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대중문화 속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사회 이미지가 갖는 패러독스: 영화 <플랜 75(PLAN 75)>를 중심으로

        강태웅 현대일본학회 2024 日本硏究論叢 Vol.0 No.59

        고령화와 인구감소는 일본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다. 고령자 층이 늘어나면서 인구가 감소해나가면, 산업현장에서의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질 뿐만 아니라, 지금 영위하는 사회의 기본적인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인원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어두운 예상은 연구자의 영역은 물론이고 일본의 대중문화에도 반영이 되고 있다. 이 글은 75세 이상이 되면 자신의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플랜 75’라는 제도를 실시하여, 고령자의 ‘제거’를 통한 사회복지 부담 감소를 노리는 미래의 일본을 그린 영화를 중심으로, 인구와 관련된 대중문화적 상상력을 학술적 담론에 접목하려는 시도를 해보았다. 일정 나이가 되면 사회에서 ‘제거’되는 ‘기로(棄老)’ 이야기는 <플랜 75> 이전부터 동아시아에서 공유되어왔다. 그런데 이전의 ‘기로’ 이야기는 인구감소가 아니라 인구증가라는 전혀 다른 사회적 상태를 배경으로 하였다. 특히 20세기 일본에서는 인구감소보다는 인구증가가 국가의 미래를 가로막는 문제점으로 생각되었고, 그러한 인식을 반영한 대중문화 작품들이 다수 만들어졌다. 다시 말하면 인구는 감소해도 증가해도 문제시되어왔음을 당시의 담론과 더불어, 대중문화 속에 어떤 식으로 반영되고 재현되어 왔는지를 이 글은 찾아보았다. 이 글이 시도한 대중문화적 상상력과 연구자의 예측 접목이 일본의 미래, 그리고 한국에 더욱 절실하게 다가오는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대한 대책수립 또는 인식전환과 사고확장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are the biggest problems facing Japanese society. If the population decreases as the number of elderly increases, not only could labor shortage in the industrial field become serious but also the human resources to maintain the basic system of the current society might not be met. These dark predictions are reflected not only in the field of research but also in Japanese popular culture. This article attempted to incorporate population-related popular culture into academic discourse, focusing on a film depicting Japan in the future, which aims to reduce the burden of social welfare by removing the elderly, by implementing a system called ‘Plan 75’. The story of being 'removed' from society at a certain age has been shared in East Asia. However, the previous story of 'elimination' was set in a completely different social state of population growth, not population decline. Specifically, in Japan in the 20th century, population growth rather than population decline was considered a problem that hindered the future of the country, and several popular cultural works reflecting that perception were created. In other words, this article examined how this perception had been reflected and reproduced in popular culture along with the discourse at a time when a growing population had been a problem, even though later the population decreased.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help Japan and Korea establish countermeasures against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to change awareness and expand thinking.

      • KCI등재

        전시기 일본의 ‘오락영화’는 국책과 대립하였나?

        강태웅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일본학연구 Vol.67 No.-

        전시기 일본에서 만들어진 수많은 영화 중에는 프로파간다적 메시지를 그다지 찾을수 없는 ‘오락영화’가 존재하고, 이러한 영화들에 대해서 기존 연구가 그다지 주목해오지 않았다. 이 논문은 전시기 일본에 있어서 오락영화는 어떤 식으로 받아들여졌고 인식되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는 전시기에 오락영화를 보는 행위는 관료주도의 영화통제에 대한 서민들의 일종의 ‘저항’이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있다. 본논문은 이러한 연구경향을 비판적으로 보기 위하여, 전시기 일본에 있어 오락은 무조건적으로 적대시되고 배제되었는지, 그리고 오락영화를 보는 행위와 만드는 행위가 당시에 어떻게 인식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당시 검열과 통제의 강화로 표현 범위가 줄어든면이 있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국민오락의 확충을 위한 다양한 움직임과 활황이 있었다. 본고는 대중에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영화의 경우 오락적 기능도 주목을 받았기 때문에, 오락과 국책이 서로 대립했다기 보다는 조화되길 바라는 의견이 많았음을 찾아냈다. 전시기 일본이라는 공간에서 오락, 그리고 오락영화는 그 나름의 존재 이유를 가지고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본영화 속의 ‘반전평화’ 내러티브 연구 -히메유리 학도대의 영상화와 그 표상적 의미를 중심으로-

        강태웅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9 아태연구 Vol.16 No.1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of 'antiwar film' in postwar Japan focusing on Himeyuri Butai films. Himeyuri Butai or Star Lily Corps in Okinawa was assembled by the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and its members were local female high school. The story of Himeyuri became a symbol of civilian tragic suffering in the war and had been made into films many times only in mainland Japan named 'antiwar film'. However the 'antiwar message' carried out by these movies is problematic because the narratives of these only accentuate the national image of the victimized Japan by depicting sacrifice of young maidens. And these films do not tell this war was started by Japan and depict the violence of Japanese to other countries. 본고는 오키나와전에서 여고생 신분으로 종군간호부 역할을 하다가 죽어간 히메유리 학도대를 주인공으로 한 영상물을 중심으로 전후일본에서 만들어진 ‘반전영화’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히메유리 학도대를 다룬 극영화들은 유독 오키나와가 아닌 본토에서만 제작되었을까. 이러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본고는 전후 계속해서 제작되고 있는 히메유리 학도대를 다룬 영상물에서, 오키나와전이라는 매우 독특한 경험이 일본 본토의 보수적 전쟁의 기억으로 흡수되어 나타나는 영상내러티브를 고찰하였다. 이 내러티브에서는 ‘순진무구’한 젊은 여성의 희생을 통하여 일본의 일방적인 피해가 강조되고, 일본이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반전’한다는 보수적인 ‘반전평화’관이 잘 드러난다. 또한 이러한 내러티브는 오키나와와 본토의 대립을 은폐하고, 일본이 벌인 전쟁이라는 점과 일본의 가해성을 망각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21세기에도 이러한 ‘반전’적 내러티브가 변용된 형태로 계속해서 보수적인 틀에서 소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민우생법(国民優生法) 심의 과정에서 드러난 제국일본의 ‘위기’

        강태웅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일본학 Vol.58 No.-

        제국일본은 나치 독일의 영향을 받아 우수한 민족성의 보존이라는 우생학적 인종주의를 기반한 단종법을 입안한다. 기존 연구는 단종법에 대해서 찬성하는 쪽과 반대하는 쪽의 대립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그러한 상반된 진영에 속한 논자들에게 공통적인 일본의 위기 인식이 드러나고 있었음을 찾아내었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국민우생법이 입안되어 심의되는 과정에서 논쟁이 오고 갔던 제국의회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존 연구가 의학 관계자나 우생학 관계자의 발언을 우선시해왔던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국회에 나와 발언한 이들은 국민우생법과 관련한 전문가라기보다는 정치인과 관료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회가 국민의 의사를 대변하는 기관이라는 원론적인 정의에서 바라본다면, 이곳에서 오고간 논의들이 당시 일반인들이 이 법에 대해서 인식하는 수준을 대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논의 속에서 중일전쟁의 확전과 다가오는 세계대전에 대비하는 인적동원의 필요성에 비하여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는 우려가 컸고, 정신병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는 현실, ‘전쟁 정신병’에 시달리는 병사들, 그리고 일본의 국체 이데올로기와 ‘유대인적’ 사상인 단종법과의 모순 등, 단종법 입안과 심의를 둘러싼 논의를 통하여 본고는 ‘대동아공영권’이라는 허구의 논리를 펼치며 ‘지도자적’ 위치에서 우생학을 펼치던 일본이 마주한 위기를 발견해낼 수 있었다. 그러한 위기는 제국일본에 있어서 국민우생법이 철저하지 못한 형태로 시행되었음과도 연결 지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싸우는 미술(戦ふ美術)’ -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의 미술은 어떻게 싸웠는가 -

        강태웅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99 No.-

        During the Asia-Pacific War, Japanese art was closely associated with nationalism and its philosophy of a shared common destiny. Hence, wartime Japanese art was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combatting alongside the Japanese nation under the new political system. This new conception reached a climax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Nihon Bijyutsu Houkoku-Kai” in May, 1943.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focusing on war paintings which were made during wartime Japan, the study of other kinds of paintings and the general trends that were set by art during that period has been insufficient. This article therefore proposes an approach whereby an integrated view of art and nationalism is taken rather than a literal analysis of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war. 전시기 일본의 미술에 대한 관심은 직접적으로 전쟁과 관련 있는 장면을 그린 전쟁화에 집중되어왔다. 전쟁화 이외의 당시 그려진 그림들에 대한 폭넓은 분석, 그리고 미술계 전반의 행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본 논문은 전쟁화라는 텍스트 분석보다는 전쟁화를 포함한 여타 미술 장르의 전시기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를 규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당시 미술잡지에 실린 미술가들과 군부의 발언을 살펴보고, 전시기 미술계의 신체제를 둘러싼 논의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전쟁화와 같은 전쟁의 재현이 대중적으로는 인기가 있었지만, 그것이 궁극적인 전시기 미술계의 목표가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시기 미술은 국가의 운명과 동일선상에서 이야기되었고, 미를 추구하고 창작하는 활동은 전쟁에서 싸우는 행위와 동일시되었다. 따라서 전쟁과 관련된 작품을 만들었는지 아닌지의 여부가 당시 미술가들을 판단함에 있어 그다지 유효한 잣대라고 할 수 없다. 전시기 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회화, 조각만이 아니라, 공예, 민예, 학교미술 등 다양한 장르로 시야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성주의의 기억말소와 비올레 르 ??의 근대건축이론

        강태웅,Kang, Tae-Woo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06 건축역사연구 Vol.15 No.4

        Since he was a leading figure in nineteenth century architecture, Viollet-le-Duc's architectural theory is crucial to the foundation of modern architecture. He has been called a Gothic Revivalist, a Structural Rationalist and a Positivist. The first title was perhaps due to his vigorous restoration of Gothic works such as $N\hat{o}tre$ Dame, but he did not adore the Gothic style just for itself. Rather, he hoped to deduce some principles from the style. So how did he manage this? In his book "Entretiens sur l'Architecture (Lectures on Architecture), published between 1864 and 1872, he mentions using Descartes' four rules for reaching architectural certainty in contrast with the chaotic situation during that modernising period. Furthermore Viollet-le-Duc's theory can be seen as a serious attempt to translates Descartes' philosophical rules into systems of architectural speculation. Descartes' four rules of doubt are anchored in mathematical propositions, and without mathematical distinctions, none of these rules are valid. In other word, mathematics for Viollet is the yardstick of judgement between distinctness and indistinctness. Many architectural problems arise from this view. In this paper, the validities of applying Descartes' method of doubt to architectural discourse will be discussed in order to address the question:-Did Viollet-le-Duc clearly grasp Cartesian method by which memory was erased from the world?

      • KCI등재

        근접장에서 가상 합성 배열을 이용한 수중 이동체의 토널 소음 측정 방법

        강태웅,이근혁,김기만,한민수,최재용,Kang, Tae-Woong,Lee, Guen-Hyeok,Kim, Ki-Man,Han, Min-Su,Choi, Jae-Yong 한국음향학회 2018 韓國音響學會誌 Vol.37 No.6

        수중 이동체의 토널 소음 분석을 위하여 수신 배열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지만 설치와 운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가상 배열을 합성한 후 수중 이동체의 토널 소음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수중 음원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플러 주파수와 시간 지연을 보정하고, 초점 빔 형성 기법을 적용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A receiving array system can be applied for tonal noise analysis of underwater vehicles, bu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operate, and a lot of cost is requir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measure the tonal noise of underwater vehicle after synthesizing a virtual array using single receiver. The proposed method compensates the Doppler frequency and time delay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sound source and applies the focused beamforming techniqu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analyzed via simulation.

      • KCI등재

        김내성(金来成)의 방첩소설 재고 - 일본소설과의 비교를 통하여 -

        姜泰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5 No.-

        일본. 식민지 조선에서 추리소설 작가로 이름을 날렸던 김내성, 그는 1940년대 들어서 스파이가 등장하는 방첩소설을 창작하였다. 조선에서는 달리 비교할만한 작가와 작품이 없었고, 일본에서는 추리소설이 당국으로부터 ‘탄압’받는 상황이어서, 김내성은 조선뿐 아니라 제국일본에 있어서 ‘고립’된 작가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본고는 일본에서의 추리소설이 ‘탄압’받기는커녕, 활발히 창작되고 있었음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김내성의 소설은 당시 일본의 방첩소설과 비교 가능해졌고, 그러한 비교 속에서 많은 유사성을 찾아내었다. 김내성은 식민지 조선의 ‘고립’된 작가가 아니라, 오히려 제국일본의 창작 유행을 조선의 누구보다도 더 빨리 따라잡았던 소설가로 재평가될 수 있지 않을까. Kim Nae-seong, who was a famous mystery novel writer in colonial Korea, wrote ‘bangcheop novel‘ or anti-espionage novel in the 1940s. In colonial Korea, there was no writer or novel to compare at that time. In Japan, the mystery novels were being ‘suppressed’ not to write allegedly, causing Kim Nae-seong to be researched not only in Chosun, but also in Japan as an ‘isolated’ writer. However, this article revealed that the mystery novels in Japan were even being created actively instead of being ‘suppressed.’ Therefore, Kim Nae-seong’s novels were able to be compared to the Japan’s anti-espionage novels at that time, and a lot of similar traits were found through the comparison. Kim Nae-seong was not an ‘isolated’ writer in colonial Korea, but could be re-evaluated as a novelist who followed the creation trend of Japan swifter than anyone else in colonial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