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arabid beetle species as a biological indicator for different habitat types of agricultural landscapes in Korea

        강방훈,이준호,박종균 한국생태학회 201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35 No.1

        In the current study, several carabid beetle species were proposed as potential biological indicators for different habitat types (levee, upland dike, hillock, and streamside) of agricultural landscapes focusing on agrobiont species. Synuchus arcuaticollis and Synuchus orbicollis were found in all habitat types, indicating that they are general species for all habitat types. Harpalus eous and Synuchus cycloderus are potential bioindicator species for the paddy levee and hillock habitats,respectively. Amara pseudosimplicidens, Anisodactylus punctatipennis, and Chlaenius ocreatus, which occurred widely,and Bembidion morawitzi, which occurred only in the streamside habitat, are potential bioindicators for the streamside habitat.

      • SCOPUSKCI등재

        점봉산 천연보호림의 토양과 낙엽에서의 토양미소절지동물상

        강방훈,이준호 한국생태학회 1997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0 No.5

        Study of population density and biomass of soil microarthropods in soil, herbaceous leaf litter and wood leaf litter was conducted at 4 sites with different flora in Mt. Jumbong, a nature reserve area, in Korea from Aug. 1994 to May 1996. Total 47, 849 individuals of soil microarthropods in soil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into 6 different classes, and 16 orders. The composition, densities, and dominant group of soil microarthropods were different among 4 sampling sites. Collembola was the most abundant group with 50.7% at South-facing slope and 50.6% at the North-facing slope. But Acari was the most abundant group with 49.8% at Altitude 900m site and 47.7% at Altitude 1100m site. Two group ranged 87-95% of total individuals. A/C ratio was less than 1.0 at 4 sampling sites during the all sampling seasons. As a result of biomass evaluation, rato of Acari was decreased but ratio of Diplopoda, coleoptera, Araneae, Diptera and Chilopoda was increased. About 70% of total orders and densities were found in less than 5cm soil depth. The composition, densities, and dominant group of soil microarthropods were different among soil, herbaceous litter and wood litter. Collembola was the most abundant group in herbaceous and wood litter. A/C ratio was less than 1.0 in litter during the sampling seasons. As a result of biomass evaluation in litter, ration of Araneae and Collembola was very high, but ratio of Acari was low.

      • 연못형습지의식생다양성환경요인분석을위한변수설정연구

        손진관,김남춘,강방훈,공민재,이시영,강동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연못형습지는 국가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역할 을 할 뿐 아니라 다양한 습지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농업경관의 중요한 자원으로 홍수조절, 지하수보충, 제방안 정화, 영양물질 침전 및 이동, 수질 정화, 생물다양성, 제품 생산, 문화보전, 레크레이션, 기후완화 등 다양한 생태계서 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msar, 2014). 하지만 연못형습지는 최근 활용기능이 축소되고 인식의 부 족으로 매립, 방치되고 관리부실로 토양 및 수자원의 오염, 외래종의 유입이 확산되어 보전가치 제시와 복원방향의 수 립이 필요하다(강방훈 등, 2010). 습지의 생물적 기능으로 는 식생,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및 양서파충류, 조류, 포유류 및 기타 야생동물의 서식처, 산란처, 휴식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습지의 생물적 기능으로 인해 생물다 양성의 가치가 인정 된 다고 할 수 있다(Cylinder et al., 1995; CERES, 1998; 김귀곤, 2003). 식생의 경우 식물의 생활사 및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 로 알려져 있다(Middleton,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식생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식생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육환경 인자를 분석, 도출하기 위한 연못형습지 식생의 주요 변수 도출에 목적이 있다. 이 러한 연구를 통해 무분별한 매립으로 감소하고 있는 농촌경 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물다양성 증진 방안, 평가체계구축 및 대체서식처 조성 등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농촌지역 내 분포가 높은 연못 형습지(Pond)로 한정하였으며(Ramsar, 2006), 선행연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가옥, 논, 밭, 산 유형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10개소씩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식생조사는 2011년 5월과 9월에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학명과 동정 은 이창복(1993, 2006)과 이영노(1996, 2006)의 식물도감 을 활용하였다. 생활형(Life form)은 Raunkiær(1934)의 기 준으로 Nanophanerophytes(미소지상식물), Geophytes(지 중식물), Therophytes(일년생식물), Hydrophytes(수생식 물), Megaphanerophytes(대형지상식물), Chamaephytes (지표식물), Hemicryptophytes(반지중식물) 등으로 분류하 였다. 귀화식물은 이유미 등(2011)가 분류한 321종류 (Taxa)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귀화율(沼田 眞, 1996)과 도시 화지수(UI : 임양재와 전의식, 1980)를 산출하였다. 분석결 과는 유형별 차이인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과 평균간 비교(Dunkan’s)를 실시하여 알아보았으며, 모든 통계적 검증은 SPSS 17.0를 이용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지에서 조사시기별 출현한 식물상은 5월의 조사에서 92과 220속 226종 36변종 2품종 1아종으로 305 종류가 출현하였으며, 9월의 조사에서 95과 236속 273종 41변종 4품종 1아종으로 319종류가 출현 하여 연간 전체대 상지에서 출현한 전체의 식물상은 총 108과 309속 392종 59변종 5품종 1아종으로 총 457종류가 확인되었다. 40개 연구대상지 전체의 평균 출현 종은 5월에 22.25과 36.38종 류, 9월에 21.95과 39.58종류로 조사기간 전체의 대상지별 출현 종은 31.13과 61.23종류가 확인되어 9월 조사에서 5월 조사보다 약 17종류 정도가 더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연구대상지 전체에서 출현한 과별분포는 국화과가 53종류(11.6%), 벼과가 46종류(10.1%)로 5월과 9월 조사 모두 유사한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콩과, 장미과, 사초과, 마디풀과, 백합과, 석죽과, 꿀풀과 등의 순으로 출현율을 나 타냈다. 연구대상지 40개소 전체의 평균 생활형 출현은 Megaphanerophytes 5.95종류, Nanophanerophytes 5.50종 류, Geophytes 4.80종류, Chamaephytes 0.98종류, Hemicryptophytes 17.35종류, Therophytes 22.30종류, Hydrophytes 4.35종류로 일년생식물이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으며, 지표식물이 가장 작은 출현을 나타내고 있다. 연 구대상지 유형별로 살펴보면 House유형은 대형지상식물과 반지중식물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출현을 보인반면 지중식물과 수생식물의 출현은 낮게 분석되었다. Paddy유형은 대형지상식물과 미소지상식물의 비율은 가장 낮았으며, 수 생식물의 비율은 반대로 가장 높았다. Upland유형은 일년 생식물이 평균 25.20종류로 가장 높았으며, Mountain유형 은 미소지상식물이 9.30종류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 상지 전체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5월에 14과 28속 32종 1변종으로 33종류, 9월에 11과 30속 33종 1변종으로 34종 류가 확인되어 조사기간 전체동안 14과 39속 44종 2변종으 로 총 46종류가 확인되었다. 연구대상지 40곳에서 평균적 으로 출현한 귀화식물 수는 5월에 4.40±2.43종류, 9월에 5.08±2.82종류로 전체 연구기간 동안 7.70±3.33종류 정도 가 출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지 유형별로는 5월, 9월 모두 mountain유형이 낮은 귀화식물 비율로 귀화 율과 도시화 지수 모두 가장 낮게 분석되었고 9월의 경우를 살펴보면 House유형과 Upland유형이 높은 귀화식물 출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식생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육환경 지표를 도출하기 위하여 식생의 종 다양성 특성을 알아본 결과 종속변수로 사용 될 지표는 5월, 9월, 전체의 식생종수, 출현빈도가 높 았던 벼과 국화과 등의 과별 분류군 수, 생활형 분류군 수, 귀화식물 분류군 수 등을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 다. 이상의 결과를 사용하여 기 분석된 토양, 수질, 일반환경 등의 생육환경 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연못형습지의 식생다양성에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생육환경을 도 출하여 환경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농촌지역 소하천의 생태환경 평가 연구 -한강유역 지류를 중심으로-

        강방훈 ( Bang Hun Kang ),김남춘 ( Nam Choon Kim ),손진관 ( Jin Kwan Son ),김미희 ( Mi Heui Kim ),조승진 ( Seung Jin Cho ),이상영 ( Sang Young Rhee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1 농촌계획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basic planning criteria required in ecological restoration and improvement works of streams in rural a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stream assessment methods (water quality, soil environment, and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6 study sites of Han River basin. The investigation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the evaluation items like a manure use, salt degree, river peripheral tree, which did not fitted to apply to domestic streams, in the SVAP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and NRCS Riparian Assessment that were evaluation models developed in USDA. The area inhabitants with a little knowledge and education personally seems to utilize the evaluation methods through improvement partly with an aspect that evaluation is slightly easy. 2) From the stream assessment results, the construction of diverse pools, large woody debris and isolated backwater pool are needed to improve a few of problems observed at the mostly study sites. The result of NRCS Riparian Assessment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stream bank vegetative communities is needed by planting tree with deep-binding root masses, and managing of noxious weeds and exotic undesirable plants. 3) Summing up, the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the 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at upstream than downstream, the stream with totally maintenance than that with partly maintenance, the stream with slope bank than that with vertical bank, and the stream with a flood plain than that without a flood plain. So, the direction of stream maintenance projects must be set by consideration of those resul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