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갑상선 유두암의 외과적 절제술 이후 발생한 후유증에 대한 면역요법을 병행한 한방 치험 3례

        고은비,장권준,양정민,오재성,Ko, Eun-Bi,Jang, Kwon-Jun,Yang, Jung-min,Oh, Jae-su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21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42 No.5

        Objectives: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a combination of Korean medicine and immunotherapy on three papillary thyroid cancer patients following thyroidectomy. Methods: The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ectomy received Korean medical treatments, including acupuncture, moxibustion, pharmacopuncture, and immunotherapy. To evaluate the patients,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and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Scale (KPS). Blood tests, including thyroid function tests, were conducted during treatment. Results: After treatment, postoperative pain and general weakness were gradually alleviated. Conclusions: These cases provide evidence that treatment with a combination of Korean medicine and immunotherapy can have substantial benefits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llowing thyroidectomy.

      • KCI등재

        컨슈머 마케팅전략을 위한 PI(Product Identity) 정립에 관한 연구

        고은비(Ko, Eun Bi),윤종영(Yoon, Jong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핵가족화가 정착되고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로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새로운 소비 계층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은 대형가구보다는 소형가구를 구매하고 대형가전제품보다는 더 작은 소형가전제품을 구매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로 가전제품 시장의 판도가 바뀌었다. 이 변화의 중심에 있는 집단이 바로 ‘여성 포미족’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새로운 소비 계층의 등장으로 변화된 소비시장은 기존의 시장과는 다르므로 이에 새로운 시장에 적합한 가전제품만의 PI(Product Identity)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연구되었다. 새로운 시장에 적합한 PI(Product Identity)를 제시하고자, 소비자 행동, 심리 등을 참고할 수 있는 국내학위논문과 전문매체를 참고하여 여성 포미족의 구매동기 및 소비 심리를 분석하였다. 문헌 이외에도 실질적으로 여성 포미족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설문지를 직접 제작하여 포미족의 범위에 속해있는 20대,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여성 포미족’은 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장을 선호하였고 그에 따라 제품을 선택할 때 마케팅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개인별로 제품의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대부분 군더더기 없이 심플하며, 무채색의 컬러를 갖고 있는 제품들을 선호하였다. 새로운 소비계층이 등장한 만큼 기업은 포미족의 구매과정과 그 심리에 집중하여 그들에게 알맞은 제품을 공급하고 동시에 효과적으로 홍보하여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 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떠오른 ‘여성 포미족’을 대상으로 기업이 적합한 소형가전제품을 개발하여 소비시장에 공급하고 또 소비자 포미족도 만족시킬 수 있을 제품의 PI(Product Identity)와 하나의 디자인방법을 제시한다. As the nuclear family has established, such social change has resulted in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 and new consumer class. These people are likely to purchase small space furniture and smaller and slimmer home appliance, rather than large furniture and home appliance and these changes have changed the landscape of appliance market. The group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is the ‘For-Me Class’ wome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new class has come and the changed consumption market is different with previous market, it’s required to come up with PI(Product Identity) suitable for new market. To suggest the PI(Product Identity) suitable for new market, the purchase motivation and consumer sentiment of For-Me Class wome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upon domestic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Also,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For-Me Class’ women, the questionnaire was made to acquire information on For-Me Class’s women in their 20s and 30s living and conduct on, off-line survey.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For-Me Class’ preferred easy-to-approach market and was influenced by marketing when choosing products. Furthermore,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preference in product design by individuals but most of them preferred simple and achromatic-colored product. As the new consumption class has appeared, the company is required to focus on the For-Me Class’s purchasing process and their psychology in order to supply appropriate products and effectively promote products and induce them to purchase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PI(Product Identity) and design method in which enterprises develop appropriate small-sized home appliances to supply to the market and satisfy new consumers ‘For-Me Class’ women.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문ㆍ이과별 교육투자 비교 분석

        고은비(Ko, Eunbi),송헌재(Song, Heonjae) 한국노동연구원 2022 노동정책연구 Vol.22 No.1

        일반계 고등학교의 문 · 이과 계열별 특성은 대학전공 선택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노동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선택하는 문 · 이과 계열별 특성 중 교육투자에 초점을 두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과생이 문과생 대비 연간 약 214만원의 사교육비를 더 투자하며 일주일에 6시간 정도를 더 자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의 문 ·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도입으로 명시적인 계열 구분은 사라졌지만 대학입시에서의 필요에 따라 암묵적으로는 여전히 계열이 구분되는 현재, 문 · 이과 계열 간에 격차가 발생하는 근본적 원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 in high school like educational investments can affect the selection of college majors and the results of CSAT, which in turn can affect the labor market. In this paper, we compare educational investments betwee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 in high school. We find that natural sciences students invest about 2.14 million KRW more in private education per year and spent more time on self-study than students who choose liberal arts. Although the explicit division of disciplines has disappeared, the disciplines are still implicitly divided due to the need for CSAT. Therefor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the root cause of the gap between liberal arts students and natural sciences students.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의 외과적 수술 이후 발생한 후유증에 대한 한방치험 1례

        고은비 ( Eun-bi Ko ),장권준 ( Kwon-jun Jang ),윤민지 ( Min-ji Yoon ),이지윤 ( Ji-yoon Lee ),양정민 ( Jung-min Yang ),오재성 ( Jae-sung Oh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21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3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on endometrial cancer patient after laparotomy. Methods: The patient with endometrial cancer who underwent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 Bilateral Salpingo Oophorectomy (BSO), Bilater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BPLND) was treated by Korean medicine such as herbal medicine, acupuncture, moxibustion. To evaluate the patient, symptoms were measured by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Blood tests including cancer biomarker were conducted during treatment. Results: After treatment, postoperative pain and general weakness were gradually relieved. Conclusions: This case provides us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have substantial benefit 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laparotomy.

      • 개인 피부 특성, 라이프스타일, 유전자 데이터 기반 진단 알고리즘 개발

        고은비 ( Eunbi Ko ),( Kyoungmin Cho ),( Ji Hye Kim ),( Hyun-jung Shin ),( Byung-fhy Suh ),( Hye One Kim ),( Taeyoung Park ) 한국피부장벽학회 2023 한국피부장벽학회지 Vol.25 No.2

        Customers have used various skin care and functional cosmetics to prevent their skin aging as well as improve current condition of the skin. It is important to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ir skin to select optimized skin care solu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 lifestyle, and innate genes on the current skin condition. For this purpose, degree of hydration, sebum, wrinkles, melanin, dullness and redness in a highly controlled condition were collected in conjunction with a questionnaire survey analyzing their lifestyles and genetic data from about 3000 women. We classified participants based on the types of skin, using 6 kinds of index representing skin properties, questionnaire survey on lifestyle and genetic data with Gaussian Mixture Model and Decision Tree for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ivide the skin of Korean women into 12 clusters according to wrinkles, melanin, redness, dullness and oil/moisture balance with Gaussian Mixture Model. Also, we were able to identify a pattern in which each factor was correlated. Next, we tried to discover factors for predicting skin condition chang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lifestyle, climate/environment, and innate genes that affect the current skin condition.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future skin condition using big data and AI technology. This knowledge will enable us to provide more proactive and personalized solutions not only for cosmetics but also for life care such as lifestyle, eating habits, and environmental response.

      • KCI등재

        대학특성화사업 효과 분석

        고은비(Eunbi Ko),김진영(Jinyeong Kim),송헌재(Heonjae Song)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21 재정학연구 Vol.14 No.1

        대학특성화사업(University for Creative Korea)은 대학이 지역사회의 수요에 기반을 둔 비교우위 분야를 특성화함으로써 대학의 창의적 인재 육성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과 동반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 중 하나이다. 2014년부터 시행되었던 대학특성화사업에는 연간 최소 약 1,700억 원에서 최대 약 2,500억 원이 투입되어 5년간 총 1조 1,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교육부가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사업을 재구조화함에 따라 대학특성화사업은 종료되었으나 유사한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많은 예산이 계속해서 투입되고 있기 때문에 사업의 성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사업의 성과는 사업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 대학의 역량 강화, 특성화 관련 학과의 재학생충원율과 입학성적 변화 등의 지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8년까지 5년간 시행되었던 대학특성화사업의 성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정량평가에 초점을 두고 대학특성화사업에 참여한 학과의 신입생충원율과 입학경쟁률, 취업률 등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학알리미에서 제공하는 대학공시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및 학과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특성화사업은 사업에 참여한 학과의 입학경쟁률과 신입생충원율을 높이고,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춘 것으로 나타나 수험생의 대학-학과에 대한 인식, 재학생의 학과에 대한 만족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률의 경우 사업에 참여한 학과에서 비참여학과에 비해 낮게 나타나 졸업생에 대한 성과지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특성화사업은 2018년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으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사한 대학재정지원사업이 진행될 시 각 대학에서는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의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CK-University for Creative Korea- project is a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 by Ministry of Education that supports the university’s ability to foster creative talents and the co-growth of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In the CK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in 2014 and ended in 2018, a total of KRW 1.1 trillion has been invested over 5 years, with a minimum of KRW 170 billion and a maximum of KRW 250 billion per year.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tructured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universities, the CK project was terminated. But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outcome of the project because a large amount of budget continues to be invested in simila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can be measured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indicators such as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the strengthening of the university’s ability, and the change in admission rate and admission grade, etc. This study focuses 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how achievements of the CK project were observed, and analyses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rate of levy with new students and the admission rate of new students, and employment rate of department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Looking at each indicators, we find that the CK projec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levy new students, the admission rate of new students, and dropout rate. It is also found that the CK projec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rate.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K projec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aminees’ perception of college-department and enroll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 but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for graduates. Based on these results, when simila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are carried out in the future, each university will need to set a project goa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nd design an appropriate program to achieve the goal.

      • KCI등재

        대학교수의 여성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고은비 ( Eunbi Ko ),김진영 ( Jin Yeong Kim ),송헌재 ( Heonjae Song ) 한국노동경제학회 2020 勞動經濟論集 Vol.43 No.1

        롤모델 효과에 따라 여성 교수의 존재는 여학생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남학생이 많은 ‘남초학과’로 전공을 선택하거나, 대학원으로의 진학을 결정하는 데 여성 교수의 존재가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다만 학부 입학, 박사과정 학생의 성취도 등과 관련하여 교수의 성별이 여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있으나 교수의 성비에 따른 여학생 취업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실제로 여성 교원의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 교수의 존재가 여성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알리미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합동회귀모형 추정에서는 전임교원 중 여성의 비율이 1%포인트 증가하면 여학생의 취업률이 0.102%포인트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학과의 고정효과를 고려한 분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성 교원의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을 전공계열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아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생의 취업률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 외에 관측되지 않는 개인의 성향, 능력, 가정환경 등 여러 기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본 연구의 추정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여학생 취업에 있어서 여성 교수의 롤모델 효과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According to the role model effect, gender of facul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employmen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female faculties on female college students’ employment in Korea. The fixed effect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female faculty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students’ employment rate, although the 1%p increase of female faculty appears to be related with the employment rate of female students by 0.102%p in estimation using pooled OLS estimation. We have the almost same results even with dividing female students by major field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e students’ employment rate may be influenced by many other factor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abilities, and family background besides faculty gender. We find that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he faculty gender on the employment rate of femal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