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상담 실천의 통합 절충적 4단계 모형 연구: 탐색-통찰-실행-유지

        고수현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1

        Social worker is a social work counseling profession whose major job is counseling for people who need social service in social work theory or social work law. In addition, since the Flexner syndrome of 1915 in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emphasis has been placed on case work using psychiatry and psychological theor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practice. However, at present, there is not much research accumulation on social work counseling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both at home and abroa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stablish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establishes a four - level model of social work counseling practice stage by applying the integrative eclectic psychological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and practical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to set up a four - level model of social work counseling practice stage by applying integrative eclectic psychological counseling theory and skills. And to present the theories and skills of social work counseling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detailed levels of practi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ttention stage and listening, re - statement, encouragement, question, empathy and reflection technique in human centered theory can be applied in facilitating exploration as the first level. In the second level of facilitating insight, the challenge and confrontation, immediacy, self-disclose, clarification, and interpretation skill in psychodynamic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third level of facilitating action, information provision, advisement, directives, cognitive restruction, systematic desensitization and relaxation training in cognitive-behavioral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fourth level of facilitating maintenance, non-directed motivation, directional motivation, advocacy and self-assertion, competence strengthening and empowerment skills can be applied in motivation interviewing and capacity building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mpetence of professional social work counseling skill as a integrative eclectic social work counseling skill that is appropriate for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with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psychological counseling.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이론적으로나 사회복지사업법 상으로 볼 때도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상담업무를 주요 직무로 하는 사회복지상담 전문직이다. 또한 사회복지발달사에서 1915년의 플렉스너 증후군(Flexner syndrome) 이후로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정신의학 및 심리학 이론을 활용한 케이스워크에 중점을 두었던 것도 사회복지전문직들의 상담능력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도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측면에서 사회복지상담에 대한 연구축적물은 많지 않다. 따라서 사회복지교육이나 실천 장면에서는 여전히 체계적인 사회복지상담에 대한 정체성 정립의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상담의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정체성을 확립한 후, 통합 절충적인 심리상담 이론과 기법을 적용하여 4단계로 구성된 사회복지상담 실천모형을 제시하고, 그 세부적인 촉진단계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사회복지상담이론과 기술들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결과, 첫 번째의 탐색 촉진단계에서는 인간중심이론에서의 주의집중과 경청, 재진술, 격려, 질문, 공감과 반영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두 번째의 통찰 촉진단계에서는 정신역동이론에서의 도전과 직면, 즉시성, 자기개방, 명확화, 해석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세 번째의 실행 촉진단계에서는 인지-행동적 이론에서의 정보제공, 조언, 지시, 인지재구조화, 체계적 둔감화와 이완훈련 등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네 번째의 유지 촉진단계에서는 동기강화상담과 역량강화이론에서의 비지시적 동기강화, 지시적 동기강화, 옹호와 자기주장, 역량강화와 권한부여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일반적인 심리상담과의 차별성을 가진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에 걸맞은 통합 절충적인 사회복지상담기법으로서의 전문적 사회복지상담기술의 유능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실천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 장묘복지정책의 접근모형에 관한 연구

        고수현 韓國福祉行政學會 2003 복지행정논총 Vol.13 No.1

        인생주기에서 인간이 겪게 되는 결핍이나 욕구에 대응하여 제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원칙이나 행동을 실천하기 위한 대책을 사회복지정책의 영역으로 볼 때 장묘문제는 인생의 전 주기와 상관된 부문이 된다. 일본의 三友雅夫 교수는 1979년에 그의 저서인 「社會福祉論」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기관에서 사회복지정책의 행정범주로 해야 할 대상으로서 화장장과 묘지시설을 들고 있지만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이들 장묘시설은 아직까지도 비선호시설로 인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보건복지부나 서울시를 비롯한 지방정부가 장묘복지시설의 설치를 두고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은 그 간의 장묘정책이 화장비율을 높이고 호화분묘를 방지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정책을 일관하여 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견지에서 장묘문제에 대한 사후대책으로서의 정책안 보다는 증가일로에 있는 국민들의 장묘욕구에 대응한 사회복지정책으로서의 장묘복지정책의 모형을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이념에 부합된 설정을 한 후 실천적이고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RISS 인기논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법제를 중심으로

        고수현 韓國福祉行政學會 2002 복지행정논총 Vol.12 No.2

        본 연구는 노인인구증가와 함께 대두된 노인부양 및 보호의 서비스가 가족이 아닌 공공서비스적인 실천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른 재가노인서비스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노인복지법제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공공서비스의 분석모형에 따라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 급여대상자 선정에서 선정기준의 전문화, 대상자 확대가 필요하고, 둘째, 급여형태에서는 서비스 내용의 다양화와 체계화가 요구되며, 셋째, 급여전달체계 면에서는 인력과 시설 면에서의 기준강화와 행정 관리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고, 넷째, 급여재정 면에서는 국가부담 분의 재정확충과 수익자부담에서도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요약·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윤증의 유교적 복지사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수현,권정만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5 복지상담교육연구 Vol.4 No.2

        오늘날의 한국적인 사회복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려면 외국의 이론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한국의 전통적 복지사상으로부터 그 예지를 찾아 논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 후 기의 유교사상가인 윤증의 복지사상을 사회과학적인 방법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이론적 배경 부분에서는 유교적 복지사상의 개요분석에 이어서 윤증이 살았던 시 대적 배경과 생애사 및 학문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역사적인 사상가 들의 이념이나 철학은 그가 살았던 시대의 정치?경제?사회?사상적 환경의 영향 및 개인적 생애사 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그의 학문적 특성과 상관하여 윤증의 저서 인『명제유고』에 나타난 언급에서 복지사상들을 본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윤증의 복지사상은 첫째, 수기(修己)로 시작되는 복지사상, 둘째, 위민(爲民) 또는 구민(救 民)의 복지사상, 셋째,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실천을 통한 복지사상, 넷째, 예방적 차원의 식량 확보와 생업보호의 복지사상 등으로 의미가 드러났다. 그 다음으로는 그의 이러한 유교적 복지사상을 현대 의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논의하는 절차를 거쳤는데, 분석된 윤증의 네 가지의 복지사상은 향후의 사회복지정책수립이나 제도형성에도 사상적인 배경으로서 충분한 시사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of today's social welfare needs to be found to discuss the prognosis from the traditional welfare ideology of Korea, rather than relying only on theory of foreign countr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idea of the welfare of Yun Jeung Confucian think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ocial scientific method. As research methods, theoretical background section analyzes the outline of Confucian thought and then Yun Jeung welfare were mainly historical background and biographical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lived. The reason is that the ideology and philosophy of the historic thinkers is that they can be called political, economic and personal impact of the product life history of the social environment. And detours in earnest analyzed the welfare ideology in reference appeared in the book『Myeong-Jae Yugo』of manuscript left in his life. Analysis, welfare ideology of Yun Jeung turned out to mean. First, Welfare philosophy that starts with self-discipline, second, Welfare ideology for people or Welfare ideology of relief, third, Welfare idea of practical and rational action, Fourth, Welfare idea of food security and livelihood protection. It passed the procedures followed by these Confucian welfare to discuss his thoughts on the social welfare perspective of modern, Welfare Thought of four Yun Jeung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is sufficient background ideological implications as the future form of social welfare policies and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