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의 비골신경마비

        김용훈,김근우,민학진,윤의성,강무형,황준성,김상림 대한슬관절학회 200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4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후에 발생된 비골신경마비에 대해 장기적 예후를 본석하고 그 발생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1994년 4월부터 2002 2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449명 637슬관절 중 슬관절 전치환술후 비골신경마비를 보인 9명 9슬관절(1.4%)을 마비군, 술 후 비골신경마비가 없었던 440명 628슬관절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서 평균연령, 성별, 체중, 술 전 굴곡 구축정도, 술 전대퇴-경골각,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및 후방 안정형 사용여부, 기존 질환여부, 수술중 지혈대 사용시간, 술관절의 임상적평가 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굴곡 구축 및 대퇴경골각은 각도기로 측정하였고, 슬관절의 임상적 평가는 Hospital for Sepecial Surgery (HSS)의 knee rating scale과 The Knee Society Climical Rating System (TKSCRS)을 사용하였다. 결과: 비골신경마비가 왔던 9례중 8례에서는 후유증없이 완전 횐복되었으며 1례에서는 1년 이상 회복되지 않아 영구적 마비로 사료되었다. 마비군/대조군의 비교에 이어, 모든 통계에서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되는 비골신경마비는 대부분 1년 이내 완전회복이 가능하며 6개월 이내에 다소 회복되는 징후가 나타난다. 그 발생원인은 이 연구결과에서도 보듯이 정확히 알 수 없었으나, 아마도 다인성(multifactorial)인자로 사료되며 이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prognosis and causative factors of the peroneal nerve palsy that occurred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1994 till Feb. 2002, we performed 637 cases(449 patient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mong them we experienced 9 cases(9 patients, 1.4%) of peroneal verve palsy postoperatively. For evaluation of suggestive causes of peroneal nerve palsy, we compared these paralytic group with the control group (628 cases:440 patients) which has no peronleal nerve palsy after TKA. We analyzed basic patients factors including age, sex, body weight, preoperative diagnosis, and preoperative degree of flexion contracture and tibiofemoral angle, intraoperative tourniquet time, preoperative functional knee scores (HSS and TKSCRS). Results: Eight cases were recovered completely within 12 months after TKA. A case has no change in 1 and 1/2 years after operation so we considered it as a permanent damag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Almost all cases of peroneal nerve palsy were completely recovered spontaneously within 12 months after operation and within 6 months, clinincal sign of improvement was appeared. Until now, we couldn't find any definite caused of peroneal nerve palsy after TKA, so its caused would be multifactorial and further studies may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