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학급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

        고미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composing in classroom management. I both participated in and observed two classrooms at kindergarten for one year by using Narrative Inquiry. Experience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as formed by her experience. However, reflective thinking and recognition about practical knowledge was not enough. First-year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had composed student teacher's practice experience. She suffered a conflict and confusion for some period when they were broadening and transforming it. 유치원 교사의 학급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과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1년간 참여관찰하고 심층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이교사는 성장과정을 통해 유아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으며, 실습과 교직 경험을 통해 편의성과 초등학교의 적응을 중심으로 학급 운영방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으며, 상황이나 유아에 따라 실천적 지식을 재조직하거나 재구성하기보다는 일관되게 적용하였다. 김교사는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실습을 통해 학급 운영 방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고 교직경험 속에서 확장시키거나 변형시키며, 상황과 유아에 따라 실천적 지식을 재구성하고 재조직하였다.

      • Hua(畵)에서 Guohua(國畵)까지: 중국 현대 회화용어의 전개상의 쟁점

        高美慶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1998 造形 FORM Vol.- No.21

        20세기의 중국은 모든 면에서 혁명과 변화를 일으켰던 사상 전례 없는 격동사를 목격하고 있다. 중국 문화의 총체적인 부분인 회화는 이러한 변화를 작품을 통해 표현했을 뿐 아니라, 그 과정속에서 회화 자체의 변형을 성취하기도 했다. 중국의회화적 유산에 대한 재고와 서양 미술의 확산이라는 두 가지 똑같은 힘에 자극받아, 수 세대에 걸쳐 중국의 화가들은 현대적이면서 동시에 중국적인 새로운 회화 양식을 얻으려고 애쓰고 있다. 세기말인 현대, 현대의 대 화가들과 걸작들, 새로운 의미의 회화의 전개, 그리고 현대 중국 회화의 다양하고 복잡한 경향을 해석하고자 하는 역사적 고찰 등에 관하여 많은 견해들이 전개되고 있다. 중국 현대 회화는 학문적 연구의 영역에서도 잠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학자들과 비평가들이 그들의 재능과 에너지를 이런 연구에 쏟아 붓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이념과 유럽, 또는 일본을 경유한 회화 양식의 융합으로 역시 급진적인 변화를 겪었던 회화의 용어에는 관심이 훨씬 낮았으며, 중국과 서양 세계의 예술적 전통의 접촉과 충돌로 격렬한 논쟁이 일어났다. 이것은 중국 역사의 격변기 중, 모든 의식 있는 중국의 화가들이 직면했던 정체성 추구의흔적이라고할 수 있었던 창작품들을 탄생시켰다. 따라서 서울대의 미술대학이 주최한 금번 심포지움은 시기 적절하고도 필연적인 것이다. 또한 본인의 논문, 중국 현대 회화 용어의 전개 상의 쟁점이 한국과 일본의 유사 연구와 비교 연구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중국은 미술, 특히 회화와 서예에 있어서 장구하고도 연속된 학문의 전통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11년-1912년에 편찬된 Meishu congshu는 Dengshi와 Hung Binhong이 편지한 전시대 미술에 관한 백과사전적인 글 모음집으로써, 40집에 250가지 제목의글들을 모아 놓았지만, 이것도 아직은 총망라한 편찬이라고 할 수는 없다. Yu Shaosong은 고대부터 20세기초까지의 서예와 회화에 관한 저서들에 관한 주석달린, 저서목록, Shuhua shulu jieti을 편집했다. 10개 부문에 860가지가 넘는 글 말하자면 역사와 전기, 기술과방식, 강연, 비평, 제시와 간기, 목록, 잡문, 선집, 위조된 글과 없어진 글 등등을 담고 있는 이 저서목록집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서예와 회화, 두 예술 분야의 전통 학문의 넓이와 깊이를 1920년대까지 명확하게 명시하고 있다. 더우기, 고전적 학문, 특히 사료 편집과 문학 평론에 밀접하게 연결된 접근방식과 표현수단을 볼 수 있는 이러한 문서들은 자급자족적인 중국의 미술평론 방식을 예증하는 것들이다. 문인화 전통의 유서깊은 그림, 서예 그리고 시의 연합이 자연스럽게 많은 양의 산문과 시를 만들어낸 반면, 화가의 전기적 자료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독자적인 미술평론방식은, 다른 영역의 전통적 학문에서와 마찬가지로ㅡ 서양 미술이 중국에 퍼진 이후, 미술계의 새로운 사상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거부, 수정, 변화의 과정을 거쳤으며, 과거와는 크게 다른 현대적 모습의 작품들과 용어들을 만들어냈다. 중국의 권위있는 백과사전 5에서 2권의 미술 관련 책의 색인이나 최근 수 심년 이내에 출판된 어떤 미술 사전들을 잠깐만 보아도, 금 세기에 생겨난 새로운 용어들이 얼마나 많은 지 알 수 있다. 또한 이 목록은 중국에 유입된 새로운 지식과 접근방식에 발맞추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외래어 사전에서처럼 각각의 단어들을 분류하고자 하는 것은 빛이 나지 않는 작업일 것이다. 대신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 현대 회화 용어의 형성에 기여하는 주요 쟁점들을 확인하는 것에 대한 예비적 시도를 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