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기범의 중화기술과 재범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

        공정식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20 경찰학논총 Vol.15 No.1

        본 연구는 사기범의 중화기술유형과 재범 간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으로 사기범을 선택한 이유는 다양한 범죄유형 중에서 우리나라가 OECD에서 사기범죄 발생률 1위라는 점을 감안하였고, 자료수집은 설문조사방식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분석하였다. 선행연구결과, 범죄유형별로 중화기술유형의 차이유무에 대한 논란이 있으나, 최근 국내외 연구들은 범죄유형별로 중화기술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는 연구들이 많다. 이에 사기범들의 중화기술유형도 다른 범죄들과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사기범들의 중화기술, 자존감, 재범 간의 연관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단일변수로 통합된 중화기술과 재범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사기범의 중화기술 유형 중에서 ‘비난자 비난’과 ‘상위가치호소’가 재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먼저 ‘비난자 비난’과 재범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는 정(+)적으로 나타났고, ‘상위가치호소’와 재범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는 부(-)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사기범들이 ‘비난자 비난’을 많이 할수록 자존감이 높아지고 재범은 감소한다는 것이며, 사기범들이 ‘상위가치호소’를 많이 할수록 자존감이 낮아지고 재범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화기술 유형에 따라 재범에 미치는 자존감의 조절효과는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결론을 보면, 사기범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예방이나 교화대책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자존감향상을 위한 개입은 중화기술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서 과거에 중화기술 유형은 재범증가의 요인으로만 일관되게 취급되어 왔으나, 자존감이 개입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재범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새로운 중화기술유형의 등장, 시대변화에 맞는 중화기술유형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udster's neutralization type and the recidivism. The research specially limited fraudster as a research object since Korea has the highest incidence of fraud in the OECD.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was statistically analyzed. While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controversy over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neutralization by crime type, recent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rgue that the difference exists. Thu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raudster’s form of neutralization technique would be different from other crimes.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raudster’s type of neutralization technique, self-esteem and recidivis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tralization and recidivism, integrated as a single variable. Second,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raudster’s neutralization types, ‘condemnation of the condemners’ and ‘appeal to higher loyalties’ affected the recidivism: specific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emnation of the condemners’ and recidivism was positiv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l to higher loyalties’ and recidivism was negative, with both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 more the fraudsters present ‘condemnation of the condemners’, the higher their self-esteem and lower the number of recidivism, while the more the fraudsters showed ‘appeal to higher loyalties’, the lower their self-esteem and higher the recidivism rate. In other word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recidivism depends on the type of neutralization technique. In conclusion, for programs aimed at preventing crimes against fraudster or for correction programs, it will be effective to organize the intervention to improve self-esteem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neutralization technique. Furthermore, in the past, the type of neutralization technique has only been consistently treated as a factor of increasing recidivism, but given that heightening the self-esteem may rather reduce recidivism, the emergence of new neutralization technique and a reinterpretation of neutralization technique types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are likely to be necessary.

      • KCI등재

        범죄의 사회적 비용추정 연구의 동향 및 연구 방향에 관한 고찰

        공정식,권준성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20 경찰학논총 Vol.15 No.3

        Estimating the social cost of crime is an effective way to set the direction and goals of criminal policy for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However, whereas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ocial cost of crime in Korea since 2010,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overseas studies, including the expansion of various methodologies, the segmentation of criminal types, and the emergence of new crimes Thus, this study reviewed and check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rime cost-related study conducted so far, and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domestic research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overall trends in international crime cost research and the latest research. First of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cost research of domestic crime through two representative studies dealing with the social cost of crime in Korea, the two studies differed in the statistical data taken as a basis, and the classification of crime types, methodologies, and estimate of costs were all different, making it difficult to discuss the integrated result, so Relevant discussions and further analysis are needed. Next, a review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methodologies on the social costs of crime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national databases, and that research methods such as prior research data and payment approach, interview, QALY approach, and jury awards data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research. Finally, an analysis of the latest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social cost of crim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the recent study estimated the cost of crime through more advanced analysis, including the segmentation of existing items and the addition of new types of crime, reflecting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Finally, an analysis of the latest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social cost of crim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the recent study estimated the cost of crime through more advanced analysis, including the segmentation of existing items and the addition of new types of crime, reflecting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ybercrime, which is a type of crime representing modern crime, although the method of measurement has not yet been clearly established and only partial measurement has been made, but the cost of the crime has been found to be considerable. These new types of crimes are likely to be a factor in the high social cost of future crimes due to their diversity and spread, so preemptive preparations are needed.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is, it is deemed that relate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promptly and constantly. 범죄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는 것은 범죄 예방과 대응, 그리고 형사정책의 방향성과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2010년 이후 국내에서는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국외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론의 확장 및 범죄유형의 세분화, 신종범죄의 등장 등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의 범죄비용 관련 연구를 검토하여 그 현황을 확인하였고, 국제적 범죄비용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며, 최신 연구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연구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우선, 국내에서 범죄의 사회적 비용을 다룬 대표적인 두 연구를 통해 국내 범죄의 사회적 비용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두 연구는 기준으로 삼은 통계자료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범죄유형 분류와 방법론, 소요비용추정 등이 모두 차이를 보여 통합적인 결과 논의가 어려운 형태였으므로, 이에 관한 논의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국제적 연구 추이와 방법론을 검토한 결과, 대다수의 연구는 국가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확인되며, 선행연구와 지불의사접근법, 인터뷰, QALY 접근법, 배상금 데이터 등의 연구 방법이 연구목적과 방향에 따라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국외의 최신 연구를 이전의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최근 연구에서는 사회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기존 항목을 세분화하고 새롭게 등장한 범죄유형을 추가하는 등 보다 발전된 분석 양상을 통해 범죄비용을 추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현대 범죄를 대표하는 범죄유형인 사이버범죄의 경우 아직 그 측정방식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부분적인 측정만이 이루어졌음에도 범죄의 소요 비용이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신종유형 범죄들은 그 다양성과 확산성으로 인해 향후 범죄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들이 신속하고 꾸준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공단의 사업지원이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정식,이현미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18 법무보호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출소자에 대한 법무보호복지서비스가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970 년대 갱생보호에 실패한 미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출소자에 대한 공단의 사업지원의 성과를 검토해보는 것은 매 우 의미가 있다 법무보호복지서비스는 . 재범방지라는 형사정책 이전에 출소자들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복귀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 결국 출소자와 피해자 그 리고 그 가족들이 원래대로 회복해가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 연구 결과 출 소자들에게 가장 만족도가 높은 사업은 ‘가족희망사업지원’이었고 그 다음은 ‘수용자 가족지원사업 으로 주로 ’ ,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업에 대하여 출소자들의 만족도가 높 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 . 2 보호대상자들은 복합적으로 종류 이상의 사업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지어 , 공단에서 제공하는 모든 사업의 혜택을 받은 보호대상자들 도 일부 있었다 회귀분석 . , , 결과 공단에서 제공하는 각종 사업 중에서 주거지원 가 족희망사업지원 사회성향상교육이 , 지역사회적응에 유효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 10%정도로 낮은 편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legal protection welfare service on the community adaptation of the released prisoners. Based on the U.S. experience of failing to protect rehabilitation in the 1970s, it is very meaningful to look at the performance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s support for the currently released prisoners in Korea. The legal protection welfare service should precede the successful return of prisoners to society before the criminal policy of anti-recidivism, which can also be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the recovery of prisoners,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shows that the most satisfactory project for the released prisoners was 'Family Hope Center Support', followed by 'Prisoner Family Support Project', which shows that the released prison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projects aimed at the family. Most of the released prisoners were found to receive more than two types of business support, and even some benefited from all projects provided by the agency.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ng various projects provided by the agency, housing assistance, family hope center support, and social improvement education had an valid effect on community adaptation, but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low since these explained the effect around 10%

      • KCI등재

        출소자의 직무만족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공정식,권준성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this study aims to analyze causality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vocational adaptation of ex-prisoners through empirical study and to verify the moderated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job str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job satisfaction have a static effect on Vocational Adjustment and the self-esteem have a mediated effect in this process. also, the indirect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vocational adaptation by self-esteem are moderated by job stress. advanced researchs study that job-related emotions affect vocational adaptation and maintenance, but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vocational adaptation is not dealt with in depth, and what factors actually moderate this process is not explored in detail. also, becausea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to the job of ex-prisoner, this study carried out full-fledged exploration and verification of it. 본 연구는 구금 생활을 마치고 사회로 복귀한 출소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직장 내에서 느끼는 직무에 대한 만족이 그들의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그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사회·환경적 적응의 주요 심리요인으로 작용하는 자존감의 매개 효과와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함께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출소자의 직무만족은 직업적응에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자존감이 매개하여 부분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간접효과를 직무스트레스가 조절하여 부적인 조절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에 대한 만족을 통해 얻어지는 출소자의 주요한 심리적 요인인 자존감이 직업유지와 적응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직무스트레스가 이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기존 연구들의 경우 직무 관련 정서들이 개인의 어떤 심리적 요인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인지, 그리고 무엇이 이를 조절할 수 있는지와 같은 종합적 연구는 미진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출소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본격적인 탐색과 검증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