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 리테일 샵의 실내디자인 表現傾向에 관한 연구

        강소연,김형우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3

        The modern fashion shop diversifies with the change of fashion trends. And as interior design individualized, the functions of space, which reflect sensual and individual images, are also required beyond the space for sale.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interior design and fashion among all the many formative style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o review expressive trends in interior design. Focus was placed on three flagship stores (Giorgio Armani, Prada Epicenter, and Louis Vuitton), which was part of a huge and innovative fashion strategy from late 1999 to 2003, when the characteristics of a fashion retail shop and fashion brand started to become more distinct than ever. Under the categories of retail, brand identity, and cultural marketing, expressive trends in interior design were examined in simplicity and repetitiveness (geometric), extreme contrasts of space (opened and closed), and immateriality of materials. Entering the twenty-first century, minimalism was added, and the trends started to follow deconstruction, landscape, and hybrid, which were characterized by spatial differences (de-phenomena), dynamics (continuity), and connectedness (interior and exterior space). The significance of interior space in fashion is part of the fashion designer's process and completed work. It's the task of an interior designer to understand his own world of arts and reflect his world into the space. Architectural elements become the means of effective communication in fashion, and architecture offers a sense of presence to aesthetic expressions. This study's results will help develop mutually dependent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architecture and fashion.

      • KCI등재

        현대 상업건축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

        강소연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1

        The skin of contemporary commercial architecture forms a fluidic space which goes beyond an image expression of a subject and it is reflecting the brand philosophy of flagship stor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deriv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kin designs which form a symbolic space of flagship stores This study sets and analyzes cases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eared on the skin designs of flagship stores in Korea which depict the reputation and unique value of each brand i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s seek the change of various space by attempting transparency, semi-transparency and reflexibility. second, the skin designs maximize space by successively connecting different materials in fashion and cosmetic space as diversifying interior and exteriors with non-material property and the designs emphasis the symbolization of forms that unify the structure and the exterior lastly, the skin designs form the deep, yet fluidic flow of space through the change of light and reflect silhouette images by generating multi-layered skin designs In conclusion, skin designs express a differentiated relational formation in various visual-perceptual space areas and they realize a new space that share and relate brand philosophy in flagship stores and architectural space beyond the meaning of a skin form. 현대 상업건축의 외피는 이미지 표현의 대상을 넘어 유동적인 공간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철학을 외피디자인에 투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상징적인 공간을 형상화하는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유형화하여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의 명성과 독창적인 가치를 공간화하여 다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국내 플래그쉽 스토어 외피디자인에 나타난 표현특성의 사례대상을 중심으로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설정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브랜드 사례대상을 중심으로 나타난 결과는 첫째, 경계공간이 확장된 외피디자인을 통하여 투명성과 반투명성, 반사성을 주로 시도하여 다양한 공간감의 변화를 의도하고 있었다. 둘째, 비물질적인 물성으로 내. 외부를 다변화시키며 패션과 코스메틱 공간에 상이한 재료의 외피가 연속적으로 결합되고 있었다. 또한 공간의 영역을 극대화하고 구조와 외피가 일체화되는 형태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다층적 외피디자인의 생성으로 실루엣 이미지를 투영하고 빛의 변화에 따라 깊이 있는 유동적인 공간의 흐름을 형상화 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은 다양한 시지각적 공간영역의 차별화된 관계형성의 표현이며, 외피 형태의 의미를 넘어 플래그쉽 스토어와 건축공간에 브랜드 철학을 공유하고 상호연계하는 새로운 공간을 실현하고 있었다.

      • KCI등재

        Reproductive Life Span and Severe Hypoglycemia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강소연,박용문,권동진,CHUNG YOUN JEE,남궁정,Han Kyung-do,고승현 대한당뇨병학회 202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6 No.4

        Background: Estrogen promotes glucose homeostasis, enhances insulin sensitivity, and maintains counterregulatory responses in recurrent hypoglycemia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might be more vulnerable to severe hypoglycemia (SH) event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oductive factors and SH occurrence in T2DM remains unelucidated.Methods: This study included data on 181,263 women with postmenopausal T2DM who participated in a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09, obtained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database. Outcome data were obtained until December 31, 2018. Associations between reproductive factors and SH incidence were assess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Results: During the mean follow-up of 7.9 years, 11,279 (6.22%) postmenopausal women with T2DM experienced SH episodes. A longer reproductive life span (RLS) (≥40 years) was associated with a lower SH risk compared to a shorter RLS (<30 years) (adjusted hazard ratio [HR], 0.74; 95% confidence interval [CI], 0.69 to 0.80; P for trend <0.001) after multivariable adjustment. SH risk decreased with every 5-year increment of RLS (with <30 years as a reference [adjusted HR, 0.91; 95% CI, 0.86 to 0.95; <i>P</i>=0.0001 for 30−34 years], [adjusted HR, 0.80; 95% CI, 0.76 to 0.84; <i>P</i><0.001 for 35−39 years], [adjusted HR, 0.74; 95% CI, 0.68 to 0.81; <i>P</i><0.001 for ≥40 years]). The use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was associated with a lower SH risk than HRT nonuse.Conclusion: Extended exposure to endogenous ovarian hormone during lifetime may decrease the number of SH events in women with T2DM after menopause.

      • RE-18 : Phthalate treated endometrial cancer cell lines show increased AKR1C1 expression

        강소연,송재연,조현희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목적: 프탈레이트는 환경 호르몬의 한 종류로써, 여성에서 생리불순이나 여성호르몬 생성 장애, 다낭성 난소 증후군, 자궁내막증 등과의 연관성이 있는 환경호르몬이다. 자궁내막증은 원인이 불명확한 질환으로, 가임기 여성에게 생리통과 불임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자궁내막 증이 있을 때 증가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은 AKR1 라는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데, 최근 이 유전자가 황체호르몬의 저항성 증가 와도 관련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는 자궁내막암 세포주를 이용한 연구로, 프탈레이트가 자궁내막암 세포중에서 AKR1 유전자 의 발현을 변화시킴을 증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자궁내막암 세포주 (ECC-1) 에 프탈레이트를 주고 배양한 후, 48시간 후에 마이크로 어레이를 실시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에서 증 폭되는 유전자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RT-PCR 을 시행하였다. 또한 증폭되는 유전자 사이클에서 생성되는 end product 가 프탈레이트 농 도에 따라 변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1. 마이크로어레이 결과, AKR1 유전자 군의 유의한 발현변화가 나타났다. 2. 유전자의 발현 변화는 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의 변화 를 유발하였으며, 이는 프탈레이트의 농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프탈레이트는 자궁내막암 세포주에서 AKR1 유전자의 발현을 변화시켰으며, 세포내 프로스타글란딘의 변화도 같이 유발시켰다. 이 는 프탈레이트가 자궁내막증의 발생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연구 결과이다.

      • KCI등재

        영어 강의의(English Medium Instruction) 실태 및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 성향에 관한 조사 연구

        강소연,박혜선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1

        영어가 세계적인 공용어로 인식 되어감에 따라 영어능력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전공과목을 영어로 강의하는 EMI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EMI가 학습자의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영어강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교수들의 영어강의능력, 그리고 강의를 지원해주는 시스템이 모두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지원이 거의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전공과목을 영어로 듣고 있는 Y 대학교 공과대학 410명을 대상으로 영어강의의 실태에 관해 조사하고, 학생자신의 영어능력에 대한 지각정도와 영어로 진행되는 강의의 효과와의 관계, 영어강의에 대한 불안과 효과 지각과의 관계 등을 보았다. 그 결과 영어로 진행되는 수업에서 토론이나 발표는 한국어와 영어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학생들의 문법적 오류나 부정확한 단어사용에 대한 feedback 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자신의 영어능력에 대해 우수하다고 평가하는 학생일수록 영어강의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고 영어강의에 대한 불안수준이 낮을수록 영어강의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학생들이 영어강의를 듣기 위한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자신의 영어능력을 낮게 지각하는 학생일수록 영어강의 수강을 위한 예비과정과 영어강의를 보조해 줄 조교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The status of English as lingua franca i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has led nations to search for effective English instruction methods, and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is being introduced in many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as a way of improving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Despite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EMI,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MI and its impact on students and instructors. This study explores these issues, focused on the case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at Y University.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10 engineering students who took EMI courses in the Fall of 2003. The survey results show that:l) Both English and Korean were being used in EMI courses for class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2) The students were not provided with feedback on grammatical mistakes. 3)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tudents'self-perceived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MI. 3) Low proficient learners of English pointed out that they needed assistance on their English. The study indicates that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MI depends on students'linguistic readiness and instructors'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