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次數付環의 Matlis 雙對性에 관한 考察

        姜潤洙 順天大學校 1998 論文集 Vol.17 No.1

        次數付環에 관한 理論의 상당히 많은 부분은 일반적인 環에 대한 性質이 次數付環에 대해서도 성립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얻어진 것들이다. 예를 들면, 次元, 移入的 次元, 移入的 加群의 性質, 二次表現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論文에서는 Matlis가 증명한(12) 'Matlis 雙對性'이 次數付環에 대해서도 성립한다는 것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중등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 이해

        강윤수,정미라 한국학교수학회 200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를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영재 교육원에서 진행된 수학수업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그들의 교실문화를 형성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하였다. 수업과정에서 관찰된 내용을 확인하거나 보완하기 위해서 수시로 면담이 실시되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수집된 정성적 자료는 그때그때 분석되어 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주제화 되었다. 이 주제들로 범주화된 자료는 다시 통합적으로 분석되었는데, 그 결과로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수학영재아들은 학업능력을 최고의 가치기준으로 삼는다. 둘째, 수학영재아들은 영재교육원에서 영재아다운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는다. 셋째, 수학영재아들은 탐구, 토론형 학습의 장점을 잘 이해하면서도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넷째, 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 교실문화의 차이는 수업형태, 교사와 학생의 역할 차이에서 연유된다.

      • KCI등재

        삼각형의 내·외심 지도방법 연구

        강윤수,서은정 한국학교수학회 2009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2 No.3

        이 연구는 현행 삼각형의 내?외심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한 지도방법을 고안하여 시행함으로써 이러한 대안적 방법이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의도로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이미 삼각형의 내?외심을 학습한 학생들과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외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교사들의 지도방법을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설문조사에서 드러난 결과적 접근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분석적 내?외심 지도방법을 고안하여 활용한 후에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수학교육에서의 증명의 엄밀성에 관한 고찰

        강윤수,정권수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6 科學과 敎育 Vol.4 No.-

        Hanna stated that the stress on rigorous proofs does not improve the grasp of the mathematical fac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Korean mathematical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Hanna's viewpoint. As a result, we make some suggestions through Fischbein's intuitive method of proofs, Leron's structural method of proofs and Hadar's method of generic - examples assisted proofs.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 도구 R 언어를 이용한 교육 자료 시각화

        강윤수,김민수,홍창환,김성백,권상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Recently, as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develops, man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apply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In this study,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was applied to visualize educational material including the learning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o grasp its characteristics. First, we analyze the ma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using R language, which is widely used as a big data analysis tool. Next, we propose how to visualiz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in terms and concepts of educational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statistical visualization meth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terms of the educational content is automatically derived and presented in the form of a mindmap that can be helpful for learning.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e proposed method using R tool suitable for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big data. Educational material related to Jeju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ollected. Based on the material, we developed appropriate analysis algorithms and derived visualization results. In particular, through visualization of education materials in the form of a mindmap, teachers and learner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improve their learning. 최근에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교과 내용을 포함하여 교육 자료를 시각화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하였다. 우선 빅데이터 분석 도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R 언어를 이용하여 교육 내용에 대해 주요 용어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교육 자료의 주요 용어와 개념에 대해 분석한 결과의 시각화 방안을 제시한다. 통계학적인 시각화 방안과 더불어 교육 내용의 주요 용어들 간의 연관 관계를 자동으로 도출하여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마인드맵 형태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방안을 빅데이터의 분석과 시각화에 적합한 R 도구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시각화 대상 교육 자료로 제주 환경 교육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시각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마인드 맵 형태의 시각화 교육 자료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는 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학습 제고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TI-92 계산기를 활용한 이산수학의 이해과정 탐구 : 「행렬과 그래프」단원을 중심으로

        강윤수,이보라 한국학교수학회 200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7 No.2

        본 논문은 그래픽 계산기를 활용한 이산수학의 ‘행렬과 그래프’개념의 이해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TI-92 계산기를 활용하여 ‘행렬과 그래프’ 개념을 학습해 가는 두 명의 중학생을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켐코더나 녹음기를 활용하여 질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들을 테크놀로지에 관한 학생들의 태도, 용어의 의미 이해, 행렬 연산의 이해 과정, 수학적 의사소통 등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그래픽 계산기를 활용하여 행렬의 의미와 역할을 그들 스스로 탐구하였으며 계산기는 이 과정에서 훌륭한 학습동반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둘째, 탐구과정에서 학생들이 오류를 범했을 때 그래픽 계산기가 에러메시지를 곧바로 출력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계산기는 교사와 학생들간, 혹은 학생들 사이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 삼각함수에 관한 오류 유형 분석과 그 지도 방법

        강윤수,박수정 한국학교수학회 2003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삼각함수에 관한 학생들의 오개념을 분석해보고 삼각함수 개념 지도 개선방안의 하나로 컴퓨터를 활용한 지도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미 삼각함수를 배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삼각함수 개념과 관련된 학생들의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여 호도법 활용과 삼각함수그래프와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GSP를 활용한 학생 주도형 교수-학습 자료를 고안하여, 삼각함수그래프 지도과정에 투입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 조작에 의한 역동적인 탐구과정이 학생들이 호도법과 삼각함수그래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수학적 연구기법의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강윤수 한국수학사학회 1999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2 No.2

        In this paper,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to four development stages. These are based on significant developments of mathematical concepts or the creation of new fields of mathematics. Then, I will survey the history stages through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 method of research and the most important concepts from each period.

      • KCI등재후보

        소인수분해정리와 유클리드의 원론

        강윤수 한국수학사학회 2004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7 No.1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essential ideas of Fundamental Theorem of Arithmetic(FTA). Then, we compare these ideas with several theorems of Euclid's Element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ssential ideas of FTA are contained in Elements or not. From this, we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 Even though Elements doesn't contain FTA explicitly, it contains all of the essential ideas of FTA. Finally, we assert two reasons why Greeks couldn't mention FTA explicitly. First, they oriented geometrically, and so they understood the concept of 'divide' as 'metric'. So they might have difficulty to find the divisor of the given number and the divisor of the divisor continuously. Second, they have limit to use notation in Mathematics. So they couldn't represent the given composite number as multiplication of all of its prime divis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