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전 준비가 없는 자유 말하기 불안과 언어 수행 양상 상관관계 연구

        공영옥 ( Lingyu Ko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3 한국어와 문화 Vol.33 No.-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전 준비가 없는 말하기 불안과 언어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중국인 학습자가 말하기를 하기 전부터 불안을 느꼈고, 말하기를 하는 동안 생각이 혼란스럽고 뒤죽박죽이 되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정확한 말들을 차분하게 찾기가 어렵다는 걱정에서 초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말하기에서 복잡성 1은 복잡성 2, 정확성 및 유창성 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잡성 2는 정확성, 유창성 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확성은 유창성 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유창성 2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유창성 1은 유창성 2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비대면 수업에서 사전 준비가 없는 자유 말하기를 수행할 때 학습자들이 언어 자료에 산출한 복잡성 1은 복잡성 2와, 정확성, 유창성 1, 복잡성 2는 정확성과, 정확성은 유창성 1과, 유창성 2, 유창성 1은 유창성 2와 관련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세 번째, 말하기 불안은 복잡성 1, 복잡성 2, 정확성 및 유창성 2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창성 1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학습자가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자유 말하기를 수행할 때 말하기 불안이 높으면 발화 시간당 유의미한 음절을 적게 산출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비대면 수업에서 90% 이상의 학습자들이 불안감을 느낀다는 것을 밝히고, 말하기 불안과 유창성 간의 부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본 논문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더욱 깊이 있는 연구를 많이 진행하여 언어 수행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발굴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n speech anxiety and language performance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out prior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was caused by the worry that he felt anxious even before he spoke for the first time, and that his thoughts became confused and jumbled while he was speaking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calmly find the correct words to express his thoughts. In the second speaking, complexity 1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plexity 2, accuracy and fluency 1. Complexity 2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curacy and fluency 1. Accura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luency 1, but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luency 2. Fluency 1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luency 2. In other words, when performing free speech without prior prepar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complexity 1 calculated by learners in language materials is complexity 2, accuracy, fluency 1, complexity 2 is accuracy, accuracy is fluency 1, fluency 2, fluency 1 can be said to be related to fluency 2. Third, speaking anxiety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plexity 1, complexity 2, accuracy and fluency 2, bu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luency 1. In other words, when learners perform free speech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f their speaking anxiety is high, they produce fewer meaningful syllables per utterance time.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at more than 90% of learners feel anxious in non-face-to-face classes and confirms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anxiety and fluency.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interest in speak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will increase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this thesis and conducting more in-depth research to discover factors that affect language performance.

      • SCOPUSKCI등재

        고추가 백서의 간 마이크로좀 Cytochrome P<sub>450</sub>에 미치는 영향

        공영옥(Young Ok Kong),김창수(Chang Soo Kim),김낙두(Nak Doo Kim),조윤성(Yun Sung Chough) 한국생약학회 1979 생약학회지 Vol.10 No.1

        The investigation is involved with the effect of Capsicum component on the drug metabolism.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psicum component on, in vivo, drug metabolism in rat, Capsicum acetone extract was given intraperitoneally to mice or rats. The duration of loss of righting reflex was determined as hexobarbital sleeping time in mice. Plasma hexobarbital concentration was also measured by Brodie`s method. The rats were pretreated with Capsicum extract acutely or chronically. As the results, hexobarbital sleeping time and plasma hexobarbital concentration were increased by 31.2% and 12.3% in acute study, whereas were decreased by 27.5% and 23.0% in chronic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if there were any influences on enzyme activities in rats pretreated with Capsicum extract chronically. Microsomal fraction was isolated from rat liver and quantity of cytochrome P_(450) and b_5 in the microsomal fraction were determined by Omura`s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quantity of cytochome P_(450) was increased by 22.4%. The results suggest that microsomal drug metabolizing enzyme may be induced by chronic administration of Capsicum component, whereas it may be inhibited by acute administration of Capsicum component.

      •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적 접근 가능성 탐색

        공영,정선영,유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고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세 영역인 환경, 사회, 경제를 유아기의 특성에 적합하게 교육내용과 방법을 통합적으로 적용 가능한지 탐색하고자 한다. 최근 UNESCO에서 지구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파괴와 지구온난화현상, 문화적 갈등과 폭력, 자원고갈과 빈부격차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여 그 해결책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제안하였다(UNESCO, 2012). 또한 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유아기부터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상에서의 영역 간 상호연관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만 3-5세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환경, 사회, 경제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3). 하지만 대부분의 활동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 단위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교육의 내용과 방법적 측면의 재고가 요구된다. 그에 따른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면, 내용적 측면에서는 유아기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환경, 사회, 경제에 대한 생활주제를 추가하고, 세 가지 영역을 통합한 주제별 활동에 누리과정 5개영역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생활주제 개발 및 확대가 요구된다. 방법적 측면에서는 활동영역의 통합적 접근, 즉 이야기나누기, 게임, 요리활동 등 2∼3가지 영역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교수학습 자료로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인터넷 등 정보와 미디어의 발달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다양한 자료 활용이 적용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하면, 유아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주제 및 영역 간 통합적 접근을 통해 교육내용과 방법을 재구성한다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보다 새롭고 역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틀을 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류에게 행복한 삶의 미래사회를 보장할 것이다.

      • KCI등재

        위만주국시기 양산정과 안수길 소설의 주제의식 비교 연구

        이용근,공영옥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4 No.-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e Thematic consciousness and causes of the two writers’ perceptions of Pseudo Manchukuo during the Pseudo Manchukuo period (the period of residence in Pseudo Manchukuo) in Liang Shan-ding, who led the Literary circles in the enemy occupied areas in Northeast China, and Ahn soo-kil, who led the Manchuria Korean literature. First of all, I examined the situation of the Chinese literary world and the Korean literary world that the two writers were in the first and examined the Thematic consciousness characteristics of the two artist novels. Liang Shan-ding insisted on ‘local literature’ against the transplant literature demand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practiced in creation with five years of argument with the ‘Yiwenzhipai(艺文志派)’. During this period, the theme of Liang Shan-ding novels changed from criticizing the Chinese Ethnicity, exposing the ruling crimes of the puppet Manchukuo authorities, indirectly exposing the realistic critical theme of Japanese imperialist aggression to the rebellious theme of the public reminding the peasants to organize armed resistance against the rule of the puppet Manchukuo authorities. Ahn soo-kil launched the ‘Beixiang Association’ Literature with Korean Literature and sought to connect the genealogy of Korean Literature in Gando. Ahn Soo-gil’s novel showed a pattern of transforming from a reality-critical theme criticizing Manchuria’s dark social image and the national character of Koreans to a reality-friendly theme that appeal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nation with the “Hometown in the north spirit” and “rejuvenate” as the people of Pseudo Manchukuo. Liang Shan-ding and Ahn soo-kil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pay attention to the hardships of the lower class, criticize the ethnicity of each nation, criticize and expose the dark social situation, but the way they express conflict with Japan, the way they leave, and the attitude taken on the national policy of Pseudo Manchukuo.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two writers’ novels are different because first of all, the historical reality facing the native Chinese of Manchuria and the immigrant Koreans is different, and then the creative career of the two writers and the situation of the literary world are different. 본 논문은 위만주국이라는 특수한 시ㆍ공간적 현장에 몸담고 왕성한 창작으로 동북윤함구문단(東北淪陷區文壇)을 이끈 양산정과 재만 조선인 문단을 이끈 안수길의 위만주국시기(위만주국 ‘경내’ 거주 시기)에 창작한 소설을 대상으로 두 작가 소설의 주제적 특성을 살펴보고 주제의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그 심층적 원인을 고찰하였다. 양산정은 일제가 요구하는 이식문학에 맞서 ‘향토문학’을 주장하고 ‘예문지파’와의 5년간의 논전을 펼치면서 창작에 실천하였다. 이 시기 양산정 소설은 중국인의 국민성을 비판하고 위만주국 당국의 통치 죄행을 폭로하며 우회적으로 일제의 침략을 고발하는 등 현실비판적 주제에서 농민무장을 결성하여 일제와 위만주국 당국의 통치에 반항할 것을 은밀히 전달하는 현실반항적 주제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였다. 안수길은 이주복, 강경애 등 재만 조선문인들과 〈북향회〉를 발족하여 간도에서 조선문학의 계보를 잇고자 하였다. 안수길의 소설은 만주의 어두운 사회상과 조선인의 국민성을 비판하는 현실비판적 주제에서 ‘북향정신’으로 민족의 정체성을 수립하고 위만주국의 국민으로 ‘재생’하기를 호소하는 현실순응적 주제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였다. 양산정과 안수길은 하층민의 수난에 주목하여 각기 민족의 민족성을 비판하고 어두운 사회상을 비판ㆍ폭로하는 면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일제와의 갈등을 표현하는 방식, 하층민의 출로, 위만주국의 국책에 취한 태도가 서로 다르다. 두 작가 소설의 주제적 특성이 이러한 차이점이 보이게 되는 원인은 우선, 만주의 원주민인 중국인과 이주민인 조선인은 당면한 역사적 현실이 다르고 따라서 문인들의 과제도 다르며, 다음으로 두 작가의 창작 경력과 몸담은 문단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