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 간 인식 차이 분석

        구민지,양길석 이중언어학회 2017 이중언어학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language learner and the instructor’s perception about Korean buddy progra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perception and the instructor’s perception as a basic stud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In order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learner’s perception about the program by variables and implemented in-depth analysis using SPSS(23.0) program. Also we analyzed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order to utilize the instructor’s expertise and rich experience for improving the buddy program. As a result of the needs survey for learner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develop a differentiated program according to the learner’s proficiency. Especially, regarding the buddy’s academic background and nationality, both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 do not absolutely require the standard of being a Korean university studen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s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 about the main role of the Korean buddy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These research results implies that it isnecessary to reestablish the buddy’s role and to reorganize the contents of buddy’s activity.

      • KCI등재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구민지,김원경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핵심 기제로서 대면 피드백을 제안하고 실제 학습자의 쓰기 작문을 통해 발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대면 피드백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어교육과 영어교육에서의 피드백과 대면첨삭 이론 및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평가 준거 연구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특정 한국어 교육 기관 초급 수업에서의 쓰기 교육에서 대면 피드백을 실시한학습자 작문과 지면 피드백을 실시한 학습자 작문 결과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대면 피드백의 교육적 효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분석 결과매우 근소한 차이이기는 하지만 대면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 집단의 작문 점수가 높게 나왔다. 본격적인 실험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수치의 단순 비교는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겠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 초기에 쓰기 수준이 더 낮았던 학급이 비교 학급과 유사한 쓰기 수준까지 올라왔음은 주목할 만한 일이며 사례 연구의 측면에서 연구자가 직접 학습자들의 쓰기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던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또한 장기적으로 쓰기 교육을 실시한다면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face to face feedback as the main mechanism of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to apply it on the actual learner’s writing process,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 of operating the face to face feedback on Korean writing education. Accordingly, the face to face feedback was given to 9 learners from beginner’s stage in writing composition. The criteria for the feedback were concentrated mainly on the content, structure, context and language usage in writing. When the collective group of people whom were given face to face feedback and the other set of group with written correction were compared, the result showed slight difference in overall scores, which the face to face feedback group displayed higher scores. Even so,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and not a experimental research. Thus, it can be said that simply comparing the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does not necessarily provide significant meanings. Howev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face to face feedback is expected to bring positive effect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when applied to learner groups carrying out Korean writingcapabilitie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자가 평가 활용 일고찰

        구민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Study on the Use of Self-assessment in Korean EducationMinji Ko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self-assess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 that are used interchangeably in Korean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classification of types, thereby laying the groundwork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S-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As a descriptive review method of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of ‘S-A’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ought, and through this, three elements ‘learning motive,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process’ were derived as the criteria for S-A or the characteristics of S-A. In addition, after classifying the types of S-A into descriptive S-A and scale-type S-A, it is diagrammed that descriptive S-A can be classified as the degree of openness, and scale-type S-A can be roughly divided into self-rating and checklist. In order to introduce the S-A method in earnes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on how effective the S-A type present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 are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so that a more efficient S-A form can be developed. Key Words: Self-assessment, Alternative Assessment, Checklist, Korean Textbook, Self-assessment Type Scheme 한국어교육에서의 자가 평가 활용 일고찰구 민 지*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 혼용되는 자가 평가 관련 용어와 개념을 정립하고 유형 분류의 틀을 설정하여 추후 한국어교육 자가 평가 적용의 확대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문헌 연구의 서술적 고찰 방법으로 한국어교육 영역에서의 ‘자가 평가’ 개념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가 평가 판정 기준 또는 자가 평가의 특질로 ‘학습 동기, 학습 전략, 학습 과정’ 세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자가 평가의 유형을 기술형 자가 평가와 척도형 자가 평가로 대별한 후 기술형 자가 평가는 개방성의 정도로 분류할 수 있고 척도형 자가 평가는 자가 평정과 점검표로 대별할 수 있음을 도식화하였다. 향후 한국어교육계에서 본격적으로 자가 평가 방법을 도입하기 위해 현재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는 자가 평가 유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보다 효율적인 자가 평가 형태가 개발될 수 있어야 하겠다. 핵심어: 자가 평가, 대안적 평가, 점검표, 한국어 교재, 자가 평가 유형 도식 □ 접수일: 2022년 5월 6일, 수정일: 2022년 6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Professor, Catholic Univ. of Korea, Email: koominji72@catholic.ac.kr)

      • KCI등재

        유학생 대상 한국어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사례 연구

        구민지,김원경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utility of storytelling by implementing storytelling methods in a class designed for foreign students and examining their outcomes. In order to establish such a class, certain steps were required. First, students needed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from textbooks selected by an educator. Accordingly, the stories were compiled through analyzing ‘story grammar’.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beginner level had problems with composition structures. However, students in both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were able to share opinions regarding topics on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nature, ultimately suggesting 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In the advanced level, in general, students competently completed tasks concerning sustainable coexistence. Their overall performances were not only persuasive but also creative. This suggests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activities by offering their experiences and knowledge to solve designated problems. Applying general education methods enabled foreign students who were not yet fully accustomed to communicating in Korean to share opinions and extend cogit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 배치 평가 타당도 분석 연구 - 특정 기관의 배치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구민지,박소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6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test used by a University-run Korean language course (henceforth called Institute ‘A’ ) to place students into their appropriate class,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the test,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We assessed A’s placement test contents’ appropriateness by examining A’s teaching goals, textbooks and placement test. We also assessed its face validity by conducting a survey among the test ta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placement test significantly lacks in its contents validity and also requires additional support in its face validity. For the contents validity, we recommend that A develop a placement test which reflects its teaching goals and material. And for the face validity, A should first make sure the students understand the overall purpose of the test, and run the testing considering their situation and requests. 이 연구는 특정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이하 A기관)에서 사용되는 배치 평가 도구의 문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A기관 배치 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실제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는 배치 평가 도구의 문항 전체를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해 보고자 기관의 교육 목표와 실제 교과 내용과 평가 내용을 교차 검토해 보았으며 안면 타당도를 검증해 보고자 배치 평가의 수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A기관의 배치 평가 도구는 내용 타당도 측면에서 상당한 결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면 타당도 측면에서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제대로 반영한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안면 타당도 제고를 위해서는 수험자에게 평가의 목적을 주지시키고 수험자의 입장과 요구를 고려하여 평가를 운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

        구민지,이수진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A total of 403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CI-RS(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Revised Short version), AEQ-K(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Korean), DTS (Distress Tolerance Scale) and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harm avoidanc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and negatively related with distress toleranc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was successively mediated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stress tolerance. That is, the motiv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may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nd the distress tolerance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rapeutic intervention of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위험회피 기질을 가진 대학생들이 우울에 취약하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그 과정에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이 매개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40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TCI-RS, AEQ-K, DTS, CES-D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고통 감내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은 위험회피 기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질적 특성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