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지방률 검사를 통한 초음파 측정기기의 타당도 검증

        강성기,이미영,김용익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ultrasonic measuring device through body fat percentage test. To achieve this goal, validity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known as the reference method. 58 university students we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from Gyeonggi-do.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as well as Body fat percentage using the portable ultrasound device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For data process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data were calculated by using SPSS 25.0 program and MedCalc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r) and Bland & Altman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ultrasound device. In addition, the interpolation and slope were presented in the Bland & Altman results and th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s was presented for the verification of accuracy. In male students,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ultrasonie device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male (r=.92) and females (r =.71). The results of the Bland & Altma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table and that the agreement was high.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13.4 ~ 2.9, the confidence interval range was shown. th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s was 28.6%. In the case of women the confidence interval ranged from -8.0 to -1.3, with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s of 17.2%.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ody fat rate validity between the ultrasonic measuring device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as high. 본 연구는 체지방률 검사를 통한 초음파 측정기기의 타당도 검증에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준거방법으로 알려진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지역 대학생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은 신장과 체중 그리고 초음파,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을 통해서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 program과 MedCalc program을 이용하여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산출 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상관분석(r)과 Bland & Altman Plot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확성 검증을 위하여 Bland & Altman 결과에 절편과 기울기를 제시하였으며 절대오차율을 제시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초음파 측정기기와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r=.92) 보였고, 여자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냈다(r=.71). Bland & Altman을 이용한 결과 신뢰구간이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일치성이 높다고 검증 되었다. 남학생의 경우-13.4 ~ 2.9 신뢰구간 범위를 나타냈으며 절대오차율은 28.6%로 나타냈다. 여자의 경우 -8.0 ~ -1.3 신뢰 구간 범위를 나타냈으며 절대오차율은 17.2%로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초음파 측정기기와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간의 체지방률 타당도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체지방 평가를 위한 초음파와 피부두겹법 측정의 비교

        강성기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is comparison of ultrasound and skinfold measurements of subcutaneous fat thickness in the evaluation of body fat assess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20 years and over who had received a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29, consisting of 15 males and 14 fema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equipment, three sites of subcutaneous fat (male: chest, waist, thigh; female: tricep, hip, thigh) were measured using an ultrasound (BodyMetrix™ BX2000) and skinfold. Measurements were repeated twice. Data processing used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r), dependent sample t-tests, and Bland & Altman plots.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both men and women showed high correlations in the 3 sites measured by the ultrasound and skinfold, and the Bland & Altman plot also showed a stable mean difference and 95% LOA. Therefore, both measurement methods were found to be highly reliable for repeated measure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ultrasound and skinfold are reliable and valid methods for body fat assessment in adults. 본 연구는 체지방 평가를 위한 초음파와 피부두겹법의 반복측정에 따른 신뢰도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참여에 동의한 20세 이상 성인 남, 여 총 29명이었으며, 남자 15명, 여자 14명으로 구성되었다. 측정기기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초음파 측정기(BodyMetrix™ BX2000)와 피부두겹법으로 피하지방 3부위(남자: 가슴, 복부, 대퇴, 여자: 상완삼두, 측복부, 대퇴)를 2번 반복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상관분석(Pearson's r), 종속표본 t-test 그리고 Bland & Altman plot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여자 모두 초음파측정기(남자: r=.901 이상, 여자 r=.921 이상)와 피부두겹법(남자: r=.978 이상, r=.988 이상)으로 측정한 3부위에서 높은 상관이 나타났고, Bland & Altman plot에서도 안정적인 차이점수의 평균과 95% LOA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두 가지 측정방법 모두 반복측정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초음파와 피부두겹법은 성인의 체지방 평가를 위해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 1LB-1 (AMOLED를 중심으로 한) Display 기술, 시장의 현재와 미래

        강성기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Display는 과거 "Man-Machine" 소통의 수단이었으나, 최근에는 "Man-Man" 소통의 주요 수단으로 우리 생활의 중요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그 사용 환경 또한 과거 하나의 TV앞에 한가족이 모여 시청하던 환경에서 이제는 Wireless Internet, Computing Technology, High Image Quality, Touch(Interaction)으로의 사용 환경 변화가 진행되어 왔고, 미래에는 IoT, Big Data, AI, Perfect Image Quality, Everywhere, Multi-functional 하게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 Display는 Image Quality, Degine Flexibility, Expandability가 주요 요소로 개발 될 것이고, 여기에 가장 부합한 Display가 OLED로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중소형 OLED 및 대형 OLED 기술/시장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환경 변화속에 공업 화학인의 역할을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함.

      • KCI등재후보

        고문헌 속 제주도 돌문화 내용 분석과 특징

        강성기,정광중 제주학회 2019 濟州島硏究 Vol.52 No.-

        This study classified the stone cultures of Jeju Island seen in old literatures into government-led stone culture and inhabitant-led stone culture,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mainly consist of defensive facilities(e.g. Up-seong(castle of town), Jin-seong(castle of military camp), Yeon-dea(heights to send the signal of smoke), Hwanhea-Jangseong(coastal fortress)), Jatseong(stonewall for government-installed ranches), and Dolharubang(standing stone statue). This was confirmed in 16 literature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se literatures, defensive facilities were the most abundant. The contents of inhabitant-led stone culture mainly consist of Stone walls(e.g. Batdam(dry field wall), Wondam(intertidal stone fish trap), Sandam(tomb-surrounding stone wall), Jipdam(stonewall for fence)) and Mudle(stone piles). This was confirmed in 21 literature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mpared to various types of stone culture, most of these stone walls have been identifi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seen in old literatures are as follows: The time and background of the stone walling, and the related figures are clearly recorded together with the location, scale and facility status; defensive facilities and Jatseong showed the changes over time. These are all greatly contributed to designating a lot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as cultural asset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inhabitant-led stone culture seen in old literatures are as follows: the origin of the 1230s Batdam became an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aspect of Jeju Island at that time, and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seen in the records showed that the stone cultures of Jeju Island have been a landscape representing this island over a long period of time. Moreover, the records made in 1939 on various types of stone wall, stone mining, stone walling and repair cost becam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at the time of stone walls.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 속 제주도 돌문화에 대한 내용을 관 주도형과 주민 주도형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 주도형 돌문화는 방어유적(읍성, 진성, 연대, 환해장성)과 잣성, 돌하르방에 대한 내용이 확인되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 외 16개의 문헌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문헌에서는 방어유적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한편, 주민 주도형 돌문화는 주로 돌담(밭담, 원담, 산담, 집담)과 머들에 대한 내용이 확인되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 외 21개의 문헌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돌문화는 다양한 종류에 비해서 대부분 돌담과 관련된 내용만 확인되고 있었다. 둘째, 문헌 속 관 주도형 돌문화의 특징으로는 돌문화의 유래인 축조 시기, 배경, 관련 인물과 함께 위치, 규모, 시설현황 등이 비교적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또한 방어유적과 잣성은 시기에 따른 변화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이 내용들은 현재 많은 돌문화가 문화재로 지정됨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문헌 속 주민 주도형 돌문화의 특징으로 1230년대 밭담의 유래는 당시 제주도의 사회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었고, 지리적 환경은 제주도 돌문화가 오랜 기간 제주를 대표하는 경관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1939년 다양한 돌담의 축조 규모, 돌 채취, 보수비용에 대한 기록은 당시 돌담과 관련된 점을 조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로 작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

        제주도 서부지역의 농업환경 변화에 대한 지리적 해석 : 한경면 고산리를 사례로

        강성기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3

        제주도의 농업환경은 도서지역의 자연환경에 지역주민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해 온 결과 지역마다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제주도 한경면 고산리의 사례를 통해 제주도 서부지역 농업환경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주력하였다. 고산리는 지질적 요인으로 인하여 제주도에서는 특이하게도 무장전 경지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고산리는 1975~76년에 시행된 경지정리사업을 통해 장방형의 경지조성이 이루어졌고, 주민들은 그에 따라 농기계의 도입, 관정과 고가배수지의 축조, 농업용수로의 조성 등 지역적으로 열악한 농업환경을 스스로 극복해 왔다. 최근, 고산리 주민들은 상품작물의 특성을 고려한 선택적 작물생산체제, 방풍림과 방풍 돌담, 비닐하우스의 도입 등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농업경영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열악한 자연환경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고산리에는 강한 바람과 적은 강수량이라는 기후적 제약조건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농업경영 방식이 정착되고 있으며 더불어 그에 따른 다양한 농업경관 요소들이 출현하고 있다. As a result of active responses by local residents against the natural environments of the island, the agricultural environments of Jeju Island show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areas.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s of western Jeju Island through the case of Kosan-Ri in Hangyeong-Myeon, Jeju Island. Kosan-Ri is a typical area in Jeju Island where unusually we can see farmlands without a brick wall due to its geological conditions. Rectangular farmlands were developed in Kosan-Ri through the land consolidation project carried out between 1975 and 1976, and local residents overcame their poor agricultural environments by themselves by introducing agricultural machinery, establishing tube wells and elevated water tanks, and constructing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s accordingly. Recently, Kosan-Ri residents are focusing on minimizing their poor natural environments by introducing new agricultural management method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selective crop production system, windbreak and brick walls against the wind and vinyl greenhouses. In conclusion, the specific agricultural management method required for overcoming climatic constraint conditions such as strong wind and low precipitation are being established in Kosan-Ri, and also various agricultural landscape elements are being appeared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