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강정은 ( Jung Eun Kang ),이명진 ( Moung Jin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 개념을 서울시에 적용, 적정 홍수 취약성 지표 산정 및 퍼지모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분야 중홍수 취약성을 평가하고 GIS를 이용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기후노출(일 최대 강수량, 일강수량 80m 이상인 날 수), 민감도(침수지역, 경사, 지질, 고도,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지형, 토양 및 불투수면적) 및 적응능력(홍수조절능력, 자연녹지, 공원녹지) 등의 자료이며, 이를 GIS 기반의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표 값들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지모형을 활용했으며, 퍼지소속값 결정을 위해서는 빈도비를 활용하였다. 2010년 침수 발생 자료를 활용하여 항목들간의 상관관계 및 퍼지소속 값을 산정하였으며, 2011년 침수 발생 지역으로 작성된 취약성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지역 홍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수, 하천과의 거리, 불투수층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최대강수량이 269mm 이상일 때 적응능력(유수지, 녹지)이 부족하고, 고도가 16∼20m 정도이며 하천에서 50m이내에 인접한 지역, 공업용지에서 홍수취약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 영등포구, 용산구, 마포구 등 한강 본류의 양안에 위치한 구들이 비교적 취약지역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개념을 적용하고, 방법론으로 퍼지모형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취약성 평가기법을 개선하였으며 평가결과는 홍수예방정책에 대한 우선지역 선정과 의사결정의 주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ncept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verify the use of a combination of vulnerability index and fuzzy logic to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and mapping in Seoul using GI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dentified indicators influencing floo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include indicators of exposure to climate(daily max rainfall, days of 80㎜over), sensitivity(slope, geological, average DEM, impermeability layer, topography and drainage), and adaptive capacity(retarding basin and green-infra). Also, this research used fuzzy model for aggregating indicators, and utilized frequency ratio to decide fuzzy membership values.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above 80㎜, the distance from river and impervious surface have comparatively strong influence on flood damage. Furthermore, when precipitation is over 269㎜, areas with scare flood mitigation capacities, industrial land use, elevation of 16∼20m, within 50m distance from rivers are quite vulnerable to floods. Yeongdeungpo-gu, Yongsan-gu, Mapo-gu include comparatively large vulnerable areas. This study improved previous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by adopting fuzzy model. Also, vulnerability map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regarding priority areas for implementing flood mitigation policies.

      • KCI등재

        GIS 자료를 활용한 도시 재개발 주변 지역의 일조 환경 분석

        강정은 ( Jung-eun Kang ),박수진 ( Soo-jin Park ),김재진 ( Jae-ji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물 신축에 의한 주변 지역의 일조 환경 변화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 부경대학교 일대를 중심으로 지형과 건물을 구축하고, 고층 건물 건설 전과 후에 대해 계절별로 일조 모델을 수행하였다. 고층 건물 단지 건설 전에도 대상 지역의 남동쪽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와 남쪽에 위치한 봉오리산의 영향을 받아 일조 차단 영역이 넓게 나타났다. 고층 건물 단지 건설에 의해 주변 지역의 일조 시간이 감소하였고, 일출과 일몰 시간대에는 일조 차단 면적이 증가하였다. 일출 1시간 후의 경우에는 춘분(1.60%), 추분(1.58%), 하지(1.50%), 동지(1.36%) 순으로 일조 차단 면적이 증가하였다. 부경대학교 동쪽(남쪽)에 건설된 고층 건물 단지는 일출(일몰)시 서쪽(동쪽)으로 1,000m(750 m) 이상의 지점까지 일조가 차단되었다. 특히, 부경대학교 내부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에 각각 46.61%, 22.75%, 58.56%, 11.31%의 일조 시간이 감소하였다. 부경대학교 기숙사 건물에 대해 겨울철 1주일 동안 일조 시간을 조사한 결과, 남쪽 고층 건물 단지 건설은 기숙사 건물 서쪽(남쪽) 벽면의 일조 면적을 30.91% (49.45%) 정도 감소시켰다.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he sunshine environment due to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were analyzed by season.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the topography and the buildings were constructed arou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KNU) in Busan. The numerical model was performed for a week in each seaso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Eve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high-rise building complex, the area of sunshine block is wide due to the apartment complex located in the southeast of the PKNU campus and the mountain in the south. After the construction, the sunshine-blocked area became wider after the sunrise and before the sunset. The area of sunshine block after 1 hour at sunrise increased by 1.60%, 1.50%, 1.58% and 1.36% in the vernal equinox, summer solstice, autumnal equinox and winter solstice, respectively. The building complex in the east (south) of the PKNU campus made shadow in more than 1,000 m (750 m) toward the west (east) just before the sunrise (sunset). Especially, the sunshine duration in PKNU campus decreased by 46.61%, 22.75%, 58.56%, and 11.31% in the vernal equinox, summer solstice, autumnal equinox and winter solstice,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the sunshine duration for a dormitory building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complex in the south of the PKNU campus reduced the sunshine area of the western (southern) wall of the dormitory by 30.91% (49.45%) for a winter week.

      • KCI등재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의 홍수예방정책 평가: 미국 플로리다 사례를 중심으로

        강정은 ( Jung Eun K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환경정책연구 Vol.11 No.4

        계획가들은 지자체가 기후변화로 심화되고 있는 홍수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고 적절한 홍수예방정책을 도시계획에 통합하고 반영한다면 홍수피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러한 계획가들의 생각을 검증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에 채택된 홍수예방정책들의 종류와 수준을 계획평가 방법론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 홍수예방정책들로 구성된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플로리다 53개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도시별로 도시기본계획에서 채택한 수해예방정책의 종류와 수준이 상당히 다양함을 보였다. 플로리다에서는 홍수터의 토지이용 규제, 습지개발허가제 등 토지이용규제를 활용한 홍수예방정책들이 폭넓은 동의를 얻어 활용되고 있는데 반해, 취약지에 대한 토지수용, 인센티브를 활용한 홍수예방정책들은 자주 채택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해안가 도시들이 내륙도시보다는 도시계획을 통한 홍수예방에 훨씬 더 높은 관심을 보였다. 연구대상인 53개 계획의 평가점수는 평균 38.55로, 획득가능한 점수의 약 35.69%에 해당하여 여전히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홍수예방정책이 수립되고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관심과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계획평가의 개념과 방법론은 기존계획의 수준을 평가하거나, 새로운 정책이나 계획을 준비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공하므로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환경, 재해 이슈에 적용할 수 있다. ‘Planning researchers’ believe that losses from floods can be reduced if governments address this issue and adopt appropriate policies in their plan. As a starting point for examining this idea, this research assessed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 to incorporate flood mitigation policies in their local comprehensive plans using plan quality evaluation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53 local comprehensive plans in Florida against the protocol developed by including key flood mitigation policies. While flood mitigation through land use management tools, such as permitted land use in floodplain areas and wetland permit,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at the local level in Florida, incentive based tools/taxing tools and acquisition tools were rarely adopted. Study results show that 53 local plans in the sample received a mean score for total flood mitigation policy quality of 38.55, which represents 35.69 % of the total possible poi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still considerable room for improvement by local governments on flood issues. The scores of local plans varied widely, with coastal communities receiving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coastal communities. Because the concept of the plan quality and its methodology offer an objective and straightforward tool for studying plan quality and guiding plan preparation, they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al and hazard issues in Korea.

      • KCI등재

        도시물순환 개선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 개발 및 시범적용-부산시 연제구 및 남구를 대상으로-

        강정은 ( Jung Eun Kang ),이명진 ( Moung Jin Lee ),구유성 ( You Seong Koo ),조연희 ( Yeon Hee Ch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3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과거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방재, 안전의 개념이 도시개발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개발에 따른 불투수층 확대에 따라 강수, 저류, 침투, 증발산 및 유출로 이어지는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의 왜곡을 초래했다.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를 활용하여 도시 물순환 체계를 개선하고 도시의 홍수저감 효과를 높이는 노력들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접근성이나 심미성의 측면으로만 그린인프라를 계획하고 있어 그린인프라가 가지는 다양한 효과들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도시 물순환을 개선하고 홍수저감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시범지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프레임워크의 1단계에서는 해당지역의 여건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홍수취약성 분석을 통해 취약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 우선 설치지역을 도출하는 공간계획을 수립한다. 홍수취약성은 빈도비모형과 GIS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리적 여건, 홍수 경험, 재정 등 다양한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그린인프라 기법을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에 적용하여 주요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원, 빗물정원, 투수성 포장 등을 활용한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였다.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가 도시계획, 환경계획, 개발계획 등 다양한 도시공간계획과 연계되어 반영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그린인프라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Cities in Korea have rapidly urbanized and they are not well prepared for natural disasters which have been increa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y often struggle with urban flooding. Recently, green infrastructure has been emphasized as a critical strategy for flood mitigation in developed countries due to its capability to infiltrate water into the ground, provide the ability to absorb and store rainfall, and contribute to mitigating floods. However, in Korea,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only focuses on esthetic functions or accessibility, and does not think how other functions such as flood mitigation, can be effectively realized. Based on this, we address this critical gap by suggesting the new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and maximizing flood mitigation capacity. This framework includes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identifying flood risk area and deciding suitable locations for green infrastructure. We propose the use of the combination of frequency ratio model and GIS for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framework also includes the selection process of green infrastructure practices under local conditions such as geography, flood experience and finance. Finally, we applied this planning framework to the case study area, namely YeonJe-gu an Nam-gu in Busan. We expect this framework will be incorporated into green infrastructure spatial planning to provide effective decision making process regarding location and design of green infrastructure.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인권 관점에서 바라본 국내 아동 성착취 제도 개선 과제

        강정은(Jung-Eun Kang),김희진(Hee-Jin Kim)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9 이화젠더법학 Vol.11 No.1

        본 논문은 아동 성매매가 아동의 취약한 상황을 이용한 성착취범죄라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아동 성매매를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될 필요를 확인하며, 아동인권 관점에서 현행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유엔 아동권리협약을 중심으로 아동 성매매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점을 살펴보고, 2) 아동 성매매를 규율하는 현행 법・제도 및 대한민국의 아동권리협약 이행을 심의한 유엔 아동권리위원회 최종견해 중 아동 성착취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3)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아동 성착취와 관련된 제도의 실질적인 한계와 구체적인 어려움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자발적으로 성매매를 한 경우로 분류된 ‘대상아동・청소년’은 국가의 성폭력지원체계에서 배제되었고, 「소년법」상 소년보호재판을 받는 등 사실상 성매수범죄의 공범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국내 제도는 아동인권 보장을 위한 국제사회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성착취 피해아동의 권리 보장을 위한 국가의 의무이행을 촉구하며, 나아가 보편적 아동인권 실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affirm that the child prostitute is a sexual exploitation crime using the vulnerable situation of the child, and to ensure the necessity of paradigm shift in the view of child prostitution. Further this study is to offer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in Korea. In doing so, we first reviewe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n sexual exploitation of children in prostitution. Second, we examined the current legislation and institutional system regulating child prostitution in Korea, and UN CRC committee’s concluding observation from its recent conside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Finally, we identified limitations and problems under the current legislative system based on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findings, we concluded that the current Korean system of viewing children as sexual prostitutes according to consent and voluntarism does not fulfill the international standard on the children’s rights, thus child right based approach should be introduced. This study call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te party’s obligation to ensure the rights of children to be protected in the sexual exploitation, and further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universal fulfillment in the rights of the child.

      • U-SilverCare 응급상황 통보 시스템 시나리오 구현

        강정은 ( Jung-eun Kang ),정혜영 ( Hye-young Jung ),라창현 ( Chang-hyun Na ),이승제 ( Seung-je Lee ),김영만 ( Young-ma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2

        우리 나라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고 그에 이어 초 고령화 사회가 예상되는 가운데, 실버 세대를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의료 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독거노인과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하여 USN을 활용한 노인 건강관리 시스템(U-SilverCare)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속도센서 (Accelerometer Sensor),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 (POximeter Sensor), 심장박동센서(EKG Sensor)를 이용하여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4 가지로 구성, 실버 세대를 위한 U-SilverCare 응급상황 통보 시스템 시나리오를 구현하였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강정은(Kang, Jung-Eun),김정준(Kim, Jeong-J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누리과정 보육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개정 누리과정에 관한 전반적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관심도와 교사의 이해도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나, 성과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및 부정적 인식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는 직장어린이집 교사가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와 성과, 이해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어려움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경력과 연령, 평가제 참여횟수가 많은 교사가 성과와 역량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어려움과 부정적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개정 누리과정 실행 후 유아 주도적 놀이가 증가했다는 응답과 함께 코로나 19로 인해 아직 제대로 실행하지 못했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과 전문성의 격차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을 위해 보육현장에 적합한 교사학습 공동체나 컨설팅과 같은 소집단 형태의 구체적인 교사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hanges and difficulties in regarding implementation of the 2019 National Nuri-Curriculu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3 childcare teacher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2019 Nuri-Curriculum was favorable. Specifically,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teacher’s competency were high, but recognition of achievements, difficulties, and negative perceptions were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As fo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workplace-based child-care centers teachers showed high interest, perceptions, achievements, in the 2019 Nuri-Curriculum, and difficulties were low. Older teachers, those with a lot of experience, and those participating in evaluation certification, perceived their achievements and abilities favorably, while their difficulties and negative perceptions were unfavorably. Seco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2019 Nuri-Curriculum, the responses indicated that child-led play has increased, althogh it has not yet been properly applied due to COVID 19, and there is a difficulty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nd a gap in expertise. Therefore, it may be suggested tha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2019 Nuri-Curriculum, specific teacher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eacher-learning community or small group assistant, such as consulting.

      • KCI등재

        수도권 지역 도시대기측정소 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농도의 지리적 분포 특성

        강정은 ( Jung-eun Kang ),문다솜 ( Da-som Mun ),김재진 ( Jae-jin Kim ),최진영 ( Jin-young Choi ),이재범 ( Jae-bum Lee ),이대균 ( Dae-gyu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물질(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농도와 지형 고도, 건물 면적비, 인구 밀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지형 고도와 건물 면적비를 분석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였고, 건물 면적비를 계산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을 TM 중부원점을 기준으로 수평 9 km × 9 km 격자로 구분하였다. 인구 밀도는 국가통계포털의 행정구역별 면적과 인구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기오염물질농도 자료는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대기측정소 146개 지점의 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농도 측정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이고, 1시간 평균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월평균 농도를 계산하였다. 지형 고도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 높았고 서해안에 근접할수록 낮았다. 건물 면적비와 인구밀도 분포는 서로 유사하였고,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악과 해안지역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월평균 PM<sub>2.5</sub>과 PM<sub>10</sub> 농도는 봄철과 겨울철(1월~3월)에 높았고 O<sub>3</sub> 농도는 늦봄부터 초여름(4~6월)까지 높았다. 농도가 높은 3개월에 대해서 AMQS 지점별 평균 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건물면적비나 인구밀도와 대기오염물질 농도 사이에는 음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인구밀도와 PM<sub>2.5</sub>, PM<sub>10</sub> 농도 사이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O<sub>3</sub> 농도와는 비교적 강한 음의 상관관계). 반면,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도시대기측정소 측정 고도 사이의 뚜렷한 상관성을 나타나지 않았는데, 향후, 이에 대한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ir quality (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concentrations and lo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errain heights, building area ratios, population density in 9 km × 9 km gridded subarea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analyze the terrain heights and building area ratios, we use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provided by the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lso, we used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population provided by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o estimate population densities. We analyzed the PM<sub>2.5</sub>, PM<sub>10</sub>, and O<sub>3</sub>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146 AQMSs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analysis period i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20, and the monthly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by averaging the hourly concentrations. The terrain is high in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s of Gyeonggi-do and low near the west coastline. The distributions of building area ratios and population densiti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monthly PM<sub>2.5</sub> and PM<sub>10</sub> concentrations at 146 AQMSs were high from January to March. The O<sub>3</sub> concentrations were high from April to June. The population dens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M<sub>2.5</sub>, PM<sub>10</sub>, and O<sub>3</sub> concentrations (weakly with PM<sub>2.5</sub> and PM<sub>10</sub> but strongly with O<sub>3</sub>). On the other hand, the AQMS height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implying that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rrain heights and pollutant concentrations should be accompan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