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거시환경요인과 복합제품시스템의 기술진화: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곽기호,김원준,김민기,조창연,Kwak, Kiho,Kim, Wonjoon,Kim, Minki,Cho, Chang Yeo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5 No.2

        복합제품시스템이란 고도의 엔지니어링과 설계 기술이 집약되어 있는 복잡한 시스템 형태의 제품으로 국가 경제 발전 및 에너지, 교통, 통신 등 사회 인프라 구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합제품시스템의 기술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주체의 기술진보 노력을 넘어서 복합제품시스템을 둘러싼 거시환경요인이 기술진화에 미친 영향을 복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 사례를 중심으로 복합제품시스템 기술진화에 대한 정책, 경제, 그리고 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종단적으로 서술하였다. 인터뷰에 기반한 1차 자료와 다양한 참고 문헌에 기반한 2차 자료를 복합적으로 활용한 결과, 원전 기술의 진화는 "원자력의 평화적 활용을 위한 응용연구"(1950년대~1960년대), "원자력 발전 시장 확산 - 1차 르네상스"(1970년대), "원자력 발전 안전성 제고와 후발국의 추격"(1980년대~2000년대 후반), 그리고 "원자력 발전 시장 2차 르네상스를 위한 안전성의 최우선화와 차세대 원자로 기술 개발"(2010년대 후반~현재)의 4단계에 걸쳐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단계별 기술진화에 있어 각국의 에너지 정책과 원자력 발전 연구개발 투자와 같은 정책적 요인, 경기 사이클에 의한 전력 수요의 변화, 전력원 간 경쟁과 같은 경제적 요인, 그리고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등의 사회적 요인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본 사례 연구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복합제품시스템의 기술진화를 고찰할 수 있는 이론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복합제품시스템을 육성하고자 하는 국가들은 기술개발 투자와 노력뿐 아니라 정책과 경제, 사회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를 기술진화에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Complex product systems (CoPs) is a engineering-intensive products with high-ended design technology, which are closely linked with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social infrastructures. According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CoP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acro-environmental drivers surrounding the CoPs and their impact on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the CoPS.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icy, economic and social drivers on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CoPS by implementing the longitudinal case study on nuclear power plant during the periods between 1950 and 2010s.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sources of secondary data and primary data through interviews, we found that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nuclear power plant is progressed as "Phase 1: Application research for peaceful utilization of nuclear energy" between 1950s and 1960s, "Phase 2: The first renaissance of nuclear energy" during 1970s, "Phase 3: Enhancement of safety and the catch-up of latecomers in nuclear energy" between 1990s and 2000s, and "Phase 4: Top prioritization of safety and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reactors for the second renaissance of nuclear energy" since 2010s. We also found that various kinds of policy, economic and social drivers, such as energy policy, investment in technology development, economic growth and energy demand, social acceptability and environmental concern, have affected the technology evolution of nuclear power plant at each phase. We emphasize the role of macroenvironmental drivers in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CoPS. We also suggest that countries that endeavor to develop CoPs need to utilize those driver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sustaining leadership.

      • KCI등재

        복합제품시스템 기업의 개방형 혁신 : 반도체 노광장비 기업 ASML 사례를 중심으로

        곽기호,장대근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5

        Complex product systems (CoPS) are high-value, software (SW) intensive, and customized capital goods, systems, networks, and infrastruc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1) complex interfaces and interactions among components, (2) extensive and sophisticated coordination among firms for optimization in performance at system-level, and (3) oligopolistic market structure, it is critical for system companies of CoPS to develop distinctive capabilities and strategies for collaborative innovation with components suppliers. However, we know little about it beyond what we can add insights from anecdotal evidence or inference from the findings on mass-produced goods. Accordingly, we conduct a case study on ASML in the Lithography Equipment Industry with a purposive sampling methodology and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 “How do the system companies implement open innovation strategies to develop CoPS successfully?” We found that three capabilities and strategies, i.e., (1) supply chain platform with geographic proximity, (2) SW-based system integration capabilities, and (3) ‘Value-Sourcing’ strategy to reduce transaction cost of component suppliers, resulted in the successful open innovation and market performance of ASML We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open innovation phenomenon by providing new evidence on CoPS and drawing on a transaction cost perspective. 복합제품시스템이란 계층화되어 있는 다양한 부품·서브시스템이 긴밀히 통합되어 기능을 구현하는 대형 시스템 형태의 제품이다. 이러한 복합제품시스템은 대량생산제품에 비해 (1) 구성 부품·서브시스템 수가 훨씬 많고, 시스템 수준에서 최적화된 성능을 요구하는 점, (2) 공급사 간 및 시스템 기업·공급사 간 광범위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조정이 필수라는 점, 동시에 (3) 소수의 시스템 기업에 의한 과점 시장 구조라는 점에서 시스템 기업에게 부품·서브시스템 기업과의 개방형 혁신을 위한 협력에서 차별화된 역량과 전략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본연구는 “복합제품시스템 기업은 어떻게 개방형 혁신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는가?”라는 연구문제에 천착하여 반도체 노광장비 분야 1위 기업인 네덜란드 ASML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ASML은 (1) 지리적으로 근접한 협력 파트너와의 공급사슬 플랫폼 구축, (2) SW 기반의 시스템 통합 역량, (3) 공급사 거래비용감소를 위한 Value Sourcing 전략을 통해 성공적인 개방형 혁신을 수행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량생산제품 중심의 개방형 혁신 논의를 복합제품시스템으로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거래비용 관점에서 개방형 혁신의 성공 조건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서비스업에 대한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제도 운영이 중소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

        곽기호 한국혁신학회 2019 한국혁신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ignation of SMEs-suitable industry policy on SMEs performance in service sectors, which consists of 12 sub-se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sales, profitability, and indigenous R&D efforts. With the difference- in-differences approach, we find that some of the sub-sectors, such as voluntary chain(sales growth), retail sale of books, retail sale of bicycle, and renting and leasing of motor vehicles, enjoy the benefit of the designation policy in terms of sales or profitability. However, we do not fi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and the R&D efforts and other sub-sectors, like beverage retail sale though vending machine, maintenance and repair of cars, and voluntary chain(profitability fall) show present a decrease in sales or profitability from the designation policy.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commencement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effect of the designation policy with the disaggregated level of analysis, i.e, sub-sector level. Our findings also imply that policy makers should utilize more resources in development of sectoral-specific policy for its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romotion of SMEs’ own innovation efforts in each sector. 대기업의 사업 활동에 대한 규제를 통해 중소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제도가 2012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서비스업 또한 2013년부터 해당 제도의시행되고 있으나, 본 제도의 효과에 대한 논의는 극히 미미하다. 이에 천착하여 본 연구는이중차분모형을 사용하여 지정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의 매출, 수익성 및 혁신활동에 대한 본 제도의 영향을 12개 세부업종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제도는 서적 및 잡지류소매업, 자전거 소매업, 보험대차 서비스업, 임의가맹형 체인사업(매출 증가) 등 일부 세부업종에 한해 매출 증가 또는 수익성 제고에 기여하였으며, 혁신 활동 개선에는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료 자판기 운영업, 자동차 전문수리업, 임의가맹형체인사업(수익성 감소) 등의 세부업종에서는 대기업 규제의 어려움, 중소기업⋅소상공인간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매출 또는 수익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업에 대한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 제도의 실효성을 논의한 최초의 연구로서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발견하였다. 더불어 중소기업의 자체혁신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 기술현황분석 - 기계산업 R&D 스톡 국제 비교와 시사점

        곽기호,김재윤,Gwak, Gi-Ho,Kim, Jae-Yun 재료연구소 2011 機械와 材料 Vol.23 No.3

        R&D 투자 스톡은 요소 투입 주도의 산업 경제 성장에서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의한 기술혁신 주도의 성장으로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로, 그간 학계에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국내 최초로 기계산업의 R&D 투자 스톡을 주요국과 비교 분석하고, R&D 투자 스톡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계산업의 R&D 투자 스톡은 2008년 현재 약 44.6억 달러로 추계되어 기계산업 수출 상위 10대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미국, 독일, 일본 등 기계산업 세계 수출 시장 상위 3개국과의 R&D 투자 스톡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산업의 R&D 투자 스톡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계분야의 국가 R&D 사업 확대와 함께, 보유 기술 및 특허의 활용 촉진 지원 R&D 시차를 단축하기 위한 시제품 테스트 베드 구축 및 관련 제도 개선을 제시하였다.

      •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곽기호,박주형,오승훈,이운규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5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해 국가 및 산업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정부가 설립하고 운영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으로 196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 이후 2017년 현재까지 50년에 걸쳐 총 25개의 기관이 설립되어 운영 중에 있다. 설립 목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출연(연)은 연구개발 성과를 활용하여 기술이전 · 지원을 통한 기업체 경영 성과 달성, 전문 연구 인력 배출, 정부 정책 수립 및 지원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등의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해왔다.. 그러나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논의는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기계분야 K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출을 위한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의 틀은 크게 출연(연)의 연구개발성과가 이전 · 확산되는 산업의 경제적 성장에 대한 기관의 기여도를 산출하는 ‘하향식 접근’과 기술이전 · 지원, 전문 연구 인력 배출 등 기관의 연구개발 활동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더하는 ‘상향식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하향식 접근’과 ‘상향식 접근’의 활용은 두 방식을 통해 산출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출연(연) 연구개발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가 다양한 출연(연)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동차 아키텍처의 모듈화: 승용차 사례를 중심으로

        곽기호,Kwak, Kiho 기술경영경제학회 2019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7 No.2

        승용차의 아키텍처는 어떻게 진화해왔는가? 그간 승용차 아키텍처에 대한 논의는 통합형, 모듈형, 그리고 두 유형의 공존 등이 혼재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무역 자료를 활용하여 제품의 중층 구조를 반영한 모듈화의 진전 측정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아키텍처 유형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여 승용차 아키텍처의 모듈화 진행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승용차 아키텍처는 지난 2000년 이후 모듈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모듈화 진행은 구성 모듈 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듈 중에는 프론트-엔드, 운전석 및 시트 모듈의 모듈화 진행이 뚜렷함을 확인된 반면, 차체 도어 천장 모듈은 소비자 니즈 충족을 위한 외부 디자인 차별화 및 완성차와 모듈업체 간 상호 조율강화로 인해 모듈화가 더디게 진행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샤시, 엔진, 그리고 트랜스미션 모듈로 구성된 플랫폼은 모델 다양화, 생산 원가 절감, 신제품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한 완성차 업계의 지속적인 노력에 따라 모듈화가 지속 진전됨을 확인하였다. 플랫폼 구성 모듈 중에서는 트랜스미션의 모듈화 진전이 가장 두드러진 반면 샤시와 엔진 모듈은 완성차 업체의 자체 혁신 노력으로 인해 비교적 통합형 아키텍처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품 아키텍처의 모듈화를 계량적으로 측정, 그 진행을 종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시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모듈 별 상이한 모듈화 진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관련 연구의 분석 수준의 세분화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승용차 산업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는 아키텍처 모듈화 진전 현상을 규명함으로써 완성차 업체 뿐 아니라 모듈 업체의 아키텍처 선택과 그에 따른 전략 수립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다양한 제조업과 그 제품의 모듈화 진전을 규명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How has the passenger car's architecture evolved? In the meantime, the discussions on the car architecture have been mixed, i.e., integral, modular, and the coexistence of two typ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two indices can measure the degree of modularization of passenger car and its all modules using global trade data. By applying the indices to the framework of architecture positioning that reflect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product, we examined that the degree of modularization of the passenger car architecture has been enhanced. Meanwhile, the degree of modularization differs across the modules that make up the car. Specifically, we observed the higher degree of modularization in front-end, cockpit and seat modules. Whereas, we found that body module had a relatively low degree of modularization. In particular, we observed that the platform of passenger car has notably modularized due to carmakers' efforts to achieve model diversification and reduction of cost and period in new product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Interestingly, we showed that three modules, i.e., engine, chassis (relatively less modularized), and transmission (relatively highly modularized), had a different level of modularization, even if they commonly make up the platform. We contribute to the suggestion for analytical approaches that examine the degree of modularization and its progress longitudinally. In addition, we propose the necessity of decomposition of a system into elements in a study of product architecture, considering the possibly distinctive progress of modularization across the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