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림관 에셔리히의 카메룬 답사(1913-1914)— 아프리카 열대림을 향한 독일 식민주의의 욕망 —

        고유경 수선사학회 2024 史林 Vol.- No.88

        . This paper attempts to illustrate the desire for African tropical forests of German colonialis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life of forester Georg Escherich(1870-1941). As his career demonstrates, foresters were the preferred profession in 19th-century Germany for both the middle class and the aristocracy. Known as an expert on African colony through his hunting travels, he spent 1913 on a one-year expedition through the tropical forests of Cameroon on behalf of the Imperial Colonial Service. In the Muni region of New Cameroon, which Germany acquired in 1911, he unleashed the plan of developing the African tropical forests for the German Empire. His ambitions were frustrated by the World War I and the Treaty of Versailles. But during the interwar years Escherich repeatedly expressed his dream of developing the African tropical forests in various works. Including his activities, German colonial revisionism is in line with the turmoil in German society that made possible the rise of Nazism. In this respect, Escherich's expedition of Cameroon and his subsequent activities serve as a prism through which German societ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s illuminated.

      • KCI등재

        ‘유럽 기억의 장소’로서의 라인 강(2) ― 20세기 후반 상부 라인 지역 환경운동을 통한 유럽 정체성의 발전 ―

        고유경 한국독일사학회 2015 독일연구 Vol.- No.29

        Die vorliegende Arbeit behandelt das Problem der Rheinregion in Hinsicht auf historische Erinnerungsforschung. Im vergangenen 19. Jahrhundert bestanden um Rhein zwei nationale Vorstellungen: Frankreichs natürliche Grenze vs. Deutschlands Strom, nicht Deutschlands Grenze(Ernst Moritz Arndt). Erst nach dem Zweiten Weltkrieg verblassten die nationalen Konzeptionen des Rheins, dabei die aus der Umweltbewegung am Oberrhein entwickelte kollektive Identität eine entscheidende Rolle spielte. An keinem anderen europäischen Fluß wurde die Notwendigkeit für eine internationale Zusammenarbeit so deutlich wie am Oberrhein. Vielfältige Ansatzpunkte für grenzüberschreitende Kooperation führten bereits 1963 zur Gründung einer Arbeitsgruppe ‘Regio Basiliensis.’ Vor allem wurden die Wyhler Anti-Atomkraftsbewegung der 70er Jahre und die Sandoz Katastrophe von 1986 entscheidende Katalystor für die grenzüberscheitende Zusammenarbeit am Oberrhein, wie die Tätigkeiten der Oberrheinkonferenz und vieler Bürgerinitiativen von ‘Dreyeckland’ zeigen. “Der Rhein war eine Barriere, eine Grenze, eine Kampflinie…, er kann wieder ein Bindeglied für Westeuropa werden,” so formulierte es einst Charles de Gaulle. 이 논문은 역사적 기억연구의 관점에서 라인 지역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19세기의 라인 강은 프랑스의 자연경계론과 “독일의 강이지만 독일의 경계는 아닌 강”(아른트)이라는 두 민족/국가적 개념이 대결하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민족 기억의 장소’로서의 라인 강은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부터 차츰 사라지기 시작했으며, 여기에는 상부 라인 지역에서 전개된 환경운동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역사적으로 상부 라인은 유럽에서도 국제 협력의 필요성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던 공간으로, 1963년 결성된 ‘레기오 바질리엔시스’ 같은 다양한 초국가적 협력의 사례가 이 지역에서 발견된다. 무엇보다도 1970년대의 뷜 반핵운동과 1986년의 산도스 사고는 라인 강을 ‘유럽 기억의 장소’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촉매로 작용했다. 오늘날 ‘상부라인회의’를 통한 위로부터의 움직임과 상부 라인 지역을 일컫는 ‘삼각지대’의 아래로부터의 시민연대는 일찍이 드골이 예견했던 것처럼 “장벽이나 경계가 아닌, 서유럽을 연결하는 매개자로서의 라인”을 실현시켰다.

      • KCI등재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의 진료대기시간 및 환자만족도, 재이용의도와의 관계

        고유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0 간호행정학회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gree of delay in waiting time, and the relationships of waiting time, patient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outpatient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2 to July 4, 2009. A total of 536 outpatients who visited 21 clinics of a general hospital were subjected to evaluate the waiting time. The survey tools used were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s (2008) tool for patient satisfaction and Reichheld & Sasser (1990) for revisiting inten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version 9.1,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mean patient's waiting time was 28.3±30.7 min, the revealed mean score of patient' s satisfaction was 2.92, and the revisiting intention showed was 4.56. The waiting tim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s satisfaction (r=-.10, p<.019) Patient's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visiting intention (r=-.51, p<.001). Conclusion: Waiting time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of increasing patient' s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s. It is mandatory that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s take into account the patient' s characteristics of visiting outpatient department in order to shorten the real waiting tim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3·1운동에서 전도부인의 역할과 의의

        고유경 한국여성사학회 2019 여성과 역사 Vol.0 No.31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great affair. It was an extremely rare occurrence that a national movement could occur so rapidly in a short amount of time despite the existence of diverse forms of restriction and suppression due to the military rule of the Japanese Empire. At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key roles and person-based contacts. While several studi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Bible women, most inquire into their roles as missionaries in church or in their contributions to church revivals. It is a shame that, even though Bible women had clear roles with regard to independence movements, especially the March 1st movement, these were simply accompanying descriptions and not illuminated with focus. Christian women represented by Bible women were active through church, school, and women’s organizations. Afterwards, they became active in enlightenment movements and independence movem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is has greatly important meaning, not only in historical aspects but also in aspects of Christian education as well. This article attempted to observe the formation of Bible women along with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Bible Women in the March 1st Movement. 3.1운동은 당시 일제의 무단통치로 인해 각종 제한과 억압에도 불구하고 급속도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다. 이에 대해 인적기반으로서의 연락책과 주도적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 여성 지도자로서 전도부인을 조명하였다. 기존의 전도부인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의 경우 교회에서 전도자의 역할이나 교회의 부흥에 기여한 점에만 천착하고 있다. 전도부인이 3.1운동 속에서의 역할들이 분명하게 있었으며 그들의 활동이 이후 독립운동의 한 축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남성 독립운동가들의 부수적 역할로 기술될 뿐 집중적으로 조명되지 못하였다. 전도부인은 교회를 넘어 학교와 여성 단체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3.1운동 이전 이미 형성되어있던 교회와 학교, 그리고 여성 단체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연락책 뿐 아니라 지도자로서의 역할까지 하였을 만큼 자주적인 신여성이었다. 이후 3.1운동의 경험을 살려 여성 계몽운동과 독립운동에서 적극적으로 활약하게 되는데, 이것은 여성사 뿐 아니라 민족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전도부인의 형성과 3.1운동에서의 전도부인의 역할과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헤레로 전쟁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다원적 관점의 독일 식민주의 역사교육

        고유경 한국독일사학회 2019 독일연구 Vol.- No.40

        Das Ziel dieser Studie ist zu zeigen, wie das didaktische Potenzial der Kontroverse um Hererokrieg in der Frage “wie unterrichtet man die konfliktreiche Geschichte?” gebraucht werden kann. In den letzten Jahren haben mehreren Historiker auf mögliche Kontinuitäten vom kolonialen Genozid in Deutsch-Südwestafrika zum Holocaust verwiesen. Als Hauptargumente führten sie zum Beispiel personelle Kontinuitäten(Kolonialherren als spätere NS-Anhänger) und ideologische Parallelen(rassistische Diskriminierung) an. Dieser Deutung widersprachen andere Historikerinnen und Historiker, die den Massenmord an den Herero und Nama als ein Phänomen des transnationalen Kolonialismus interpretierten. Mit dem Erinnerungsjahr 2004 rückte der Hererokrieg in den Blickpunkt einer breiteren Öffentlichkeit. Unter den Einfluß des Beutelsbacher Konsens und der Postkolonialismus-Studie zeigt die deutsche Geschichtsdidaktik eine Erneuerung des Kolonialismus-Unterrichts. Die didaktischen Prinzipien der Multiperspektivität und der Kontroversität wurden in den Bildungsplänen und den Geschichtsunterrichten eingeführt. Obwohl das Stichwort Herero―mit Ausnahme von Brandenburg und Sachsen-Anhalt―in keinem Bildungsplan eines Bundeslandes auftaucht, letztere Geschichtsschulbücher thematisieren allmählich die Frage nach einer offiziellen staatlichen Entschuldigung, einer Entschädigung für den Völkermord, die geteilte Erinnerungskultur zwischen Deutschland und Namibia und schließlich die langfristige Folge der koloniale Herrschaft in den beiden Ländern. So ist das Thema Hererokrieg für die Förderung der Multiperspektivität, Kontroversität und des Fremdverstehens, das Ziel der Geschichtsdidaktik, umzusetzen. 이 논문의 목적은 헤레로 전쟁을 둘러싼 논쟁이 갖는 교육적 잠재력이 “갈등의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문제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최근 독일 역사가들은 독일령 남서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일어난 인종학살과 홀로코스트 간의 연속성을 지적해 왔으며, 그 주된 근거로는 인적 연속성(나치 추종자가 된 식민지 통치자)과 이념적 평행성(인종주의적 차별)이 거론되었다. 이러한 해석은 헤레로 족과 나마 족 대량학살을 식민주의라는 트랜스내셔널 현상의 일부로 간주하는 역사가들에 의해 반박되었다. 헤레로 전쟁 백주년 기념의 해인 2004년을 계기로 이 주제는 여론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독일 역사교육 또한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포스트식민주의 연구의 영향 하에 식민주의 수업의 혁신을 도모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다원적 관점과 논쟁성이라는 교육학적 원칙이 역사교육과정과 역사수업에 도입되었다. 헤레로라는 핵심어가 교육과정에 등장한 주는 브란덴부르크와 작센-안할트 뿐이지만, 최근 독일 역사교과서는 인종학살에 대한 공식 사죄와 배상, 독일과 나미비아의 분리된 기억문화 및 전쟁의 장기적 결과 같은 주제들에 점차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 있다. 이처럼 헤레로 전쟁은 역사교육의 목표인 다원적 관점과 논쟁성의 함양 및 타자이해의 증진에 활용되고 있다.

      • KCI우수등재

        국가와 환경-프로이센 국립천연기념물보호국과 독일 환경정책의 탄생-

        고유경 한국서양사학회 2019 西洋史論 Vol.0 No.142

        This paper examines German environmentalism, which has become part of German national identity since the late 19th century, in terms of state policy. The history of State Office for the Protection of Natural Monuments in Prussia, the first governmental environmental institution in Germany and also in Europe, reflects main characteristics of German environmentalism. First, Germany’s official nature conservation developed an institutional structure which persisted despite the political upheaval in Germany during the 20th century. Second, there was cooper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official and civic environmental movements, as leaders of the State Office, Hugo Conwentz, Walther Schoenichen, and Hans Klose demonstrated. Third, the year 1918 was a watershed in German environmental history, because the protection of nature served as a path to restoring the strength of the German nation, but led to the ‘racial turn’ of German environmentalism. The so-called ‘Faustian bargain’ of the leading conservationists such as Klose and Schoenichen with the Third Reich was a choice due to their long-standing demand for comprehensive environmental laws, realized with the Reich Conservation Law of 1935. 이 논문은 19세기 이래 독일 민족정체성의 일부였던 독일 환경주의를 국가 정책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독일과 유럽 최초의 정부 환경기구인 프로이센 국립천연기념물보호국의 역사는 독일 환경주의의 주요 특징을 반영한다. 첫째, 독일의 공적 자연보호 제도는 20세기에 독일에서 일어난 정치적 격변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었다. 둘째, 콘벤츠, 쇠니헨, 클로제 같은 국립천연기념물보호국의 지도자들이 입증하듯이, 독일의 공적⋅시민적 환경운동 사이에는 협력과 갈등이 병존했다. 셋째, 1918년은 자연보호가 독일 민족의 힘을 회복하는 수단으로 간주되었다는 점에서 독일 환경사의 전환점이었으나, 이는 독일 환경주의의 ‘인종주의적 선회’를 가져왔다. 클로제와 쇠니헨을 위시한 환경운동가들이 제3제국과 이른바 ‘파우스트의 계약’을 맺은 것은 1935년의 제국자연보호법으로 실현된, 포괄적 환경법을 향한 그들의 오랜 열망에서 기인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문화비판으로서의 반더포겔 운동, 1896-1913

        고유경 한국독일사학회 2003 독일연구 Vol.- No.6

        Der “Erste Freideutsche Jugendtag”, der sich im Oktober 1913 auf dem Hohen Meiβner bei Kassel stattfand, stellte sich als erster Höhepunkt und zugleich als eine frühe Scheidemarke der deutschen Jugendbewegung heraus. Dessen Initiatoren waren Mitglieder und Freunde der “Wandervogel”-Bewegung, die 1896 als eine Art Gegenbewegung der bürgerlichen Jugend entstand. Im Hintergrund stand die Modernisierungskrise des deutschen Kaiserreiches, vor der groβe Teile des mittleren und kleinen Bürgertums in Bedrohung fanden und eine Alternative suchten. In ihrem Kreis suchte auch die Jugendgeneration nach neuen kulturellen Leitbildern, neuen Lebensstilen, und nicht zuletzt nach “Jugendautonomie”. Sie wollte sich einen Freiraum in Distanz zu Familie und Schule schaffen, wie die beruhmte “Meiβner-Formel” lautete: die deutsche Jugend wolle “aus eigener Bestimrnung, vor eigener Verantwortung, mit innerer Wahrhaftigkeit ihr Leben gestal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