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주의 역사학과 ‘우리’ 안의 타율성론

        강진원(Kang Jinwon)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5

        The theory of heteronomy in the colonialist study of history fundamentally claims that Korean history has progressed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power. The idea is advanced from the historical view of Manchuria-Joseon and of the theory of peninsula characteristics. The historical view of Manchuria-Joseon emerged when the Japanese Empire attacked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According to this view, the history of Manchuria and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are linked, but at the same time, the latter is only a part of the former. This view was improvised because of the urgent needs of the reality, but this is inconsistent in many ways. e theory of peninsula characteristics acquired strength since the 1930s, being supported by the geopolitical theory of environmental determinism. is theory lacks a solid foundation in that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only geographical position determines history. Groundless ideas like these are rampant in today’s Korea. ose who attach too much importance to Manchuria and those who are prejudiced against either peninsula or archipelago are good examples. In the study of history we should avoid simplifying numerous causal relationships based on only a few theoretical tools.

      • KCI등재

        고구려 墓祭의 변화와 그 배경

        강진원(Kang Jinwon)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7

        본래 고구려에서는 墓祭가 중시되었다. 그러나 5세기 전후의 문자자료나 고고학적 양상을 보면 묘제가 침체된 반면, 종묘의 존재감이 부상하였다. 이 추세는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묘제의 추이에서 보자면 4세기 후반~5세기가 전환점이다. 묘제의 위상이 변화한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4세기 후반 이후 불교 전파로 轉生思想이 확산되고 自由魂관념이 퍼졌으며, 유교 문화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어 종래의 무덤 중시 풍조는 약화일로를 걷게 되었다. 또 대외적인 위기의 지속 등으로 인해 무덤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반대로 혈연적 계보관념의 강화에 따라 계승관계를 명확히 드러내기 좋은 종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 결과 묘제가 침체되고 종묘제가 부상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조치가 종묘 개편(修宗廟)이다. 이는 중국 문물의 무비판적인 수용이 아니라, 고구려가 처한 내적 상황과 인식에 부합한 결정이었다. Traditionally, Goguryeo has valued the memorial services held before the grave. However, in considering the epigraph produced around 5th century as well as the archaeological relics of the time, we can see that they had become less and less important while the royal ancestor’s shrine had become more important. This trend went on for a while after then. Examining the shift in the status of memorial services held before the grave, we can say that there was a turning point between 4th century and 5th century. There are multiple factors that led to the shift in their status. There was a transition after the late 4th century. As Buddhism spreaded to Goguryeo, people accepted the rebirth thought and the idea of free soul. As a result, they did not consider tomb as important any longer. Additionally, it was hard to preserve tombs because there always was the chance of war. As the idea of genealogy got reinforced, progenitor’s tomb got more and more attention. This led to the reform of the ancestor’s shrine ritual. It is not the result of the acceptance of Chinese culture; rather, it implies that the society of Goguryeo caused its own change.

      • KCI등재

        크로스 플랫폼 및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사용자 편의성과 성능을 고려한 커뮤니티 서비스 플랫폼 구현

        강진원(Kang Jinwon),강교일(Kyoil Kang),김민수(MinSoo Kim),황선명(SunMyung Hw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최근 많은 웹 서비스들은 웹 서버 리소스에 대한 접근 방법이 쉽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REST API에서 리소스 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인지적 관점에서 SOAP 아키텍처에 비하여 우수한 장점을 가진 REST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REST 아키텍처를 도입하여 기존에 SOAP 아키텍처로 구현된 대학 웹 커뮤니티 서비스 플랫폼을 성능 및 기능면에서 개선한 새로운 플랫폼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제안되는 커뮤니티 플랫폼은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인 Spring과 MyBatis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와 HTML5의 웹 표준을 적용함으로써 동적 커뮤니티 서비스가 가능하고, 외부 서비스와의 연계가 용이하며, 데스크탑과 모바일의 크로스 운영체제와 크로스 웹 브라우저를 지원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끝으로, 기존 커뮤니티 플랫폼과의 성능 비교를 통하여 데이터 검색 및 페이징 응답시간에 대한 우수한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기능에서도 사용자 만족도 및 이용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many web services are being implemented based on REST architecture. This REST architecture has several advantages of easy access to web resources, greatly reduced transmission between client and server, effective web resources management. Using the REST architecture, this study designs and implements a new platform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and functionality of the existing community platforms implemented with SOAP architecture. The proposed community platform uses the e-government frameworks such as Spring and MyBatis framework and HTML5 web standard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reafter the platform has the advantages of dynamic community service, easy integration with external platforms, cross operating system and cross web browser support. Finally, we found good performance on web search and paging response times compared with existing community platforms. Also, we found that user satisfaction and usability are greatly improved in terms of functions.

      • 네트워크 프로세서에서 효율적인 cross-product table 을 이용한 패킷분류기 구현

        강진원 ( Jinwon Kang ),최준혁 ( Jun Hyuck Choi ),정기현 ( Gihyun Jung ),최경희 ( Kyunghee Choi ),임강빈 ( Kang Bin Y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고속의 처리 성능과 새로운 서비스들에 대한 빠른 대응을 위하여 네트워크 프로세서가 사용되고 있다. 네트워크 프로세서는 다중 프로세서, 멀티쓰레드 시스템 등의 하드웨어 특성으로 패킷 처리 속도가 높지만 메모리의 접근이 잦으면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프로세서의 구조에 적합한 패킷 분류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게임이 사용자의 공격성ㆍ사회성ㆍ정서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연구

        이은하 ( Eun-ha Lee ),강진원 ( Jinwon Kang ),김제홍 ( Jeahong Kim ),안주희 ( Joohee Ahn ),강귀영 ( Kathleen Gwi-young Kang ),김준우 ( Joonwoo Kim ),이솔빈 ( Solbin Lee ),조성학 ( Seonghak Jo ),남기춘 ( Kichun Nam )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2008년 1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보고된 국내외 출간ㆍ비출간 연구를 대상으로 오락용 게임이 일반 사용자의 공격성, 사회성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변량 메타분석을 시행했다. 총 22개 관련 연구(효과 크기수 = 54개, 참여자 수 = 8031명)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의 이용이 사용자의 정서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진실험연구 분석 결과에서만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의 이용이 사용자의 공격적 인지와 친사회적 행동에 약한 수준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공격적 행동과 부정적 감정(예를 들면 불안, 우울 등)에 미치는 영향은 진실험, 준실험 및 상관회귀 연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절변수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 이용의 효과는 아동보다 청장년에게서, 남녀의 비율이 균등하게 통제된 연구보다 남성의 비율이 더 높은 연구에서, 그리고 방법론적 질이 높은 연구보다 방법론적 질이 낮은 연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게임의 폭력성 또는 폭력적 게임 이용이 사용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으며, 이 또한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그리고 연구의 방법론적 질에 따라 좌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video game play on a variety of areas of mental well-being, such as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cognition, prosocial behavior, prosocial attitude, antisocial behavior, antisocial attitud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We conducted a multivariate meta-analysis on 22 studies (k= 54, N = 8,031)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8 and October 2019.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indicate that exposure to violent video games significantly increased aggressive cognition and negative affect only in true experimental studies, but their influences were small. Furthermore, the exposure to violent video games did not increase aggressive behavior and negative affect across all the research designs (true experimental, quasi-experimental, and correlational). Modera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exposure to violent video games were much larger for younger adults than for children and greater in male-biased studies than in gender-balanced ones. Additionally, studies using better methodologies were less likely to produce negative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exposure to violent video games on aggression were not as severe as popular opinion holds, and the effects were heavily modulated by the age and gender ratio of the participants, and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 기후변화 적응체계의 신뢰도 평가 방법론 연구

        조동인(Dongin Cho),박창근(ChangKeun Park),박지영(Jiyoung Park),강진원(Jinwon K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5

        현재 국제사회에서 논의되는 중요한 의제 중 하나로 기후변화 문제를 들 수 있다.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영향을 지역수준에서 평가하고 그에 따른 적응대책을 적절하게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대책에 대한 평가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평가 방법론이 제안되고 있으나, 평가 관련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예측 시 각 지역별 및 부문별 적응대책의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신뢰도 평가체계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성적 혹은 정량적 방법과 함께 현실내재적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평가체계의 신뢰도 평가 모형을 개발 할 때, 신뢰도 평가가 탄력적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통합적 평가방법론의 신뢰도 평가체계는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대응책 평가에 대해 신뢰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평가된 결과를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신뢰도 평가모형은 향후 기후변화 대응책의 신뢰성을 표준화해서 국내 실정에 맞는 적응정책 신뢰도 평가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한국형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평가 시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이 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Climate change is one of most dominantly discussed issues in the world. Evalua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at a regional level and setting up an appropriate adaptation policy for issu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require a proper evaluation process on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jects implemented already. Although various evaluation approaches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have been proposed, it is rare to find a proper systematic approach to evaluating the reliability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system to evaluate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etical and standardized evaluation system on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The new approach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be appropriate when requiring a confidence level for adaptation programs that are especially localized and categorized. Using various quantified and qualified evaluation methods with the inherent reality mechanism, we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with the flexible adjustment process. Via the proposed frame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fidence level on the results collected from the evaluation systems and construct a standardized, system-wide assement procedure toward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By applying this approach for a scientific evidence on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appropriate and effici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will be properly prepared for and implement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