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식기 풀 기반의 다수 인식기 시스템 구축 방법

        강희중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9 No.8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o select multiple classifiers from the pool of available classifiers for showing the good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us, the selection problem of classifiers on how to select or how many to select still remains an important research issue. In this paper, provided that the number of selected classifiers is constrained in advance, a variety of selection criteria are proposed and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multiple classifier systems, and then these selection criteria will be evaluated by the performance of the constructed multiple classifier systems. All the possible sets of classifiers are examined by the selection criteria, and some of these sets are selected as the candidates of multiple classifier systems. The multiple classifier system candidates were evaluated by the experiments recognizing unconstrained handwritten numerals obtained both from Concordia university and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 Among the selection criteria, particularly the multiple classifier system candidates by the information-theoretic selection criteria based on conditional entropy showed more promising results than those by the other selection criteria. 우수한 인식 성능을 보이기 위하여 가용한 인식기 풀(pool)로부터 다수 인식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그래서, 어떻게 또는 얼마나 많은 인식기를 선택해야 하는가에 관한 인식기의 선택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연구 주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택되는 인식기의 개수가 미리 제한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서, 다양한 선택 기준을 제안하고, 이들 선택 기준에 따라서 다수 인식기 시스템을 구축하며, 구축된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제안된 선택 기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모든 가능한 다수 인식기의 집합은 선택 기준에 의해서 조사되고, 그 중 일부가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후보로 선정된다. 이러한 다수 인식기 시스템 후보들은 Concordia 대학과 UCI(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의 기계학습 자료로부터 얻은 무제약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실험에 의해 평가되었다. 다양한 선택 기준 중에서, 특히 조건부 엔트로피에 기반한 정보 이론적 선택 기준에 의하여 구축된 다수 인식기 시스템 후보가 다른 선택 기준에 의한 후보보다 더 유망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실험 결과

        강희중 漢城大學校 2001 論文集 Vol.25 No.1

        필기 숫자 인식과 같은 복잡한 패턴인식 문제에 있어서, 우수한 인식 성능을 보이기 위하여 최근 10여 년간 다수 인식기 시스템을 활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있어 왔다. 그러나, 가용한 인식기 풀로부터 다수 인식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수 인식기를 선택하는 것에 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어떻게 또는 얼마나 많이 인식기를 선택하는 가에 관한 인식기의 선택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연구 주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택되는 인식기의 개수에 미리 제한되었다는 가정 하에서, 다양한 선택 기준을 제안하고, 이들 선택 기준에 따라 다수 인식기 시스템을 구축하며, 구축된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제안된 선택 기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다수 인식기 시스템 후보들은 UCI 대학으로부터 얻은 무제약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실험에 의해 평가되었다.

      • KCI등재

        An Ecosystem-Based Assessment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Harvested by Multi-Gear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in Korean Waters

        강희중,장창익,이은지,서영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5 Ocean science journal Vol.50 No.2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has been traditionally harvested by multi-gear type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except for the East Sea (Sea of Japan) in Korean waters. Six different fishery types such as offshore stownet fishery, offshore longline fishery, large pair-trawl fishery, large purse seine fishery, large otter trawl fishery and offshore angling fishery target to harvest the hairtail stock accounting for about 90% of the total annual catch. We attempted to develop an ecosystem-based fisheries assessment approach, which determines the optimal allocation of catch quotas and fishing efforts for major fisheries. We conducted standardization of fishing effort for six types of hairtail fisheries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GLM), and then estimated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 and maximum economic yield (MEY). Estimated MSY and MEY for the hairtail stock were estimated as 100,151 mt and 97,485 mt, respectively. In addition, we carried out an ecosystem-based risk analysis to obtain species risk index (SRI), which was applied to adjusting the optimal proportion of fishing effort for six hairtail fisheries as a penalty or an incentive. As a result, fishing effort ratios were adjusted by SRI for the six fisheries types. Also, the total allowable catch (TAC) was estimated as 97,485 mt and the maximum net profit at TAC by the hairtail fisheries was estimated as 778 billion won (USD 765 million).

      •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하지 길이의 변화 : 수술전 예상 측정치와 수술후 실제 측정치 사이의 차이에 대하여 Differences between preoperative prediction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

        강희중,원중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2

        하지 길이의 적절한 회복은 고관절 전치환술의 목적중 하나다. 수술후 하지 길이의 변화를 수술전 예측 평가한 것이 수술후 실제로 측정한 것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에 저자들은 골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수술한 고관절 전치환술 40예에서, 수술전 예측한 하지 길이 변화와 수술후 측정한 하지 길이의 차이에 대해, 이들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위 예들중에서 치료하지 않은 선천성 고관절 탈구증과 같이 수술전 하지 길이의 차이가 많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대퇴부에 사용한 인공삽입물은 Omnifit(Ostenonics) 혹은 CLS(Protek) 스템이었고 비구컵은 모두 Harris-Galante Ⅱ(Zimmer)였다. 수술전 비구 가늡자(template)를 방사선 사진 위에 놓고 비구컵 중심을 연필로 그린 후, 대퇴 스템 가늡자(template)를 대퇴부에 놓고 대퇴 골두 중심을 그린다음, 위 중심의 거리 차이를 수술전 하지길이 변화의 예측치로 하고, 수술후에는 골반의 눈물방울선(inter-teardrop line)에서 대전자부 끝을 이은 선의 거리를 수술전과 비교하여 하지 길이 변화로 하였다. 수술전 측정한 하지 길이 변화 예측치는 평균 9㎜였고, 수술후 측정한 하지 길이 변화 측정치는 평균 14㎜였다. 이와같은 수술전 예측치와 수술후 하지 길이 측정치의 차이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겠다. 우선 방사선 사진의 측정방법이 중요한 요인이다. 확대정도나 방사선조사선의 중심, 그리고 고관절의 정확한 위치 등이 수술전 방사선 촬영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가늡자(template)를 사용하는 기술은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이다. 수술전 측정과 비교하여 보면 수술후 비구 중심이 이동하는 경우가 있었다. 수술전 측정과 실제 삽입한 대퇴 스템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해 하지 길이의 변화가 유발될 수 있다. 수술전 예측한 하지 길이의 변화가 항상 수술후 하지 길이의 변화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술전 측정한 것과 수술후의 하지 길이 변화의 차이를 최소화 하려면, 위의 요인들을 수술전 측정에서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One of the aims of THA is to restore the appropriate leg length. Preoperative estimation of postoperative leg length change does not always result in predicted value when measured postoperatively. We reviewed 40 cases of cementless THA to see the leg length changes after THA and analysed the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discrepancies of preoperative estimation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 The cases with severe preoperative leg length discrepancy such as untreated CDH were not included in our series. Inserted femoral were Omnifit(Osteonics) or CLS(Protek) stems. All the acetabular cups were HG Ⅱ(Zimmer) cups. Preoperatively the acetabular template was mounted on the film and the center of the acetabular cup was marked with pencil. Femoral template was also mounted on the femoral side and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was marke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enters was a basis for preoperative estimation. Postoperatively the leg length change was measured by the change of the distance from inter-teardrop line to the greater trochanter tip. Leg length change estimated by preoperative templating was 9㎜ lengthening in average. Postoperative leg length change was 14㎜ lengthening in average. The discrepancies of pre and postoperativen measurement were attributed to following factors. Standardization of taking the X-ray views was an important factor. Magnification, center of X-ray beam and the accurate position of the hip should be considered in taking preoperative X-rays. Templating technique was another factor. Postoperative acetabular center shifted frequently compared with preoperative estimation. The size of the stem was not always matched with preoperative templating, and this resulted in different leg length changes. Templating does not always tell accurate postoperative leg length change. To minimize the discrepancy of pr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 abov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peroperative estimation.

      •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축에 관한 연구

        강희중 ( Hee-joong K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어려운 패턴인식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다수 인식기를 사용하는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 되었으나,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축에 관한 체계적인 시도는 그리 많지 않았다.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효율성은 인식기 집합에 포함되는 인식기의 선택 방법과 선택된 인식기들의 결합 방법에 의해서 결정되는 시스템의 인식 성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요인을 고려하여 효율성이 높은 다수 인식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 무제약 필기 숫자를 인식하기 위한 다수 인식기를 결합하는 의존관계 기반의 프레임워크

        강희중(Hee-Joong Kang),이성환(Seong-Wh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7 No.8

        K개의 인식기로부터 관찰된 K개 결정을 결합하는 결합 방법론 중의 하나인 BKS (Behavior-Knowledge Space) 방법은 아무런 가정 없이 이들 결정을 결합하지만, 관찰된 K개 결정을 저장하고 관리하려면 이론적으로 기하학적인 저장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즉, K개의 인식기 결정을 결합하기 위하여 (K+1)차 확률 분포를 필요로 하는데, 작은 K라 할지라도 그 확률 분포를 저장하거나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차 확률 분포를 몇 개의 구성 분포로 나누고, 이들 구성 분포의 곱(product)으로 고차 확률 분포를 근사시켜야 한다. 그러한 이전 방법 중의 하나는 그 확률 분포에 조건부 독립 가정을 적용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으로는 [1]에서와 같이 그 확률 분포를 단지 트리 의존관계 또는 2차 구성 분포의 곱으로 근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성 분포의 곱으로 근사하는 방법에서, 2차 이상의 고차 구성 분포까지 고려하여 (K+1)차 확률 분포를 d차 (1≤ d≤K) 의존관계에 의한 최적의 곱으로 근사하고, 베이지안 방법과 그 곱을 기반으로 다수 인식기의 결정을 결합하는 의존관계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표준 CENPARMI 데이타베이스로 실험되어 평가되었다. Although Behavior-Knowledge Space (BKS) method, one of well known decision combination methods, does not need any assumptions in combining the multiple experts, it should theoretically build exponential storage spaces for storing and managing jointly observed K decisions from K experts. That is, combining K experts needs a (K+1)st-order probability distribution.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the distribution becomes unmanageable in storing and estimating, even for a small K. In order to overcome such weakness, it has been studied to decompose a probability distribution into a number of component distributions and to approximate the distribution with a product of the component distributions. One of such previous works is to apply a conditional independence assumption to the distribution. Another work is to approximate the distribution with a product of only first-order tree dependencies or second-order distributions as shown in [1]. In this paper, higher order dependency than the first-order is considered in approximating the distribution and a dependency-based framework is proposed to optimally approximate the (K+1)st-order probability distribution with a product set of dth-order dependencies where (1≤d≤K), and to combine multiple experts based on the product set using the Bayesian formalism. This framework was experimented and evaluated with a standardized CENPARMI data b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