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효 괴각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

        강소윤(So-Yun Kang),김경희(Kyoung-Hee Kim),육홍선(Hong-Sun Y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괴각(회화나무 열매)을 유용 미생물로 발효 후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분석하고, 효소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괴각의 건강 기능성 및 화장품 등과 같은 산업원료 소재로서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괴각을 발효시킨 결과, 수율은 LP 발효군이 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는 BS 균주를 이용한 발효군에서 4.95±0.0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CU가 3.94±0.01로 가장 낮게 나타냈다. 괴각 발효 후 미생물 생장에 의한 혼탁도 분석 결과, 1.41~2.82로 나타났으며 BS 발효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괴각 발효군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CU를 이용한 발효물(17.84±0.22 GAE ㎎/g)이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무발효군(7.22±0.05 CE ㎎/g), CU(7.14±0.00 CE ㎎/g)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괴각 발효 시 C. utilis로 발효한 경우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괴각 발효물의 DPPH 라디칼을 측정한 결과 BS 발효군의 IC50 값이 0.18±0.01 ㎎/mL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ABTS 라디칼을 측정한 결과는 CU 발효군의 IC50 값이 0.86±0.00 ㎎/mL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괴각 발효물의 FRAP 측정 결과 CU의 FRAP 값(3.99±0.01 mM)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괴각 발효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은 괴각의 LP 발효군이 1 ㎎/mL 농도에서 10.71%로 발효군 중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 활성은 BS 발효군이 30.6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괴각 발효군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는 10 ㎎/disc의 농도에서 무발효군을 제외한 모든 발효군에서 S. aureus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이 중에서도 CU 발효군은 16.7 ㎜, BS 발효군은 15 ㎜의 가장 큰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괴각은 CU로 발효를 진행했을 경우 대체로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나 화장품 재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BS발효군이 더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연구는 좀 더 진행할 예정이다. 괴각 및 발효괴각은 높은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및 화장품 관련 효소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가공식품의 첨가물, 건강 기능성 식품, 화장품 원료 등의 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measu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of Sophorae fructus fermented with various useful microorganisms (BS: Bacillus subtilis, CU: Candida utilis, SC: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CHY1011, LP: Lactobacillus plantarum, LC: Lactobacillus casei),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future application of Sophorae fructus as an industrial raw material in health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The highest yield of freeze-dried powder of fermented Sophorae fructus was obtained with LP.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group fermented by CU. Maximum flavonoid contents were obtained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group fermented by CU had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as compared to other fermented group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IC50 values of 0.20 ㎎/mL and 0.18 ㎎/mL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fermented by BS, respectively, whereas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had IC50 values of 1.15 ㎎/mL and 0.86 ㎎/mL for control group and the group fermented by CU, respectively. Highest FRAP value was obtained in the CU group.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as determined to be the highest at 10 ㎎/mL in the LP fermented group, whereas elastase inhibition was highest at 1 ㎎/mL in the BS fermented group.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revealed inhib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ation of Sophora fructose using various microorganisms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for use in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due to the acquired property of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e inhibition.

      • KCI등재

        미생물 발효에 의한 구멍갈파래의 항산화 활성

        강소윤(So-Yun Kang),김경희(Kyoung-Hee Kim),육홍선(Hong-Sun Y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9

        본 연구에서는 구멍갈파래를 여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발효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구멍갈파래의 향후 건강기능식품과 같은 산업원료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발효물별 추출 수율은 CU 발효물이 56%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LB(55%), LP(54%), BS(50%), LC(48%), 무발효군(46%), YS(42%) 순으로 나타났다. 총페놀 함량 측정 결과 6.05~4.39 GAE mg/g을 나타내었고 YS를 이용한 발효물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P가 가장 높은 값(3.92 CE mg/g)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BS(3.87 CE mg/g), 무발효군(3.83 CE mg/g), YS(3.41 CE mg/g), LB(3.26 CE mg/g), LC(3.13 CE mg/g), CU(2.96 CE mg/g)의 순서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소거능 측정 결과 IC50 값이 LB 발효물에서 3.27 mg/mL로 가장 활성이 높았고 YS(3.59 mg/mL), LP(4.12 mg/mL), LC(5.03 mg/mL), BS(11.62 mg/mL), 무발효군(13.40 mg/mL), CU(15.93 mg/mL) 발효물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시료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IC50 값이 무발효군(7.75 mg/mL)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물 중에서는 CU(10.18 mg/mL), LB(11.99 mg/mL), YS(13.67 mg/mL), LP(15.31 mg/mL), BS(25.69mg/mL), LC(27.16 mg/mL)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구멍갈파래 발효물의 FRAP 측정 결과 LC의 FRAP 값(0.63 mM)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구멍갈파래를 발효시킨 경우 균주 중 Lactobacillus 종을 사용하는 것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구멍갈파래의 발효물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항산화 측정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measured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Ulva pertusa Kjellman fermented with various useful microorganisms (BS: Bacillus subtilis, LP: Lactobacillus plantarum, LC: Lactobacillus casei, LB: Lactobacillus brevis, CU: Candida utilis, YS: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CHY1011) and identified the future use of Ulva pertusa Kjellman as an industrial raw material, such as health functional foods. The yield of the freeze-dried powder of Ulva pertusa Kjellman fermented by CU, LB, LP, BS, LC, and YS was 56%, 55%, 54%, 50%, 48%, and 42%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 contents were 6.05∼4.39 gallic acid equivalent mg/g, with the highest content being found in the group fermented by YS. The flavonoid conten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LP (3.92 CE mg/g). The control group and group fermented by LB showed IC50 values of 13.4 mg/mL and 3.27 mg/mL, respectively, on DPPH radical scavenging. The control group and group fermented by CU showed IC50 values of 7.75 mg/mL and 10.18 mg/mL, respectively, 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FRAP value (10 mg/mL) was highest in the LC (0.63 mM). Therefore, the fermentation of Ulva pertusa Kjellman using various microorganisms shows an increase in antioxidant activity, so that it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food.

      • KCI등재

        대학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효과적 IR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강소윤(So-Yun Kang),최낙범(Nak-Bum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2

        Universities in South Korea have been facing difficulties with financial crisis and low enrollment problems because of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In order to overcome crisis and meet the challenge of rapid population and society changes, they have strived to achieve their goals based on performance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s. With the increase of the dependence on the strategic decision making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university institutional research (IR) is rapidly emerging as a salient concep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practices of IR systems and its organizational structures in 128 universities.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IR system of ‘S university’ as a case study in order to provide detailed examination of backgrounds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IR syste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a deeper insights into decision-making factors for the implementation and success of IR system: (1) a clear goals and detailed strategy to embrace the IR concept, (2) an integrated database that stores all information in the IR system, (3)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4) th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governance which is made up of authoritative bodies.

      • KCI등재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학력 상승 영향 요인 분석

        조효제,강소윤,이길재,하현지,임지현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시점에서 기초학력 미달이었던 학생을 중심으로 중학교 3학년 시점에 기초학력 미달로 학력 유지 학생과 기초학력 이상으로 학력 상승 학생을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 문제로 학력 유지 학생과 학력 상승 학생 간의 특성 차이를 분석하고, 학력 상승이 발생한 경우 국어, 수학, 영어 과목별로 학력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학생 수준의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4-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HGLM(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s)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 유지 학생이 학력 상승 학생보다 긍정적 수업 분위기, 교사 열의, 교과 내용 이해도 등을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력 상승과 관련이 있는 변수로는 과목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 필요성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Cravies: 사람의 사소한 욕망에 대하여

        이지은,강소윤,김영희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Cravies’는 쉽게 포착되기 어려운 사람의 ‘사소한 욕망’에 관한 프로젝트로서, 관객이 직접 자신의 소소한 욕망을 담은 미생물 ‘Cravies’를 탄생시켜 욕망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타인의 작은 욕망 또한 관찰할 수 있는 참여형 인스톨레이션 미디어아트이다. 참여자는 이제껏 인지하지 못했거나, 언어로 정립하지 못했던 사소한 욕망의 존재를 떠올려볼 수 있으며, 나와 다른 타인이 가진 작은 욕망들을 관찰하면서 예기치 못한 의외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 KCI등재

        COVID-19 이후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대학 교수·학습 개선방안 도출

        박동찬,이길재,강소윤,김수진,안은비,장서진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backgrou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classes by analyzing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spects on online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online classes types(synchronous/asynchronous class), and identifies the mediation effect of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online classes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EM). The findings are shown as follows: First, learning experience has positive effect on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statistically. Second, learning experience has different effect on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online classes. Specifically, learning experience in synchronous environment has higher influence on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than in asynchronous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online classes have greater influence on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in asynchronous class than in synchronous class. Lastly, the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online classes do not have mediation effects significan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guide for researcher to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environment of university. 2020년 COVID-19 확산으로 인해 대학은 개강 연기, 전면적 비대면 온라인 수업 체제를 도입 및 운영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학습경험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교수․학습의 질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 2020년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NASEL) 결과 중 C대학의 자료를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 유형(실시간 수업, 녹화 수업)에 따른 학생의 학습경험과 교수․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매개효과가 발생하는지 등을 분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녹화 수업보다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온라인 수업의 인식 및 태도가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녹화 수업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과 교수·학습 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