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검색 시스템 영역에서의 프레임워크 설계

        고상복(Sang-pok Ko),배제민(Je-min Bae),김강태(Kang-tae Kim),이경환(Kyung-wha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A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재사용의 필요성은 오랫동안 주장되어 왔지만, 현재까지의 재사용 기술은 재사용 가능한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주로 코드의 재사용만 다루었고 분석 및 설계 정보에 대한 재사용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발자들의 생산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객체지향 프레임워크에 의한 재사용이 제안 되었다. 이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재상용함으로써, 재사용은 분석과 설계 정보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검색시스템 영역에서 변화에 좀 더 유동적인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설계패턴을 적용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 Embedded 소프트웨어를 위한 측정 연구

        고상복(Sang-Pok Ko),김강태(Kang-Tae Kim),이현동(Hyun-Dong Lee),이경환(Kyung-Wh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B

        최근 국내 기업들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를 통하여 기업의 프로세스 성숙도 향상과 개발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CMM과 SPICE와 같은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이 모델들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일정 수준의 성숙도를 지나면 측정을 활용하여 성숙도를 높일 수 있도록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지표들을 정량적인 수치로 객관화하여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mbedded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에서 측정을 통하여 지표들을 정량적으로 관리하고 각 지표들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메트릭스와 시장 점유율간의 의존도 분석 사례를 제시한다.

      • 객체지향 분석 단계에서 동적 행위 검증을 위한 정보 트리 확장에 관한 연구

        고상복(Sang-pok Ko),김기한(Gi-han Kim),이경환(Kyung-wha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객체지향 방법의 초기 단계인 객체지향 분석은, 문제 기술서에서 사용자 요구 사항을 실 세계의 개념과 도메인 지식을 통하여 객체 관점에서 모델링하고, 객체 지향 요구 명세를 생성하는 절차이다. 기존에 제안된 객체 모델링 방법론에서 분석 단계의 정적 모델링은 시멘틱 모델 등의 풍부한 시멘틱을 제공하여 모델과 모델링의 많은 부분들을 정형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법론들의 분석 과정은 동적 모델의 정형화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정적인 구조를 검증할 수 있는 정보 트리 모델에 동적인 행위 정보를 포함하도록 확장하고, 검증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시스템의 동적 행위를 검증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객체 지향 요구 명세의 동적인 행위에 대한 검증은 확장 정보 트리를 사용하여 use case와 시나리오를 추적하면서 검증한다.

      • 확장정보 트리를 이용한 요구 명세의 동적 행위 검증

        고상복,이창훈,이경환 중앙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1999 정보통신연구소논문집 Vol.1 No.1

        요구 명세의 검증은 분석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다는 것을 보증해 주는 중요한 단계이다. 특히,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의 설계 단계 이전에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동적인 행위는 검증 되어져야한다[Bou95].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요구명세서의 동적 행위에 대한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검증 방법의 첫 번째 절차에서 객체지향 요구명세를 구성하고 있는 객체와 동적 모델을 수정 객체 모델과 수정 동적 모델로 변환한다. 그리고 두 번째 절차에서는 수정 객체와 동적 모델을 정형 요구명세로 변환한다. 세 번째로서 정형 요구명세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정적인 구조와 전체 시스템에 대한 동적인 면을 포함하는 확장 정보 트리로 변환한다. 마지막으로, 객체지향 요구 명세의 동적인 행위는 확장 정보 트리를 사용하여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확장 정보 트리는 그래픽 표기법으로서 객체 지향 요구명세의 정적인 구조와 동적인 행위를 표현할 수 있다. 그 트리는 객체지향 요구명세로부터 체계적으로 구축될 수 있고 동적 행위의 검증에 사용되어진다. The verification of requirements specification is an important step to ensure that the analysis is performed correctly. Especially, the dynamic behavior of the software system under development must be verified before the design phase. In the thesis, an approach to verifying the dynamic behavior in object oriented requirements specification is proposed. In our approach, first, object and dynamic models are transformed into a formal specification via modified object and dynamic models, second, the formal specification is transformed into the extended information tree representation, which includes dynamic aspects of the overall system. Finally, the dynamic behavior is to verify against the model developed in the object requirements specification using extended information tree. The proposed extended information tree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that can represent the static structure and dynamic behavior in object oriented requirements specification. The tree can be systematically constructed from object oriented requirements specification and used to verify the dynamic behavior.

      •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위한 공통성과 가변성에 관한 연구

        이은서(Eun Seo Lee),박지훈(Ji Hoon Park),고상복(Sang Pok Ko),이경환(Kyung Wh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Ⅰ

        컴포넌트가 보편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컴포넌트의 사용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을 효과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포넌트 설계와 재사용의 올바른 분석과 설계가 요구된다. 재사용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컴포넌트의 설계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기능과 적합성의 불일치를 줄이고자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통성과 가변성 분석을 하기 위하여 도메인의 특성이 서비스 중심적인 관점인 경우에 대하여 접근을 했다. 이를 위하여 인터페이스의 추출이 선행되어야 하고, 추출된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두 도메인에 존재하는 공통성과 가변성을 추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