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合巻「東海道中栗毛弥次馬」における 原話離れと作意について

        康志賢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3 No.-

        <膝栗毛물>작품군 중에서 본고 고찰대상인 합권東海道中栗毛弥次馬의 문학사적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행작품과 비교하여 어디가 다른지, 작자, 또는 화공은 무엇을 창조했는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하겠다. 선학에 의한 논고가 거의 보이지 않는 東海道中栗毛弥次馬 군 중에서도 鈍亭魯文作・芳直画의 滑稽本風合巻과, 岳亭春信作・芳幾画의 短編合巻에 대해서 다른 <膝栗毛물>과 비교하면서 고찰하였다. 원작에는 없는 본문의 창출 및 내용의 개변 부분을 지적하고 그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작자들의 의도를 살핀 결과, 抄録家로서의 鈍亭魯文의 일면과, 岳亭春信의 풍부한 創作性이 부각되어졌다. 전자의 경우, 후반부는 원화와 여정을 달리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새로운 취향이 부족한 작품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창작담이라고 할만한 장면은 없으며 끝맺음 익살(오치)을 변경하는 정도의 각색은 있다 하더라도, 작품 전체적으로는 원문을 거의 충실하게 따르고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후자의 경우 横浜絵등에 취재한 듯한 창의성이 돋보이는 창작담이 군데군데 있으며 유행에 민감한 春信의 창작자세가 엿보였다. 또한 魯文과 岳亭가 적은 서문・발문 등으로부터 <膝栗毛물>을 집필하려고 한 의의를 살펴보면, 집필경위와 동기는 양자 모두 대동소이하다. 단 魯文이 스스로 표방하는 언설과 같이,「戯作의 첫 여행」시기에 있어서 「抄録家로서의 魯文」의 창작방법을 여실히 보여주는 전형적인 증거가 될 수 있는 작품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하겠다. About the creation and artificiality in “TokaidoutyuKurigenoyaziuma” It is important to clarify what the author or the painter created it compares it with a precedence product at then to confirm valu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TokaidoutyuKurigenoyaziuma” which is the text of this report in the workgroup of the Hizakurigemono where was diffident in. In “TokaidoutyuKurigenoyaziuma”, I considered about Gokan of TonteiRobun product / Yosinao image and the Gokan GakuteiHarunobu product / Yosiiku image while comparing with while comparing it with other “Kurigemono”. As the result, it become clear GakuteiHarunobu’s rich fictiveness and of TonteiRobun’s one side as the person of abstract. In addition, both wring motives resemble it when they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that was going to write preface from Robun and Gakutei who wrote down. But, in the case of Robun, a point to profess itself to be a creation method of "Robun as the person of abstract" by oneself was peculiar.

      • KCI등재

        교통법규 위반행위에 대한 심리적 영향 연구 : 서울시 자가운전자를 중심으로

        강지현,최수형 한국범죄심리학회 201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9 No.2

        교통법규 위반행위는 이로 인한 사고발생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관련논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다양한 교통법규 위반행위 중에서 음주운전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다소 활발한 편이나, 정지선 및 신호위반, 최저·최고 속도위반, 안전거리 미확보 등 다른 위반행위들에 대해서는 논의 및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인식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통법규 위반행위의 예측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선행연구들에서 밝힌 음주운전 예측요인이 다른 교통법규 위반행위에도 적용되는지,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목하지 않았던 교통법규위반 단속경험, 교통사고 피·가해경험과 교통법규위반으로 인한 부정적 사회적 결과 인지 등의 심리적 변수를 포함하여 이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자료는 서울시 자가용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소 운전 습관 및 경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연구결과, 운전자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은 교통법규 위반행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통법규의 지식수준과 일일평균 운전거리 및 단속경험, 교통사고 가해 경험 등이 교통법규 위반행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통법규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하루 평균 운전거리가 길수록, 경찰이나 CCTV 등을 통한 교통법규 위반 단속 경험이 많을수록 교통법규 위반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통단속이 교통법규 위반단속을 통한 교통법규 준수라는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자가 교통법규 위반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일수록, 교통법규 위반으로 인한 지각된 부정적 사회적 결과가 많다고 생각할수록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nalyze factors influencing drivers’ traffic rule violation. Previous studies do not pay much attention on the traffic violation behaviors of drivers except drunken driving. Present study focus on traffic violation behavior of drivers including speeding limit violation, signal violation (crossing on a red/amber light), etc.,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raffic rule violation are examined. Self-reported survey data of 461 drivers in Seoul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 indicated that driv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o not affect on traffic rule violation behaviors. There was an effect of average daily driving distance, traffic accident experience, and previous experience receiving traffic tickets on drivers’ traffic rule violation behaviors. Drivers with longer distance of daily driving, those who have history as traffic accident offenders, and those who had received traffic tickets are more likely to violate traffic rules of speed limit, traffic sign, etc. In addition, drivers’ knowledge on the traffic rules and attitudes toward traffic violations differentiate their chance to violate traffic rules. Drivers who lack of knowledge on traffic rules and wh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raffic rule violations are more likely to break the traffic rules while driving. Finding of the current study imply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study of traffic violation behaviors including drivers’psychological perspectives, socio-demograph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drivers.

      • KCI등재

        소아 환자에서 욕창 위험도 사정 도구의 예측타당도 비교 : Braden, Braden Q 및 Braden QD 도구

        강지현,임은영,이남주,유혜민 병원간호사회 2024 임상간호연구 Vol.3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edictive validity of pressure injury risk assessment, Braden, Braden Q and Braden QD for pediatric patients. Method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patients under the age of 19 who were hospitalized to general wards, intensive care units of a children’s hospit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pressure injury were collected, and predicted validity was compared by calculating the areas under the curve (AUC) of the Braden, Braden Q, and Braden QD scales. Results: A total of 68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 total of 13 (1.9%) patients had pressure injuries, and the number of pressure injuries was 17.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pressure injuries were 9 (52.9%) immobility-related and 8 (47.1%) medical device-related. The AUC for each scale was .91 (95% CI .89~.94) for Braden, .92 (95% CI .90~.95) for Braden Q, and .94(95% CI .92~.96) for Braden QD. The optimal cut-off points were identified as 16 for Braden (sensitivity=88.8%, specificity=86.4%), 17 for Braden Q(sensitivity=63.6%, specificity=94.9%), and 12 for Braden QD (sensitivity=94.4%, specificity=88.7%). Conclusion: The Braden QD scale demonstrated the highest predictive validity for pressure injuries in pediatric patients and is expected to be valuable tool in preventing pediatrics pressure injuries.

      • KCI등재

        한국 성인 당뇨병환자의 고혈당 조절에 대한 다치료적 접근

        강지현 한국문화인류학회 1996 韓國文化人類學 Vol.29 No.2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illness behavior among Korean diabetics who participate in a multi-therapeutic system in terms of efficacy of controlling blood glucose levels. A total of 83 patients were interviewed (41 males and 42 females) ranging from 20 to 80 years old. Fifty patients primarily depended on the treatments with Western medicine (PWM) and 33 patients primaily depended on holistic treatments (PHT). The study examines diabetes interventions, including diet, exercise, insulin or hypoglycemic pills and other therapies (for example, raw vegetable therapies based on five elements, purified salt therapies, Danchunhohup,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home remedies). The average blood glucose levels of the patients are 165.8 mg/dl for PHT and 206.1 mg/dl for PWM. In general, Korean diabetics are in well-controll of their blood glucose level. Among the diabetics, those who was home remedies and raw vegetables juice achieved slightly lower blood glucose level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therapies are more efficient than others. It requires more accurate research including clinical test for some medicinal supplem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must be informed to diabetics because it is hard for them to separate legitimate therapies from fake ones. Most PHTs tend to have strong self-concepts. The self-concept defined as a meaning of being a diabetic patient is a predictor of blood glucose levels for PHT. Most PWMs, however, reported that they felt depressed or saw diabetes as a final stage of life. The self-concept of PWMs was strongly correlated to diet, exercise time, blood glucose levels, and family support, but was not correlated to the untake of insulin or pills or doctor visits.

      • KCI등재

        魯文作<膝栗毛もの>合巻三種のこと - 『東海 道中栗毛弥次馬』・『日光道中膝栗毛』の書誌を論じ『岐蘇 街道栗毛弥次馬』板元推定に及ぶ -

        康志賢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일본학연구 Vol.45 No.-

        본고는 安政期의 魯文글<膝栗毛물>合巻 세 작품을 중심으로 출판업자 추정 외에 서지학적 문제점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岐蘇街道栗毛弥次馬』의 출판업자추정을 위해서는 해당 작품의 서지뿐만 아니라 해당 작품 전후로 간행된 『東海道中栗毛 弥次馬』・『日光道中膝栗毛』를 축으로 여타 魯文글 <膝栗毛물>合巻을 시야에 넣고 서지를 조사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새로운 견해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永壽堂은 安政二年(1855)에 점포를 유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合巻 ⓐ 『東海道中栗毛弥次 馬』의 출판업자는 「永壽堂」일 것이라고 추측 가능한 토대가 마련된다. 둘째, 安政三年 (1856) 3월에 鈍亭魯文글・一盛斎芳直그림으로 合巻 ⓑ 『岐蘇街道栗毛弥次馬』를 간행한 출판업자에 대하여 선행연구에서는 「新庄堂糸屋庄兵衛」라고 했으나 「當世堂品川屋 久助」일 것이다. 그 근거는 『日光道中膝栗毛』의 魯文서문 「伯楽街, 西与가 요구한 弥二 馬에, 東海道를 쭉 타서 그 돌아오는 말에 木曽街道는 小伝馬街의 当世堂이 부탁하는그대로 적었다」등에 의한다. 셋째, ⓗ 『日光道中膝栗毛』의 서문・본문・마지막 페이지(巻尾)를 통하여 魯文글<膝栗毛물>合巻 간행에 대한 출판업자 新庄堂의 의지가 엿보이는 가운데, 대부분 광고하는 그대로 출판하고 있다. 현존하는 魯文글 <膝栗毛물>合巻으로서 9작품을 직접 조사할 수 있었는데 그 중에 新庄堂板이 합계 6작품이라고 하는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으로부터도 본 시리즈에 대한 新庄堂 그의 열의를 가늠할 수있는 바이다. This paper mainly the three Gokan of Robun’s work “Hizakurige group”, intends to investigate the estimation of the publishers and bibliographical problems. Especially, in order to estimate the publishers of ⓑ “KisokaidoKurigenoyajiuma”, mainly ⓐ “TokaidochuKurigenoyaziuma” and ⓗ “NikoodochuHizakurige” that was published back and forth the work, it wa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bibliography of Gokan of Robun’swork “Hizakurige group”. As a result, the following three points was found. The first, publisher of Gokan ⓐ is “Eizyudo”that maintain the shop in 1855. The second, the publisher that 162 《日本學研究》第45輯 published ⓑ in March 1856 is “Sinsyodo” in the previous research but according to Robun’s preface of ⓗ, it is the “Toseido”. The third, through the preface, text and final page of ⓗ, the enthusiasm of publisher “Sinsyodo”is suggesting for publication for Gokan of Robun’s work “Hizakurige group”

      • KCI등재

        G192.81.1: A CANDIDATE OF AN EVOLVED THERMAL COMPOSITE SUPERNOVA REMNANT REIGNITED BY NEARBY MASSIVE STARS

        강지현,구본철,변도영 한국천문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ol.47 No.6

        G192.81.1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faintest supernova remnants (SNRs) in the Galaxyuntil the radio continuum of G192.81.1 is proved to be thermal by Gao et al. (2011). Yet, the nature ofG192.81.1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Here, we report the possible discovery of faint non-thermalradio continuum components with a spectral index α 0.56 pS9νq around G192.81.1, while mostof the radio continuum emission is thermal. Also, our Arecibo Hi data reveal an Hi shell, expandingwith an expansion velocity of 20 – 60 km s1 , that has an excellent morphological correlation with theradio continuum emission. The estimated physical parameters of the Hi shell and the possible associationof non-thermal radio continuum emission with it suggest G192.81.1 to be an 0.3 Myr-old SNR. However, the presence of thermal radio continuum implies the presence of early-type stars in the sameregion. One possibility is that a massive star is ionizing the interior of an old SNR. If it is the case,the electron distribution assumed by the centrally-peaked surface brightness of thermal emission impliesthat G192.81.1 is a “thermal-composite” SNR, rather than a typical shell-type SNR, where the centralhot gas that used to be bright in X-rays has cooled down. Therefore, we propose that G192.81.1 is anold evolved thermal-composite SNR showing recurring emission in the radio continuum due to a nearbymassive star. The infrared image supports that the Hi shell of G192.81.1 is currently encountering anearby star forming region that possibly contains an early type star(s).

      • KCI등재

        岳亭春信期の万延・文久期切附本の書誌学的研究 -二代目岳亭関連著編述書目年表稿の一環として-

        康志賢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학연구 Vol.40 No.-

        岳亭春信期인 万延・文久期切附本의 서지학적 연구 -二代目岳亭 관련 편저술서 서목 연표 작성을 위하여- 알려지지 않은 작자의 정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원전자료 조사에 입각한 그의 저술활동을 탐색하는 것이 유일무이하면서도 기본적인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대 가쿠테이(二代目岳亭)가 관계하는 편저술서 서목 연표 구축을 위한 토대로서, 본고에서는 岳亭春信期에 해당하는 万延・文久期에 제작된 切附本류 10작에 대해서 서지학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切附本작자로서의 가쿠테이의 면모를, 『敵討腕野喜三郎一代記』의 稿本과 刊本, 『神稲徳次郎・木鼠孝蔵/武勇水滸伝』의 작자, 『青戸硯雲切仁左衛門』의 서문과 간행연도, 『山崎大合戦』3종의 관점에서 논하고, 위인전그림책(銘々伝絵本)작자・교열자로서의 가쿠테이를 『武者修行巡録伝』화공과의 관계, 『男達銘々傳』작자, 『古戦場誉組討』의 교열자・서문집필자・작자, 『豊臣太平記』서문집필자라고하는 시점에서, 전 페이지에 삽화가 들어간(全丁絵入) 切附本작자로서의 가쿠테이를, 『万国竒談袋』서문, 『敵討高名録』의 초편과 2편이라고 하는 시점에서 논함으로써 지금까지 수수께끼였던 다양한 이름의 작자 및 서문집필자의 정체, 그리고 그들과 화공, 출판업자와의 상호관계, 동명이서(同名異書), 후인본(後印本), 새로운 편(編)의 발견과 같은 서지학적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study of bibliography about Kiritukebon which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GakuteiHarunobu” - to make the annals of the GakuteiⅡ - It will be the most basic study method to follow writings activity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original document to study the real nature of the unknown author. For 1860 through 1862 when he gave his name “Gakutei Harunobu”, it is the golden age as the author to write a work of 70% in 66 total work products which he wrote on a life. He wrote ten products only in Kiritukebon in spite of the short term called these three years. Therefore, I gave inspection of the bibliography I elucidated his activity as Kiritukebon author and to build a chronological table. As a result, result such as, in fact, three kinds being different books, the discovery of the new book which was not found so far of real nature of “Bunzyaku” “Kyosakudo” “Bunya” and the same title of a book was provided.

      • KCI등재

        어머니와 교사가 보고한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발달경로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

        강지현 한국교육치료학회 2016 교육치료연구 Vol.8 No.2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form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mong preschoolers via repeated evaluations by their mothers and teachers. Further,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s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were examined. Subjects were 165 preschool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alysis with cohort sequential design revealed that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reported by both informants gradually decreased, but the variances in slope were significant only for mother-reported data.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initial value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were high novelty seeking and harm avoidance for mother-reported data, and high novelty seeking for teacher-reported data. A factor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variance was persistence for teacher-reported data. The implications of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using multiple informants when assessing and counseling preschooler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교사의 반복 평가를 통해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의 형태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유아 기질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아 165명이었다. 동시대집단 시계열설계를 적용하여 잠재성장곡선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어머니와 교사 모두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발달경로를 보고하였으나, 변화율의 개인차는 어머니 보고 자료에서만 유의미하였다. 둘째, 외현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의 초기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 어머니 보고 자료에서는 자극추구와 외험회피 기질의 영향력이 유의하였으며, 교사 보고 자료에서는 자극추구의 영향력이 유의미하였다. 변화율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변인은 교사 보고 자료에서는 인내력 기질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를 상담하고 문제행동을 평가할 때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