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사이버보안기본법 제정 의의 및 시사점

        곽관훈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9 IT와 법 연구 Vol.0 No.18

        In recent year, cyber attacks that target to national infrastructure be a frequent occurrence. The response system is needed all over the country. It is necessary to protect cyber terrorism, because n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financial institutions and other major Internet-based infrastructure has been operating In Japa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re working together to prevent cyber terrorism. Based on the IT Law,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the National Information Security Center (NISC) in April 2005 in the Cabinet Office. I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Regulations on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ecurity Center' based on Article 12 of Cabinet Office Organization Order. NISC was responsible for planning and drafting the basic strategy for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uniform and transversal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the private sector. In May 2005,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nference was established in the Strategic Headquarters of the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the unified and cross- Improving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of critical infrastructure operators, and strengthening coping capabilities against cyber attacks. Subsequently Japan enacted the Cyber Security Act in 2014, Japa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yber security and enacted a basic law to build a more systematic cyber security system, prior to the 2020 Olympic Games in Tokyo. Japan is establishing a system to establish and enforce cyber security policies at the government level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Cyber Security Act. In the following, we will examine the progress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cyber security in Japan and the main content and meaning of the recently enacted 'Cyber Security Act'.

      • KCI등재

        현물배당의 활용 가능성 및 한계와 개선방안

        곽관훈 한국상사법학회 2014 商事法硏究 Vol.33 No.1

        A company may pay dividends within the limit of the value of net assets stated on the balance sheets after deducting ①The amount of capital, ② The total amount of the capital reserve and the earned surplus reserve accumulated until the pertinent period for the settlement of accounts of the company, ③The amount to be accumulated for the pertinent period for the settlement of accounts of the company and ④Unrealized profits determined by Presidential Decree. Under the Commercial Code amended in 2011, A company may determine in its articles of incorporation that it may pay dividends with assets other than money. In Commercial Code amended in 2011, the dividend in kind was introduced for the varieties of the company's financial management. And a company make use of the dividend in kind for actual corporate division(spin-off) by establishing a new subsidiary and by distributing the subsidiary’s shares to parent company's shareholders, that is to say the dividend in kind. However after the amendment of Commercial Code, the dividend in kind has been achieved only one cas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dividend in kind in aspect of a corporate restructuring and a financial management. And then, I would try to examine the Japan's Corporate Act and the Corporate Tax Act. We has much to learn from Japan's case. In Japan, it was introduced eligible dividend in kind by amending the Corporate Tax Act.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improvement to vitalize the use of dividend in kind for corporate restructuring and corporate’s financial management.

      • KCI등재

        신인관계(fiduciary relationship)의 유형에 따른 신인의무(fiduciary duty) 구체화 방안

        곽관훈 한국경제법학회 2018 경제법연구 Vol.17 No.1

        The fiduciary duty generally refers to the obligation of a person entrusted with the management of another person’s property to act rationally and thoughtfully for the maximum benefit of the entrant or beneficiary. It has developed mainly from the viewpoint of obligations to the trustee who manages and manages the property of others according to the trust contract, but the content of the duty is diversified as various types of new relationship are emerged gradually. However, in reality, it is not clear what kind of new obligation is imposed according to individual fiduciary relationship. In the case of Korea, most of them are judged new duty in individual relations on the basis of fiduciary duty in civil law. Therefore, there is no clear referenc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iduciary relationship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how a person who takes responsibility for a fiduciary duty fulfills his or her obligations. This uncertainty can not only undermine the actions of a mandate such as a director of a corporation, but also cause unnecessary disputes and increase social costs. Institutional investors can also make decisions that take into account political uncertainty rather than fiduciary duty to avoid risks associated with uncertaint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sent specific criteria for fiduciary duty in advance. In addition, these criteria should b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taking into account fiduciary relationships 신인의무는 일반적으로 ‘타인재산에 대한 관리운용을 위탁받은 수임인이 위탁자 또는 수익자의 최대이익을 위해 합리적이고 사려 깊게 행동해야 할 의무’를 말한다. 주로 신탁계약에 따라 타인의 재산을 관리운용하는 수임인에 대한 의무라는 관점에서 발전하였으나, 점차 다양한 신인관계의 유형이 등장함에 따라 그 의무의 내용도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개별 신인관계에 따라 어떠한 신인의무가 부과되는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부분 민법상 선관주의의무를 기초로 하여 개별관계에서 신인의무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개별 신인관계의 특성을 고려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신인의무를 부담하는 수임인이 자신이 어떻게 해야 의무를 다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알기 어렵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주식회사 이사와 같은 수임자의 행위를 위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분쟁을 유발하여 사회적인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관투자자의 경우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을 피하기 위해, 또는 그러한 불확실성을 이용하여 신인의무가 아닌 정치적인 입장을 고려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인의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사전에 제시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기준은 개별 신인관계를 고려하여 그 관계에 적합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이사의 신임의무는 주로 사후적으로 이사의 책임여부를 판단할 때 고려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사전에 책임이 면책되는 기준을 제시하고, 그 기준을 충족할 경우 신인의무를 다한 것으로 한다면 수임인에게 예측가능성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기관투자자의 신인의무는 책임문제와 직접적 관련성이 없고, 장래 수익을 예측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경우에는 법률로 면책기준을 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자의적인 판단을 배제할 수 있는 자산운용 및 의결권행사에 관한 기준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행 스튜어드십 코드의 경우 그러한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분명히 있으나, 문제점 또한 적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단계판매에 대한 규제환경의 변화와 후원수당 지급기준 변경절차

        곽관훈 한국기업법학회 2019 企業法硏究 Vol.33 No.3

        Payment of bonuses allowances is an essential element of multi-level marketing. Therefore, Rigorous procedures required for amendment of Guidelines for Calculation and Payment of Bonuses. In ACT ON DOOR-TO-DOOR SALES, ETC, No multi-level marketer shall calculate or pay a bonus contrary to the guidelines of which a multi-level marketing business entity has notified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s with respect to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bonuses and shall discriminate against a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 by any other wrongful means. And, a multi-level marketing business entity shall establish objective and clear guidelines for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bonuses and shall comply with the procedur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in amending guidelines for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bonuses. When it is intended to amend guidelines for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bonuses, each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 or door-to-door salesperson under sponsorship shall be notified of the amended guidelines, grounds for amendment, and the date when amended guidelines are applied, along with current guidelines for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bonuses, by no later than three month prior to the date when amended guidelines are applied: Provided, That the guidelines for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bonuses may be amended immediately if the amendment is beneficial to all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s or door-to-door salespersons under sponsorship or if all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s or door-to-door salespersons under sponsorship consent thereto. However, 27 years after the enactment of the law,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multi-level marketing has changed significantly. In this regard, the regulatory issue of payment of bonuses also needs to be reviewed. In addition to the protection of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payment of bonuses in terms of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multi-level marketing. In other words, guidelines for calculation and payment of bonuses in multi-level marketing is part of the marketing strategy of multi-level marketing business entity, and the guidelines should be changed in a timely manner through deregulation. 후원수당의 지급여부는 다단계판매의 본질적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후원수당의 지급기준을 변경하는 경우 엄격한 절차가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방문판매법은 후원수당의 산정 및 지급기준의 변경이 일부에게 불리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 판매원 전원의 동의를 받거나 3개월 이전에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제20조 제2항 및 동 시행령 제28조). 이처럼 후원수당 변경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지는 것은 다단계판매업자가 고지한 후원수당이 기준과 다르게 산정 및 지급되거나, 다단계판매원을 부당하게 차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제20조). 그러나 후원수당 지급변경절차를 엄격하게 규제함에 따라 판매업자가 판매원들에게 이익이 되는 인센티브 부여도 제한된다는 점에서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후원수당 지급기준 변경과 관련하여 논란이 발생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다단계판매를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에 있다고 생각된다. 다단계판매 방식은 소비자가 상품이 준비된 상점을 찾아서 구매하는 전통적인 판매방식과는 다른 특수한 판매방식이었다. 따라서 기존 판매방식과 다르게 특수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법 제정 이후 27년이 지난 오늘날 다단계판매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많이 변화하였다. 현재 다단계판매시장은 세계 3위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다단계판매원으로 종사하고 있는 국민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후원수당에 대한 규제문제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다단계판매원의 입장에서는 후원수당이 부당하게 차별적으로 지급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다단계판매업자 입장에서 후원수당은 “매출신장을 위하여 마련할 수 있는 초보적인 동기부여장치”로서 의미가 있다는 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다단계판매원의 보호뿐만 아니라 다단계판매업자의 경쟁력제고와 이를 통한 다단계판매산업의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후원수당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즉, 후원수당 지급기준은 다단계판매업자의 마케팅전략의 일환이며, 시의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신정부의 경제·산업정책 실현을 위한 법적 과제

        곽관훈 한국법제연구원 2022 법제연구 Vol.- No.63

        The new government cites the decline in corporate autonomy due to excessive regulation and government intervention as one of the key reasons for the recent economic downturn. In other words, in order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it is suggested that private sector-centered economic growth is necessary through minimizing government intervention and expanding corporate autonomy. For private sector-led economic growth, corporate autonomy must be secured through deregulation. This does not imply an unconditional abolition of regulation. Transition to an efficient regulatory system that guarantees corporate autonomy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regulations, amendments to the Company Act and the Fair Trade Act are required. Instead of regulating all companies equally, it is necessary to ensure flexible regulation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panie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companies. It is not to support all companies, but to provide necessary support to companies that fall into the necessary fields from the national economic point of view.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measures to recognize Middle-Standing Enterprises as economic agents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breaking away from the dichotomous mindse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large corporations. In order to support Middle-Standing Enterprises, it is necessary to review support measures for promoting regularization of the Medium-standing Enterprise Act and revitalizing capital procurement through the capital market. 2022년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서 향후 5년간의 국정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국정과제가 발표되었다. 신정부는 최근 우리 경제가 위축된 중요 이유 중 하나로 과도한 규제 및 정부개입으로 기업의 자율성이 위축되었다는 점을 꼽고 있다. 즉,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정부 간섭의 최소화 및 기업의 자율성을 확대를 통한 민간중심의 경제성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국정과제를 발표하였다. 민간중심의 경제성장을 위해 전제되어야 할 점은 우선 기업의 자율성 확보를 규제완화이다. 무조건적인 규제폐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효율적인 규제체제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에 관한 기본법인 회사법 및 공정거래법 등의 개정이 필요하다.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일률적인 규제는 지향하고, 개별 기업의 특성에 맞는 유연한 규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모든 기업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경제적 측면에서 필요한 분야에 해당하는 기업들에게 필요한 지원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스톱 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중소기업과 대기업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중견기업을 경제주체로 인정하고 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중견기업은 중소기업이나 대기업과 다른 차원에서 국가경제에 필요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을 위해서는 중견기업법의 상시화 추진 및 자본시장을 통한 자본조달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기업 내부통보자 보호제도의 도입필요성 검토 : 일본의 공익통보자보호법을 중심으로

        곽관훈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가천법학 Vol.4 No.1

        내부통제시스템은 개별 기업이 자신에게 적합한 규제체계를 마련하여 업무처리 과정에서 법률위반행위를 예방하는 것으로서 기업의 자발적 준수를 유인할 수 있는 규제체제이며, 아울러 개별기업에 적합한 규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내부통제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한다면 기업 내부에서 법률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는 행위는 물론, 개인이나 조직적 부정행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구성원들 간에 문제발생 가능성 및 발생된 문제에 대해 자발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늘날 기업운영은 매우 복잡화하고 전문화함에 따라 외부에서 기업내부의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실제로 대규모 기업비리의 발견은 외부자가 발견한 경우는 거의 없으며 기업내부에서 기업의 부정행위를 외부에 알리는 내부고발자(whistleblower)에 의해 외부에 알려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내부고발자를 보호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내부통제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기능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일본의 경우 오래 전부터 내부통제시스템의 구축에 주목하여 왔다. 그 결과 2006년 신회사법에서는 모든 주식회사의 이사에 대해 내부통제시스템 구축을 의무화하였다.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물론 리스크 관리나 효율적 직무집행체제의 구축 등을 위해서는 기업내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담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문제되는 행위를 지적하거나 알리는 행위로 인해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없어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일본 회사법상의 내부통제시스템과 공익통보자보호법상 내부통보제도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호 보완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Administrative authorities have prepared variety administrative regulations for achievement the goal of acts and overcoming problems of an enterprise's unlawful act. However It is ineffective to deterrence role to an enterprise's unlawful act, because corporation have been observed the regulations on it's own intiative. Internal control system lead that corporation observe law on it's own hook. In other words, internal control system is the paradiam shift of regulations on corporations.Internal control system is broadly defined as a process, effected by an entity's board of directors, management and other personnel, designed to provide reasonable assurance regarding the achievement of objectives in the following categories: (1)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operations. (2) Relia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3)Compliance with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Internal control can help an entity achieve its performance and profitability targets, and prevent loss of resources.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whistleblower who voluntarily provide the Corporation and the third party whit original information about a violation of the national laws that leads to the successful enforcement of a covered judicial or administrative action, or related ac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n this article, with these issues in mind, I would like to explore necessity of protecting the whistleblower. And then, I would t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istleblower protecting program and the internal control system.

      • KCI등재

        연기금의 공공성과 기관투자자로서의 수탁자책임

        곽관훈 한국법제연구원 2007 법제연구 Vol.- No.32

        The past decade has witnessed extraordinary growth in the assets held by institutional investors, specially pension funds. The trustee of public pension fund have a fiduciary duty to act as if it were making investment decisions for itself. Ordinarily, this means that the fiduciary considers only economic criteria in order to maximize returns and increase the fund's total asserts. If the fund manager chooses to engage in '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by contrast, the manager considers noneconomic criteria in making investment choices. 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vary in their investment objectives and in their means of pursuing these objectives. Individuals have different views as to which types of investment are beneficial to society, and this is reflected, to a limited extent, in the variety of socially responsible funds available in the market. In recent year, consumers, stockholders and the broader civil society are more aware of harmful business practices and have come to exact high standards from corporations and to insist that goods be produced not only efficiently but also ethically. Positive attention of consumers and investors increases market opportunities and yields direct economic benefits. In general, corporations strive to make profits and increase the value of their shareholders' investments. However, there is a growing view among investment professionals that environmental, social and corporate governance issues can affect the performance portfolios. In this article , I would like to explore relationship of public Character and the Fiduciary duty of pension funds.

      • KCI등재후보

        일본의 정보통신기반보호제도의 현황 및 시사점

        곽관훈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2 IT와 법 연구 Vol.0 No.6

        It is necessary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itizen's lives and the enhancement welfare by facilitation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of peopl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and developing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an utiliz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in a sounder and safe way. In Japan, the use of technology to deliver improved public services has adapted and developed in a way that could never have been foreseen in the mid-1990s. The Japan's IT Strategy supports that the strategy will enable delivery of pan-government objectives, while maintaining local control over delivery and personalisation for services that are unique to those organizations. Although the level of Information Technology(IT) and usage has already followed the advanced country's level, it still requires that the legislative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An effective IT Security System also needs to be established. With this motivation as a foundation, this study will analyze the our Law about prot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seek ways to improve the Acts.

      • KCI등재후보

        기업규제의 패러다임전환과 내부통제시스템

        곽관훈 한국경제법학회 2009 경제법연구 Vol.8 No.1

        The aim of regulations on the corporation in the present day is deterrence role to an enterprise's unlawful act and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If the enterprise don't fulfill his duties, administrative authorities can't achieve the goal of acts. Administrative authorities have prepared variety administrative regulations for achievement the goal of acts and overcoming problems of an enterprise's unlawful act. However It is ineffective to deterrence role to an enterprise's unlawful act, because corporation have been observed the regulations on it's own intiative. Internal control system lead that corporation observe law on it's own hook. In other words, internal control system is the paradiam shift of regulations on corporations. Internal control system is broadly defined as a process, effected by an entity's board of directors, management and other personnel, designed to provide reasonable assurance regarding the achievement of objectives in the following categories: (1)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operations. (2) Relia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3)Compliance with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Internal control can help an entity achieve its performance and profitability targets, and prevent loss of resources. It can help ensure reliable financial reporting. And it can help ensure that the enterprise complies with laws and regulations, avoiding damage to its reputation and other consequences. Internal control system have been consituted by soft law, self regulation and principles-based regulation,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activat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기업규제의 조직적 측면의 규제와 행위적 측면의 규제로 나눌 수 있으며, 양자는 공통적으로 법률위반행위나 부정행위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우리 법은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기업의 위반행위에 대해 엄격하게 처벌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부정행위가 효과적으로 억지되고 있지 않으며, 보다 근본적인 개선방안으로서 규제패러다임 자체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기업에 대한 효율적인 규제는 (ⅰ) 자발적 준수를 이끌어낼 수 있는 규제, (ⅱ) 개별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규제, (ⅲ) 부정행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규제 및 (ⅳ) 더 나아가 기업의 CSR경영을 유도할 수 있는 규제이어야 한다. 이에 적합한 규제패러다임이 바로 내부통제시스템이다. 내부통제시스템은 법에서 기본적인 원칙을 정해놓고, 구체적인 기준은 기업현실에 맞도록 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에 적합한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게 된다. 아울러 기업의 현실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자율규제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개별기업에 가장 적합한 규제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자발적 준수를 이끌어내고 사전에 위법행위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규제패러다임으로서 의미를 갖고 있다. 내부통제시스템이 새로운 규제패러다임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그 법적효과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 내부통제시스템의 그 법적효과를 명확히 함으로써 기업 스스로가 내부통제시스템을 갖추고자 노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제도의 설계에 있어서도 법에서 기본원칙만 정하고 구체적인 사항은 소프트로의 형태로 정하는 등 단계별 규제를 통하여 개별 기업에게 적합한 규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개별 기업 및 시장의 상황을 가장 잘 아는 자율규제기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