresses overall autonomic activity, especially sympathetic activity, and vasomotor tone. Hemorrhage under thiopental anesthesia induces depression of baroreceptor reflex activity, while increased levels of vasoconstrictor hormones help to maintain the blood pressure. (Korean J Anesthesiol 1997; 33: 399∼406)

      • SCOPUSKCI등재

        Bioimpedance 를 이용한 척추마취시의 혈 역학적 변화

        김병권,백운이,박진웅,홍정길,구양희 대한마취과학회 1991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4 No.3

        The cardiac output and hemodynamic indices were measured by the bioimpedance method using NCCOM3 in 38 selected spinal anesthetic cases with 0.5% bupivacain. The authors observed MAP, HR, PFI, EDI, CI and SI changes before-and during spinal anesthes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 values for MAP before, 10 minutes and 30 minutes after spinal anesthesia were observed to be 96.18±14.25 and 9.45±14.89 mmHg. These values during spinal anesthesi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value before spinal anesthesia(P$lt;0.01). The mean values for HR before, and 30 minutes after spinal anesthesia were observed to be 71.34±17.25 and 72.39±19,01 beat/min. The value during spinal anesthesi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value before spinal anesthesia(P$lt;0.01). The mean value for PFI before and during spinal anesthesia were observed to be 306.55±75.63 and 285.47±73.60 1/sec/㎡ . The value duing spinal anesthesia was in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value before spinal anestP$lt;0.05). The changes of mean values of EF, EDI and SI were in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mean values for CI before and 30 minutes after spinal anesthesia were observed to be 3.49±1.02 and 3.11±0.86(1/min/m2) The value during spinal anesthesi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value before spinal Anesthesia(P$lt;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