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관한 연구

        강정화,한숙정,Kang, Jeong Hwa,Han, Suk J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대해 조사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수도권 소재 10개 종합병원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Inumiya(2002)가 개발한 사생관척도 중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생명존중의 4개요인 총 6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의미 이해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27점이었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평균 4.18점)보다 부정적 의미(평균 4.38점)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았다. 죽음불안은 평균 4.43점, 죽음관여도는 평균 4.12점, 생명존중의지는 평균 4.18점이었다. 죽음의미는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생명존중의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불안은 죽음관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관여도는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신규간호사는 경력간호사에 비해 죽음의미 이해 정도가 낮고, 죽음불안과 죽음관여도가 높으며 생명존중의지가 낮으므로,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하여 임종환자 및 가족을 간호하는 역할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investigated how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Methods: From November 2009 through February 2010, a survey was conducted on 230 nurses working at the ICU of 10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67 questions under four categories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Results: Participants scored 4.27 points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4.43 on death anxiety, 4.12 on death concern and 4.18 on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positive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negative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death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ath concern and nega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death concer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pect for life. Conclusion: Compared with nurses who served at ICU for a long time, nurses with less ICU experience scored lower on the meaning of death and respect for life, while they presented high anxiety and concern about death. A training course may help nurses develop their view on the meaning of death, which in turn would enhance their performance in caring dying patients.

      • KCI등재

        典庵 姜鼎煥의 시 세계 고찰

        강정화(Kang, Jeong-hw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典庵 姜鼎煥(1741~1816)은 현 경상남도 함안군 漆原 舞沂里에서 태어나 만년에 거창으로 옮겨가 살았던 강우지식인이다. 주지하듯 인조반정으로 세력을 상실한 강우지역의 남명학파 문중은 18세기에 들어와 문중적 전향이 이루어지는데, 전암의 가문은 洛學 계열의 老論을 지지하였다. 그의 스승은 당시 朝野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던 渼湖 金元行(1702~1772)이다. 그 때문인지 典庵集에는 강우지역과 연계시킬 만한 기록이 많지 않다. 합천 함벽루나 진주 촉석루를 비롯해 만년의 거주지 거창 일대를 읊은 한시가 더러 보이는 정도이다. 8권 4책의 분량임에도 江右學者의 이름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전암은 스승이 내려준 ‘옳음 찾고[尋是] 실질에 힘쓰는[務實]’ 삶을 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는 일상에서 한순간도 소홀히 하거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敬으로써 마음을 붙드는 것을 일컫는다. 天理는 高遠한 데에 있지 않고 일상생활의 자잘한 것에 모두 깃들어 있으니, 공부하는 士는 일상의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이 ‘옳음’을 찾고 이의 실천에 힘써야 한다는 간명한 이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성향과 인식은 그의 작품에 그대로 드러났는데, 대표적인 것이 한시이다. 전암의 한시는 내용면에서나 형식면에서 풍부한 다양성을 지니고 있었다. 내용면에서는 재야지식인으로서의 士意識이 깊게 스며 있었고, 중국과 자국의 역사에도 관심이 많아 역사 속 인물 및 사건을 매개로 한 懷古詩가 많았다. 형식면에서도 首尾吟詩나 擬作詩 등 다양한 표현기법을 활용해 상상력을 발휘하였다. 특히 병자호란을 전후한 역사적 상황과 이를 기록한 여러 저술을 접하면서 현세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을 표출하였다. 이는 평생 강우지역에 살았던 전암이 서울과 경기지역의 스승 및 동문과의 교유를 통해 습득된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강우지역 여느 재야 지식인과 차별되는 전암의 성향이라 하겠다. Joenam Kang Jeong-hwan(1741~1816) was a Gangwoo intellectual that was born in current Mugi-ri, Chilwon, Haman-kun, Gyeongsangnam-do and moved to Geochang in his latter days. As everyone knows, the clan of Nammyeong School in the Gangwoo area underwent clan-wide conversion in the 18th century after losing their power following King Injo s enthronement. Jeonam s family supported the Noron in the Nakhak line. His teacher was Miho Kim Won-haeng(1702~1772) that had enormous influence on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those days, which maybe explains the lack of records in his Jeonamjip to connect him with the Gangwoo area. It only contains some Chinese poems he wrote to depict the Geochang area where he moved in his latter days including Hambyeokru of Hapcheon and Chokseokru of Jinju. Even though the collection consists of eight books and four volumes, it mentions no names of Gangwoo scholars. Jeonam made constant efforts to lead a life of finding rightness and devoting to practice according to instructions of his teacher. This life attitude meant that he kept his mind in the right state based on respect so that he would not neglect or go easy on any moment in daily life. The logic behind it is simple and clear; the natural law is not far and high away but dwells in trivial things of daily life, asking any learning scholars to find this rightness in very small things of daily life and devote themselves to its practice. This tendency and awareness was revealed in Jeonam s works. Good examples are found in his Chinese poems. Jeonam s Chinese poems boast rich diversity both in content and form. In terms of content, many of his Chinese poems are reminiscent poems involving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as he had the consciousness of a classical scholar deep inside him as an intellectual out of office and showed much interest in the history of China and Joseon. In terms of form, he made use of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including Sumieum and Uijak to exert his imagination. Learning about the historical situations before and after Byeongjahoran and reading many different books about them, in particular, he exercised his profound insight into this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his social intercourse with his teachers and alumni in Seoul and Gyeonggi from his lifelong residence in Gangwoo. This is his tendency differentiating him from any other intellectuals out of office in the Gangwoo region.

      • KCI등재

        16세기 유일(遺逸)의 방외인적(方外人的) 성향(性向)에 관한 고찰

        강정화 ( Jeong Hwa Kang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8

        士禍期의 遺逸은 현실에 얽매이거나 안주하는 인물이 아니었기 때문에, 마치 유학의 범주에서 일탈한 인물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이들에게서 보이는 方外人的 性向은 방외인의 그것과는 분명 다른 것이다. 우리 문학사에 등장한 방외인의 조건, 곧 出處의 논리가 儼存하던 조선전기라는 시대적 여건과, 유교가 아닌 이단을 사상적 기저로 삼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대표적 방외인으로 일컬어지는 金時習은 유가적 수양을 받고 현실에 끊임없이 저항했더라도, 불가에 입문하여 승려생활을 했으며 또한 불교를 그의 사상적 기저로 받아들였던 인물이다. 그는 분명 方外에서 살았던 것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논제한 인물들은 불완전한 현실세계와 自我와의 끊임없는 대결 속에 고뇌하면서도 결코 그 현실을 벗어나지 않았다. 그들은 어떠한 경우에도 方內를 벗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도 이들을 방외인으로 과장되게 표현하는 것은 그들의 문인에게 방외인에게서 나타나는 현실적 불만과 그로 인한 돌출된 행위가 많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는 16세기 사림이 훈구세력보다 우위를 점한 두 가지 덕목, 곧 학문적 우위와 철저한 심성수양 중 후자의 부족 때문이라 생각된다. 특히 徐敬德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는 處士로서 학문적으로든 수양적 측면에서든 자신을 제어할 저력을 갖추었지만, 문인들은 스승의 영향으로 학문적 이론에 강했으나 수양 면에서는 부족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때문에 그들은 스승과 달리 기이한 돌출행위를 일삼았고, 이에서 방외인과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대로 오면서 方士나 術士 등 방외의 인물들이 그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입에 올리게 되었다는 비난은 기실 문인에게서 그 이유를 찾아야 할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16세기 유일의 방외인적 성향에 대해서는 당시 퇴처인에게 성행되었던 博學的 학문성향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러나 학자로서의 철저한 수양을 쌓았지만, 민생에서 절대 벗어나지 못하는 그들이었다. 때문에 민생의 어려움에 도움이 될 만한 것이라면 성리학이 아닌 그 어떤 것도 수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지녔으며, 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방외인적 성향 또한 이러한 흐름에 편성된 것으로 일정부분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들은 성리사상을 바탕으로 철저한 수양과 도학자적 면모를 견지한 퇴처인이었다. In the scholars` massacre period, Yuyil didn`t live peacefully and bounded by the realities of life. So, they describe as a departure person from a Confucian category. In spite of that, the propensity to a marginal inclination of Yuyil apparently differs from Bangoeyin`s. Yuyil didn`t find their way out of the anguished life`s realities keeping a confrontation between the ego and the actual. But the reason why excessively exaggerating them as Bangoeyin is that discontent to a real life and doing things that surprise people were showed by their disciple. Sarim(士林) in the 16th century hold more prominent position in an academic standard`s superiority and spiritual culture than the power group of the royal court. This phenomena were showed by Seogyeongdeok(徐敬德) and his disciple. Seogyeongdeok gains control of himself in both an academic standard and spiritual culture. But his disciple lacks of spiritual culture. They play things that surprise people. In this point, they are similar to Bangoeyin. Paid attention to a marginal inclination of Yuyil in the 16th century is an erudite academic standard. They accumulate a thorough moral culture, but they didn`t free from problems concerning public welfare. For the public welfare, they hold an admission position except for Sung Confucianism. Bangoeyin`s inclination which chanced upon to them seems to be jumping on this flew. They are defined as Toecheoyin who equipping with a thorough moral culture and an aspect of a moralist.

      • KCI등재

        토수 황술조의 예술세계 연구 -1930년대 매체 비평문을 중심으로-

        강정화 ( Kang Jung 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2

        1930년대 근대 화단의 서양화가였던 황술조는 당시 활발하게 활동하며 미술사에 이름을 남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활동 기간이 채 10년이 안 되어 작품이 얼마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황술조는 당시 우리 화단에서 자신만의 화풍을 형성하고, 조선의 예술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했던 화가로 1930년대 우리 문예사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작가이다. 동경미술학교를 졸업한 황술조는 당시 화단의 주류를 이루었던 조선미술전람회에 출전하는 대신 서화협회와 동미회, 목일회 등 소규모 단체에서만 활동하며 기록을 남긴다. 이런 그의 활동은 그의 작풍과도 연결되는데, 당시 화단에 유행하던 사조보다는 자신의 주관을 드러낼 수 있는 방식을 택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황술조는 조선의 예술인 동양화적인 표현으로 자신의 예술을 드러내고자 했다. 미완성인 상태로 끝난 작품이 많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그의 예술 의식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서양화가이지만 동양화도 그렸던 황술조는 작품을 통해 동양화적인 선과 붓의 필치를 드러낸다. 우리 전통의 예술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다. 남아있는 작품과 그에 대한 비평문이 부족하고, 작가 스스로 남긴 글이 남아있지 않기에 그의 예술 의식을 살펴보는 일은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화풍으로 우리 화단의 중견 화가로 활동했던 그의 작품을 만나는 일은 우리 문예사의 한 단면을 들여다보는 일이 될 것이다. 앞으로 황술조에 대한 연구가 풍부해지길 기대한다. Hwang Sul-jo, a Western painter in the 1930s, was active at the time and left his name in the history of art. However, research on him has been insignificant. This is because there are few works left in less than 10 years of his activity. However, Hwang Sul-jo was a painter who thought deeply about how to express Joseon’s art and form his own style in Korean paintings at that time, and must be studied to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and art history in the 1930s. Ater graduation from Tokyo Art School, He left works for small organizations such as the Calligraphy Association, Dongmi Association, and Mokilhoe instead of participating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which was the mainstream of the art troupe at the time. His activities were also linked to his style, which could be seen as a way of expressing his own subject rather than the popular stream at the time. Hwang Sul-jo also wanted to reveal his art in an orientalistic expression. Even though there are many unfinished works, this paradoxically has the effect of highlighting his artistic consciousness. Hwang Sul-jo, a Western painter, but also an oriental painter, revealed oriental painting lines and brush strokes through his works. The works reflect the concerns about how to express our traditional art. There is a limit to looking at his artistic consciousness because of a lack of criticism of the remaining works and his own writings. Nevertheless, meeting his works, which served as a veteran painter of our art troupe with his own style, will be a cross-section of our literary and artistic history. We look forward to abundant research on his art consciousness in the future.

      • RFID 기반 개체식별장치의 정보보호를 위한 프로토콜 모델에 대한 연구

        강정화 ( Jung-hwa Kang ),김재중 ( Jae-jung Kim ),곽계달 ( Kae-dal Kwack ),신승중 ( Seung-jung Sh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최근 들어 유전자원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무선 인식기술로 RFID 가 주목 받고 있다. 기존의 바코드 기술에 비해 RFID 시스템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칩이 내장된 태그의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원거리에서도 인식할 수 있으며 대량의 태그 인식 및 판독, 정보의 수정도 가능하여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논문은 축산, 유통 및 동물과 관련된 IT 산업에서 신속 정확한 정보 획득 및 정보 보호의 방안으로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객체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 태그의 구조를 제안하고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ID 의 불법적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KCI등재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현황과 과제

        강정화 ( Jeong Hwa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6 No.-

        지리산유람록은 조선시대 지식인이 지리산을 유람하고 그 감회를 기록한 글로, 지리산에 대한 역사적·문화적·종교적 의미가 함축된 총체적 자료이다. 현재까지 모두 100여 편이 발굴되었고, 경남문화연구원에서는 이를 모두 완역하여『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시리즈(전6권)로 출간하였다. 이의 출간과 함께 지리산 또는 지리산 유람과 관련한 전문 연구가 폭증하였고, 나아가 우리나라 ‘산의 인문학’이 지닌 가치를 탐색하는 작업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본고는 1985년에 시작된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30년사를 점검하는 첫 번째 자리이다. 관련 성과로는 2015년 4월까지 번역서 6권 외에도 학위논문 10권,연구논문 38편, 단행본 7권이 확인되었다. 초창기 연구는 주로 金宗直·南孝溫·金馹孫·曺植 등 조선전기의 몇몇 유명 작가의 작품에 치중하여 이루어졌고, 첫번역서가 나오는 2000년 이후에야 비로소 전문 연구가 성행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경향은 대략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조선조 지식인의 지리산에 대한 인식을 通時的 관점에서 살핀 통합 연구, 작품 및 작가에 대한 개별연구가 동시에 진행되었고, 번역서 출간 이후 자료의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관광학·조경학·건축학 등 타 분과에서의 연구가 행해졌으며, 근년에 금강산·한라산 등 타 명산과의 비교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의 검토를 통해 다음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발굴된 지리산유람록은 모두 조선시대 士人의 기록이다. 이는 유람록에 나타난 지리산 인식이 조선조 士人 부류에 한정된 것임을 전제한다. 30년의 짧지 않은 연구기간과 60여편의 적지 않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가 유람자인 ‘조선 지식인의 士意識’을 해명하는 범주에서 일관되게 이루어져 왔던 것이다. 또한 연구의 범주가 18세기 이후로 넘어가지 못하고 조선 전반기에 치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체 유람록의 절반 이상이 19-20세기에 산출되었고,게다가 18세기 이후의 지리산 유람은 지리산권역의 지식인에 의해 이루어져 왔음을 감안한다면, 그간의 연구가 지나치게 전반기에 편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의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향후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과제로 남아있다.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are the records of intellectuals about their trips to the mountain and their emotions about them during Joseon, providing total materials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andreligious significance of the mountain implied in them. There are approximately 100 travel essays of Mt. Jiri discovered so far, and the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completely translated them and published them in a series(six volumes) called Ancestors`` Travel Essays of Mt. Jiri. The publication led to the explosion of specialized researches on Mt. Jiri and travels to Mt. Jiri and has had many influences on the efforts to explore the values of "humanities of mountains" in the n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first work to review the 30-year history of researches on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hat started in 1985. The achievements in the research area until April, 2015 include six translations, ten dissertations, 38 research papers, and seven books. The early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some famous figures and their work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including Kim Jong-jik, Nam Hyo-on, Kim Il-son, and Jo Shik. It was after 2000 when the first translation was published that specialized researches became prevalent in the area. There are four overall research trends: there were integrated research tha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Mt. Jiri among the intellectuals of Jose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dividuals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works and writers at the same time; other disciplines including tourism, landscaping, and architecture started to do the research thanks to easier access to the materials after the publication of translations; and comparative researches began between Mt. Jiri and other famous mountains such as Mt. Geumgang and Mt. Halla began in recent years. Those review findings confirmed the two following aspects: all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hat have been discovered so far were written by Joseon scholars that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t, which leads to a premise that the perceptions of Mt. Jiri found in those travel essays were restricted to scholars that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t during Joseon. In spite of not so humble achievements in the research area including 60 works over a period of 30 years, the researches have been consistent within the category of "scholarly consciousness of Joseon intellectuals" that were the travelers to the mountai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esearch scope concentrated on the former half of Joseon, not moving over to the years after the 18th century, which indicates that the researches so far have been heavily focused on the former half of Joseon, considering that more than half of those essays were written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and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Mt. Jiri region made an excursion to the mountain after the 18th century. Those findings propose a task for future researches on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o make various approaches to overcome it.

      • KCI등재

        일반논문 : 누정기에 나타난 하동 누정의 공간 인식

        강정화 ( Jeong Hwa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4 No.-

        본고는 지리산권 누정의 특성을 찾아가는 과정 의 일환으로, 하동지역 누정기를 분석하여 그 속에 투영된 士의 공간 인식을 찾고자 기획 되었다. 하동의 누정은 l9-20세기에 건립되거나 중건된 것이 대부분이고, 누정기 저자 또한 이시기 강우지역 학자에 집중되어 있다. 지역적으로는 하동단성· 진주합천 둥 강우 지역 학자가 다수이며, 지역의 명망 있는 소수 인물이 다수의 기문을 창작함으로써 작품 수에 비해 저자수가 극히 적은 것이 특징이다. 누정기를 중심으로 작가의 공간인식을 살펴보면 ``시대의식의 계승, 토(土)의 수신(修身), 천리(天理)의 구현`` 공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안식정이나 직하재는 누정이 위치한 곳의 지역성을 강조하였고, 악양정은 시대를 초월하여 지역 선현의 삶과 정신을 계승하려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한말 혼란기의 上가 수신을 통해 토의지(土意識)을 고취하는 공간으로 해석되었는데, 이는 주로 루정명(樓亭名)의 뜻을 해석하는 의론류(議論類) 서술의 기문에 많이 나타난다. 누정의 주변 경관과 누정명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하한정이나 함월정은 성리학적 세계관 속에서 천리의 순행을 염원하는 공간으로 표출되고 있다. 기문에 투영된 이러한 공간 인식은 누정이 실질적 생활 장소로서의 기능보다는 다분히 관념적이고 이념적인 공간으로 해석되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presents a journey to the characteristics of towers and pavilions in the Mt, un region, aiming to analyze the records of Hadong`s towers and pavilions and figure out officers` spatial perceptions reflected in them. In Hadong, towers and pavilions were mostly built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Writers of records of towers and pavilions were also concentrated in the period and the Gangwoo society. Geographically speaking, most of those writers came from Gangwoo including Hadong, Danseong, Jinju and Hapcheon. A small number of renowned local figures created a good number of Gimuns, which explains why the number of writers of records of towers and pavilions is extremely smaller than that of those records. The writers` spatial perceptions reflected in their records of towers and pavilions can be categorized into "space for sharing of consciousness," space for moral training," and "space for the implementation of law of nature." Anshikjeong and Jihajae emphasized the locality of a place where a tower or pavilion was standing. Akyakjeong was considered as a place to share the lives and spirits of ancient local sages. It was also interpreted as a space to promote officer consciousness among officers through moral training in late Joseon, which is often found in the Gimuns of Uironryu descriptions that interpret the meanings of the titles of towers and pavilions. Finally, there were some cases that utilized surrounding landscapes and titles of towers and pavilions in complex ways such as Hahanjeong and Hamwoljeong. They were expressed as a space to pray for the natural movement of law of nature in the middle of Sung-Confucian world view. Those spatial perceptions reflected in towers and pavilions indicate that towers and pavilions were interpreted as a rather conceptual and ideological space instead of practical space for living.

      • 경남학 : 탁영(濯纓) 금일손(金馹孫)의 지리산유람(智異山遊覽)과 「속두류록(續頭流錄)」

        강정화 ( Jeong Hwa Kang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0 慶南文化硏究 Vol.31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士들이 지리산을 유람하고 남긴 100여 편의 유람록 중탁영 김일손의 「속두류록」에 대한 고찰이다. 탁영은 여타의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나는 유람행로와는 달리, 지리산권역 중 서쪽인 구례 방면을 제외한 동쪽 · 남쪽 · 북쪽 일대를 모두 둘러보는 경로를 채택하였다. 탁영은 15일간의 유람동안 지리산권역의 문화와 역사를 두루 섭렵하였고, 지나는 곳마다 보고 듣고 접한 현실에 대한 감회를 놓치지 않고 세밀하게 기록하였다. 탁영이 택한 유람 행로와 유람 기간 중 보여준 태도는 산수경관을 즐기기 위한 유람이 아니라, 우리 국토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 삶을 이해하려는 당대 지식인으로서의 자의식(自意識)이었으며, 그러한 자의식은 현실성과 객관성을 중시하는 초기사림의 성리학적 사고(思考)가 발현된 것이었다. 나아가 탁영의 「속두류록」은 후대 조선시대 士들의 지리산 유람의 전범(典範)이 되어, 20세기까지도 수많은 지리산 유람록에서 회자(膾炙)되었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Sokduryurok written by Takyeong Kim Il-son among about 100 tour logs left by Joseon`s scholars after taking a trip to Mt. Jiri. Unlike the authors of other tour logs of Mt. Jiri, Takyeong chose to explore the eastern,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mountain except for the western parts. He extensively experienced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areas of Mt. Jiri during his 15-day trip and made it sure that he wrote down in details what he felt about the reality he saw and heard every place he passed by. The tour route he chose and the attitude he demonstrated during the tour clearly show that he had self-consciousness as a contemporary intellect who was trying to understand the land of the country, its people, and their lives instead of merely enjoying the splendid scenery of the mountains and waters. His self-consciousness was the embodiment of the Sung Confucianist thinking of the early Sarim who valued actuality and objectivity. In addition, Takyeong`s Sokduryurok became the model of tour to Mt. Jiri to the Joseon scholars of the following generations and was mentioned in many tour logs of Mt. Jiri up until the 20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